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MS, 태블릿 '서피스3' 공개...5월 출시

[KJtimes=김봄내 기자]마이크로소프트(MS)가 신제품 태블릿 '서피스 3'를 올해 5월에 출시한다고 31(현지시간) 발표했다.

 

MS는 이날 웹사이트를 통해 서피스 3의 사양을 공개하고 예약주문을 받기 시작했다. 예약주문 발송은 55일부터이며, 미국 내 MS 스토어에서는 41일부터 시연이 이뤄진다. 미국 외 일부 시장에는 57일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 제품은 '체리 트레일'이라는 개발 암호명으로 알려진 인텔의 14나노미터(nm) 공정 쿼드코어 아톰 x7-Z8700(캐시 2MB)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이 프로세서의 클록 속도는 1.6GHz이며 인텔 버스트 기술로 2.4GHz까지 높일 수 있다.

 

이 제품은 서피스 프로 3용 펜을 지원한다. 범용직렬버스(USB) 3.0 포트, 미니 디스플레이포트, 마이크로 시큐어디지털(SD) 슬롯 등이 달려 있다. 또 마이크로 USB 충전포트, 헤드셋 잭, 커버 포트 등도 있다.

 

와이파이는 802.11 a/b/g/n/ac를 지원하며, 블루투스 4.0도 지원한다.

 

제품 크기는 267mm×187mm×8.7mm이고 화면 크기(대각선)10.8인치, 화면비는 3 2, 화소 수는 1920×1280이며 무게는 622g이다. 10 점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채택했다.

 

배터리 지속 시간은 '10시간까지'라고 표기돼 있다.

 

소프트웨어는 윈도 8.1이 탑재돼 있으며, 오피스 365 퍼스널과 원드라이브 클라우드 저장공간 1년 사용권이 무료로 제공된다.

 

이 중 윈도 8.1은 올해 내로 윈도 10이 나오면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앞면 카메라는 350만 화소, 뒷면 카메라는 자동 초점 기능이 있는 800만 화소 제품이다. 마이크로폰과 돌비 오디오 지원 스테레오 스피커가 내장돼 있다.

 

펜과 타이프 커버는 별도로 판매된다.

 

가격은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64 기가바이트, 2GB, 와이파이 지원 모델이 499 달러이고 SSD 128 GB, 4 GB, 와이파이 지원 모델이 599 달러다.

 

또 아직 예약 주문을 받지는 않고 있으나 롱텀에볼루션(LTE) 이동통신망까지 지원하는 모델들도 626일에 나올 예정이다. 사양은 LTE 지원을 제외하면 와이파이 전용 모델과 똑같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