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스토리

기업 10곳중 6곳, “채용 시 학벌 중요하지 않아”

[KJtimes=김봄내 기자]‘블라인드 채용’ 등을 필두로 한 ‘직무 적합성’을 중요시 하는 채용 문화가 점차 자리잡아가면서 채용 시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뿌리깊게 자리잡았던 ‘학벌중시’ 현상이 사라지고 있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362개를 대상으로 ‘채용시 학벌 평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6.9%가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했다.

 

학벌이 채용에 영향이 없는 이유 1위로는 ‘업무 능력과 크게 연관이 없어서’(75.2%,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다양한 인재를 선발할 기회를 놓쳐서’(30.1%), ‘선입견이 생겨 공정한 평가가 어려워서’(20.9%), ‘기존 채용 시 만족도가 낮아서’(14.6%) 등이 있었다.

 

반면, 학벌이 채용에 영향을 미친다(43.1%)는 기업은 그 이유로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채용 조건의 하나라서’(60.9%, 복수응답)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무수히 많은 지원자들을 서류전형에서 가려내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생각하는 것이다. 이들 기업은 ‘다른 자격 조건이 부족해도 학벌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채용한 사례’는 ‘없다’(71.2%)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 학벌이 채용 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비율은 평균 34.8%로 채용의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었다.

 

그렇다면 학벌에 따른 업무 만족도는 어떠할까.

 

기업들은 학벌이 좋은 신입사원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입사자들과 ‘차이가 없다’(61%)고 답했다. ‘만족도가 높다’는 29.3%, ‘오히려 만족도가 낮다’는 9.7%였다.

 

한편, 학벌이나 성별 등 직무와 상관없는 정보를 보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 전형을 실시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부분적으로 실시’(20.2%)하거나 ‘전면으로 실시’(4.7%)한다고 답해 기업 4개 중 1개사는 ‘블라인드 채용’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들이 블라인드 처리하는 자격조건으로는 ‘키, 몸무게 등 신체조건’(50%, 복수응답), ‘가족관계’(48.9%), ‘토익 등 공인영어성적’(40%), ‘최종학력’(37.8%), ‘출신학교’(37.8%), ‘결혼여부 등 개인신상’(36.7%) 등의 순이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채용과정에서 불필요한 스펙을 제외하고 업무 능력을 중시하는 기업들이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취업준비자들도 이에 맞춰 관심 분야 관련 직무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세부적으로 잘 파악해 준비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어필 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