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 문화스포츠 풍향계

'유퀴즈' 예고, 방탄소년단 정국 BTS 댄스 여고생 패러디 '폭풍 화제'

[KJtimes=김봄내 기자]방탄소년단(BTS) 정국이 '유 퀴즈 온 더 블럭' 예고편에서 팬을 패러디를 해 화제를 모은 가운데 본방에 대한 기대감을 드높였다.

방탄소년단이 오는 24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이하 '유퀴즈') 99회 방탄소년단 특집에 출연할 예정이다.

방탄소년단은 최근 국내 방송에 적극 출연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주 17'유퀴즈' 정규 방송 말미, 99회 방탄소년단 특집 예고편을 공개했고 막내 멤버 정국이 과거 '유퀴즈'에 출연했던 'BTS 댄스 여고생'의 모습을 따라해 큰 이목이 쏠렸다.

BTS 댄스 여고생은 'BTS 춤으로 어쩌다 조회수 700만 뷰의 주인공'으로 '유퀴즈' 81화에 출연해 자신이 '아미'(BTS 팬덤명)임을 밝히며 방탄소년단 히트곡 'Dynamite'(다이너마이트) 댄스를 선보였다.

당시 방송에서 여고생은 자신만의 스웨그가 가미된 뛰어난 댄스 실력으로 다이너마이트를 췄다.

특히 그녀는 카메라를 향해 삿대질 하는 듯한 춤을 선보였고 이를 본 MC 유재석은 "누구 혼내러 가요?"라고 말하며 "누구한테 따지러 가는 부분이 제일 좋았다"라는 소감을 밝혔고 큰 웃음을 안겼다.

 

 

이에 '유퀴즈' 예고편 영상에서 정국은 다이너마이트 배경 음악에 맞춰 BTS 댄스 여고생의 '누구 혼내러 가요' 제스처를 그대로 재현했고 유재석, 조세호는 물론 멤버들은 큰 웃음을 터뜨렸다.

방송 이후 각종 커뮤니티에서도 해당 장면이 뜨거운 호응과 인기를 끌었고 정국의 센스 있는 예능감이 본방에 대한 기대감을 배가시켰다.

이를 본 팬들은 "스타가 팬 따라하는 것 최초 아니냐", "정구기는 밈밈박사!", "정국이 대유잼맨", "저분 찐성덕됐네 부럽다", "정국이 재롱 보니까 본방 더 기대됨", "정국이 귀엽고 예능감 쩔어", "정국이 끼쟁이 너무 보고싶다 와우", "패러디 장인이야ㅋㅋ", "정구기 이젠 팬까지 따라해" 등 반응이 나타났다.

평소 회 뜨기, 요리, 펭수TV 애청, 유튜버 '영알남'을 먼저 알아보는 등 유튜브를 자주 시청한다고 전해진 정국의 이번 패러디로 일부 팬들은 "정국이 유튜브 알고리즘 구경하고 싶다", "정국아 유튜브 알고리즘 공유 좀 하자", "정국이가 BTS 댄스 여고생 영상 본 거야?" 등의 반응도 이어졌다.

한편, 정국이 패러디로 화제를 모은 것은 이 뿐만이 아니다.

래퍼 스윙스가 '우사인볼트' 명언을 패러디한 방탄소년단 정국에게 "우와 방탄소년단 정국님 대박 맨"이라고 고마움을 전한 바 있고 다이너마이트뮤직비디오 속에서도 무한도전 노홍철의 일명 스킨 바를까 말까제스처를 한 차례 선보여 큰 주목을 받았으며 쇼미더머니9 머쉬베놈의 '보자보자 어디보자~ 너 두고보자', 런닝맨 이광수의 모기춤 등을 따라하는 다양한 모습도 포착되어 화제를 몰고 있다.

방탄소년단 '유퀴즈' 방송분은 오는 24일 오후 840분 방송될 예정이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