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의 골목식당이 주는 교훈④]단골식당의 선택 기준

[KJtimes 칼럼니스트=박봉원 한국성심리교육센터 고문강사]앞서 말했듯이, 누구나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어 한다. 그렇다면 누구나 맛집만 즉, 음식이 맛있는 식당만 찾을 듯싶은데,


그러나 막상 현실은 결코 그렇지 않다.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식당 중에서 맛집은 찾아내기도 쉽지 않은데다 겨우 찾은 맛집이 멀리 있다면 너무너무 가고 싶어도 못 갈 수 있으니까. 또 손님이 많은 맛집은 줄을 서야하는 등 너무 오래 기다려야한다면서 무턱대고 꺼리는 사람들도 있다.


그에 앞서 음식의 맛보다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주로 분위기가 마음에 드는 식당을 찾으며 식당 주인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주로 그렇게 할 수 있는 식당을 찾는다.


그리고 삶에 너무 바쁘다보니 끼니때마다 눈에 띠는 주변의 식당에서 적당히 한 끼를 때우는 사람들도 있다. 뿐만 아니라 밖에 나가기 귀찮다면서 먹고 싶은 음식을 몇몇 단골식당에 전화나 스마트폰 앱으로 주문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밖에도 사람들은 자신의 취향이나 형편에 따라서 각자 식당을 찾는데 그래서 맛있는 음식을 먹기 바라면서도 막상 사람들은 엄청나게 다양한 각자의 취향이나 형편 등에 따라서 식당을 찾고, 또 단골식당을 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 식당 주인은 이처럼 엄청나게 다양한 손님들의 취향이나 형편을 두루두루 고려하여 식당을 운영해야할 것이다.


그러지 않는다면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볼 수 있듯이 한참 바빠야 할 시간에도 한가하게 앉아서 꾸벅꾸벅 졸게 될 수도 있으니까.



하지만 어떤 식당주인도 실제로 이렇게 하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다. 엄청나게 많은 돈을 갖고 있는 등 어마어마한 능력을 가진 식당주인이라도 결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손님들의 모든 취향과 형편을 알 수도 없는데다, 아주 다행스럽게 알게 돼도 현실적으로 손님들의 기대를 모두 만족시켜줄 수는 없으니까.


그렇다고 손님들의 취향이나 형편을 무턱대고 무시할 수도 없다. 손님들의 기대를 무시한 채 무턱대고 마음대로 식당을 운영했다가는 또 백종원의 골목식당에 나오는 많은 식당들처럼 경기 탓만 잔뜩 하면서 파리나 잡으러 다닐 수도 있으니까.


따라서 식당 주인은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데에만 신경을 쓸 것이 아니라 식당을 어떻게 운영해야할지도 반드시 함께 생각해야한다고 말할 수 있는데 만약 식당 운영을 소홀히 한다면 손님보다 메뉴가 많은 식당이 될 수도 있다.

 

세 가지 식당

 

물론 따로 식당을 아주 능숙하게 운영하는 사람이 있다면 식당주인은 그저 더욱 맛있는 음식을 만들려고 노력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따로 요리솜씨가 뛰어난 요리사가 있다면 식당 주인은 그저 식당 운영에만 최선을 다하면 될 것이고.


하지만 백종원의 골목식당에 나오는 여러 식당 주인들처럼 음식을 만들어야하는 것은 물론 함께 식당도 운영해야하는 식당 주인은 그저 음식만 맛있게 만들거나 식당 운영에만 힘써서는 안 되는데 그런데도 계속해서 맛있는 음식만 만들려고 노력한다면 식당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음식이 맛있는 식당이라고 해서 반드시 손님들이 몰려드는 것은 결코 아니니까.


이와는 달리 식당 운영만 열심이라면 식당주인은 평범한 음식이나 맛없는 음식만 만들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또 식당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수도 있고.


그런데 분위기를 좋게 만드는 등 식당을 열심히 운영하는 경우에는 음식을 대충 만들어도 식당주인이 식당 운영에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음식은 맛없지만 분위기는 좋은 식당이나 음식은 맛없지만 식당주인이 재미있는 식당처럼 무엇인가 적절하게 보상받을 것이 있는 식당에는 몇 번이고 또 찾아가는 사람이 많이 있으니까. 그러다가 아주 운이 좋으면 식당이 전국에서 손님들이 몰려드는 맛집으로 소문날 수도 있다.


이런 까닭에 세상살이의 경험이 많은 사람들이 흔히 식당을 하려면 음식솜씨보다 상술이 더욱 좋아야한다고 말하는 것인데 이처럼 현실적으로는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것보다 식당 운영을 잘 하는 것이 훨씬 나을 수도 있다.


돈가스전문점 연돈의 주인처럼 언제인가 남들이 알아주겠지생각하면서 묵묵히 최선을 다해서 성실하게 세상살이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이런 말을 들으면 속이 마구 터지겠지만.


그렇다면 맛없는 음식을 파는데다 이런 핑계, 저런 핑계로 주인이 운영에도 몹시 소홀한 식당은 과연 어떻게 될까.


이런 식당은 보나마나 머지않아 주인이 심지어 생계를 걱정할 만큼 운영에 매우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될 텐데 백종원의 골목식당에는 바로 이런 식당이 많이 나온다.


, ‘백종원의 골목식당에는 이유가 무엇이든지 상관없이 쫄딱 망할 수밖에 없는 식당이 많이 나온다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백종원은 저들에게 구세주처럼 생각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

[단독]‘사라진 엄마들의 돈’… 보니코리아 아웃라스트 사태 그 후
[편집자주] 지난 2017년 6월 유아용 매트를 사용하던 아이가 잔기침을 하고 두드러기가 생겼다는 글이 인터넷 맘카페를 통해 확산되면서 대한민국 엄마들의 공분을 샀던 일이 있었다. 바로 ‘보니코리아의 아웃라스트 사태(이하 보니 사태)’다. 당시 한국기술표준원(www.kats.go.kr)은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자 ‘리콜’을 권고했다. 하지만 보니코리아 홍성우 대표는 ‘재고 소진 후 환불하겠다’는 대응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유해성 의혹을 받고 있는 제품을 끝까지 팔아치우려는 비양심적 기업이라는 비난이 들불처럼 번진 탓이다. 결국 소비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에 홍 대표는 ‘제품의 환불 및 리콜과 관련해 법적 절차에 따라 모두 처리할테니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사과 이후 4년째, 기회를 달라던 홍 대표와 그의 환불 약속은 세월과 함께 종적을 감췄다. <kjtimes>는 월매출 수십억원을 올리며 급성장하던 회사가 보니 사태 직후 선량한 소비자들을 왜 피해자 상태로 방치하게 됐는지,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종적을 감췄던 홍성우 전 대표와 최근 혜성처럼 나타난 유아용품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