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현수 기자]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평창 올림픽’ 방문을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협상용 카드로 사용하려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대통령과 외교장관이 직접 아베 총리의 평창 올림픽 참가를 두 차례나 했음에도 일본 정부는 여전히 ‘검토 중’이라는 답변만 하고 있다는데 기인한다.
실제 지난 11월 29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 이후 문재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아베 총리는 방한 요청을 받자 “올림픽 기간 중 국회 예산위원회가 열릴 예정이지만 참석을 검토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 19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강경화 외교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아베 총리의 방한을 요청받자 “아베 총리의 한국 방문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일본 정부의 이런 입장에 대해 아베 총리가 ‘평창’을 외교카드로 사용하려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오는 27일 예정된 한·일간 위안부 합의 과정 등을 조사하는 장관 직속 테스크포스(TF)의 조사 결과와 이에 따른 우리 정부의 입장 정리 등의 움직임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런 속내를 엿볼 수 있는 것은 일본 언론들의 보도다. 일례로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위안부 합의 검증작업에 이해를 구하는 한국측에 대해 불신을 씻어내지 못하는 일본측은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못박았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을 강조한 한일합의 이행은 아베 정권에 있어서 양보할 수 없는 원칙”이라면서 “한국 정부는 위안부TF 검증 결과 발표를 토대로 합의의 타당성이나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추가 지원을 결정할 방침이나 이런 방침 결정이 내년 1월 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진보 성향의 문재인 정권하에서 역사문제 해결은 매우 어렵다는 것이 일본 정부 내의 공통된 인식”이라며 “그러나 북한 정세가 더 긴박해질 경우 한국 내 일본인 대피 등에서 한국과 협력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 아베 총리의 방한에 고노 외무상이 가부를 명확히 하지 않고 신중론을 견지한 것은 오는 27일 발표되는 위안부 검증TF의 결과를 우선 확인하겠다는 뜻을 담은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