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사실상 실업’에 해당하는 사람이 39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로는 사실상 실업자가 지난해 11월 389만7000명에 달했다.
‘사실상 실업’은 통계청의 공식 집계에 들어가지 않지만, 실업과 마찬가지인 사람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개념이다.
여기에는 ▲통계청 분류상 공식 실업자 69만5000명 ▲고시학원ㆍ직업훈련기관 등을 통학하는 취업준비생 21만9000명 ▲비(比)통학 취업준비생 36만3000명 ▲'쉬었음'에 해당하는 비경제활동인구 102만6000명 ▲구직단념자 19만3000명 ▲주당 18시간 미만 취업자 98만9000명이 포함된다.
사실상 실업자(11월 기준)는 경기 악화 탓에 급증했다.
취업준비생 증가세도 두드러진다. 11월 현재 58만2000명으로 1년 전(53만명)보다 9.8% 증가했다. 이들은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 공식적인 실업자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사실상 실업과 다르지 않다.
이밖에 구직활동을 포기한 ‘구직단념자’에 해당하는 비경제활동인구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8.4% 늘어난 19만3000명을 기록했다.
명예퇴직을 했거나 경기전망이 불투명해 구직을 포기한 ‘쉬었음’에 해당하는 사람은 143만8000명이다.
주당 18시간 미만 취업자 98만9000명은 전년 같은 시기보다 4000명 늘어났다. 이들 취업자의 근로시간은 하루에 3시간이 채 안 돼 생계를 꾸려나가기에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단기 일자리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