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핫클릭

스타벅스가 제안하는 올해의 음료 소비 트렌드는?

[KJtimes=김봄내 기자]스타벅스커피 코리아 고객들이 2017년 한 해 가장 많이 즐긴 음료는 약 8,360만잔이 판매된 아메리카노로 나타나 지난 2007년부터 11년 연속 판매 1위 음료를 기록했다. ‘아메리카노는 고온 고압력에서 추출한 에스프레소 원액에 정수를 가미한 음료이다.

 

이는 대한민국 국민 일인당 1.6잔씩 마실 수 있는 분량으로 원두 본연의 깊고 깔끔한 맛을 찾아 커피 고유의 풍미를 즐기려는 기호가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어서, ‘카페 라떼’ (3,750만잔), ‘콜드 브루’ (1,130만잔), ‘돌체 라떼’ (850만잔), ‘카라멜 마키아또’(773만잔)가 상위 판매 음료로 나타났다.

 

이외에 스타벅스가 2017년 음료 판매 빅 데이터를 자체 분석해 올해 예상되는 총 4개의 음료 소비 트렌드를 뽑았다.

 

1. 혁신 : 아이스 음료의 새로운 혁신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콜드 브루

 

1,130만잔이 판매되어 전체 음료 중 3위를 기록한 콜드 브루는 지난 20163월 출시 이후에 지속적인 인기를 이어가며 새로운 커피 트렌드로 부각되었다. 현재 스타벅스는 콜드 브루’, ‘콜드 브루 라떼’, ‘바닐라 크림 콜드 브루’, ‘나이트로 콜드 브루등 총 4종의 콜드 브루 음료를 판매하고 있다.

 

이 중 지난해 3월 선보인 나이트로 콜드 브루는 정통 방식으로 콜드 브루에 질소를 주입해 전용 머신 탭으로 뽑아서 제공하는 음료이다. 미국 스타벅스가 업계를 선도하는 혁신적인 핵심 비즈니스를 소개하면서 나이트로 콜드 브루를 아이스 커피 시장 성장을 위한 혁신 음료로 선정한 바 있다.

 

한편,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회장은 콜드 브루가 앞으로 스타벅스의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밝힌 바 있다.

 

2. 고급화 : 추출 기구와 원산지를 선택해 스페셜티 커피를 즐기는 소비 증가

 

현재 전국 73개 매장에서만 판매하고 있는 단일 원산지 프리미엄 커피인 리저브 커피도 작년 한 해에만 85만잔이 판매돼 20143월 첫 소개 이후 누적 판매량이 197만잔을 돌파했다. 이는 국내 커피 소비층이 두터워지면서 다양한 원산지의 스페셜티 커피 풍미와 커피 추출 기구를 직접 찾아 가심비와 소확행을 즐기는 소비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소확행(小確幸) :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

*가심비 : 가성비에 마음심()자를 더해 심리적 만족도를 중시하는 소비 형태

 

스타벅스는 전국 리저브 매장 중 20곳의 서비스를 더욱 차별화해서 리저브 전용 바를 갖춘 커피 포워드 매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기존 리저브 매장에서 사용하는 전용 머신인 클로버뿐만 아니라, 가장 전통적인 커피 추출 방법으로 부드럽고 은은한 풍미를 경험할 수 있는 푸어 오버 (Pour over cone) 핸드 드립과 중기압과 진공력을 이용해 풍부하면서 섬세한 아로마의 커피를 추출하는 사이폰’, 깨끗한 풍미의 커피를 추출하는 케멕스등의 다양한 추출 방식 중에 선택해 취향에 맞춰 즐길 수 있다.

 

3. 베리에이션 : 건강 컨셉과 개성적인 풍미의 티 베리에이션 음료 부각

 

스타벅스의 티바나 티를 기본 베이스로 다양한 재료를 섞은 베리에이션 음료도 많은 인기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9월에 출시해 수요 예측을 뛰어넘는 판매량으로 한 달 만에 전국 매장에서 조기 품절되며 열풍을 불러 일으켰던 자몽 허니 블랙 티는 작년에만 390만잔이 판매되었다. 이어서 라임 패션 티’, ‘캐모마일 애플 티등도 커피를 대신하는 산뜻한 맛의 저칼로리 음료로 판매가 늘었다.

 

전통적인 티 고유의 풍미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티 베리에인션 음료는 건강한 컨셉을 추구하는 웰빙 트렌드와 함께 커피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음료를 찾아 왔던 잠재 수요층의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4. 신토불이 : 로컬 식자재와 특성을 빅 데이터로 분석해 활용

 

지난해 스타벅스 코리아에서 판매한 로컬 특산물 음료는 문경 오미자 피지오, 광양 황매실 피지오, 공주 보늬밤 라떼, 제주 꿀 땅콩 라떼 등 18종으로 약 365만잔이 판매되었다.

 

문경 오미자 피지오는 대표적인 지역 특산물 음료로 2016년 이후 2년 연속 출시 하며 약 3개월간의 한정된 기간 동안 95만잔이 판매되었다. 작년에는 첫 해보다 67% 늘어난 61톤의 문경 오미자를 수매해 농가에 안정된 판로와 수익을 제공하고 국산 농산물의 상품 가치를 높여 농가 소득 증대로 이어지는 성과로 연결되었다.

 

또한, 고객 조사를 통한 빅 데이터를 분석해 제주도 식자재와 지역 특성에서 키워드를 뽑아내 제주 한라봉 그린 티 셔벗’, ‘제주 여름 레모네이드 등의 음료를 작년에 출시한 바 있으며 제주 지역 매장에서 아메리카노와 카페 라떼 다음으로 인기 있는 음료로 호응을 받았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