e="LINE-HEIGHT: 1.4">[KJtimes=장우호 기자]아워홈이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에 식자재 특화 자동분류 시스템을 갖춘 동서울물류센터를 신축 개관하고 본격 가동에 돌입한다.
e="LINE-HEIGHT: 1.4">지난 2014년 5월 착공에 들어간 아워홈 동서울물류센터는 연면적 2만7050㎡에 지상 4층과 지하 1층 등 총 5개층으로 지어졌다.
e="LINE-HEIGHT: 1.4">18일 아워홈에 따르면 동서울물류센터가 이번에 선보인 ‘식자재 특화 자동분류 시스템’은 그동안 작업인력들이 물류센터를 돌아다니며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주문물량의 입고-검수-분류의 과정을 자동화 처리한다.
e="LINE-HEIGHT: 1.4">특히 외형이 일정치 않고 취급 시 파손 위험이 높은 식자재의 특성을 반영해 상품 규격에 구애받지 않고 박스와 낱개, 비정형 상품들을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고안ㆍ개발된 것이 강점이다.
e="LINE-HEIGHT: 1.4">또한 아워홈은 가공식품에 대한 수급능력 배가 차원에서 동서울물류센터의 창고 면적을 종전 대비 약 20% 늘리고 각 층에 상품군별로 적온 보관할 수 있는 상온ㆍ냉장ㆍ냉동창고를 구비했다.
e="LINE-HEIGHT: 1.4">아워홈의 자체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동서울물류센터는 일인당 하역 생산성이 32% 향상돼 하루 최대 물동량 642톤, 일 배송 10만5000건의 식자재를 수도권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동서울물류센터 가동 이후 수도권 전체 권역에 대한 최대 출하능력은 무려 70%나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e="LINE-HEIGHT: 1.4">특히 ‘골든타임 배송’의 가능성이 활짝 열렸다. 식자재는 신속 배송이 아닌 주문자가 원하는 시간에 물량을 공급해주는 적시(適時) 배송이 가장 중요하다. 배송차량이 배송시간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물량을 수급하는 컨트롤타워로서 물류센터가 얼마나 고도화된 처리능력을 보유했느냐가 관건이 된다.
e="LINE-HEIGHT: 1.4">자동 분류시스템 운영으로 배송처 오분류 및 오배송 확률은 최소화하고 물량 폭증 등 돌발상황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운영시스템을 구축해 신선한 대량 식자재를 적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튼튼한 제반 여건을 마련했다.
e="LINE-HEIGHT: 1.4">아워홈 정재호 물류부문장은 “늘어나는 수도권 수요와 점차 복잡화·다양화되는 거래처들의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업계 최초로 식자재 특화 자동분류 시스템을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