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증권사들이 목표주가 ‘하향조정’한 종목…이것

‘삼성SDS•SK하이닉스•토비스’ 눈길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10, 목표주가 하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삼성SDS[018260]가 눈에 띈다. 이날 NH투자증권은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408000원에서 35만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올해 2분기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실적을 낸 것이라는 추정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삼성SDS의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9493억원과 157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5%, 9% 감소한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는 시장 컨센서스(평균 전망치)를 밑도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가 기대 이하의 실적을 낸 주원인으로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 부진을 꼽았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보기술(IT) 서비스 사업은 3개 분기 째 역성장했고 물류 업무처리아웃소싱(BPO) 사업은 휴대전화 물류 판매 부진으로 사업 개시 후 처음으로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감소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 매출 회복 등으로 외형 성장은 꾸준히 지속될 것이며 올해 매출액은 7% 늘어난 84666억원으로 전망한다면서 지난달 초 삼성전자의 합병 가능성부인으로 삼성SDS는 당분간 지배구조 이슈와 거리를 유지하겠으나 기업가치 상승과 함께 대주주 일가가 활용할 수 있는 19.1%의 지분 가치도 커진다는 점은 변함없다고 진단했다.

 

SK하이닉스[000660]의 목표주가도 내려갔다. HMC투자증권은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종전 6만원에서 53천원으로 내리고 매수투자의견은 유지했다. 2분기 실적이 DRAM(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하락으로 종전 전망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는 판단이다.

 

HMC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의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추정치를 47280억원과 14420억원으로 종전 전망보다 각각 2.5%, 9.5% 하향 조정했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북미 전략 거래선의 신제품 출시 효과에 힘입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2분기보다는 각각 4.4%, 4.1% 늘 것으로 예상된다애플 모멘텀을 감안할 때 주가는 현재를 바닥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런가 하면 토비스[051360]의 목표주가도 하향조정됐다. NH투자증권은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25000원에서 13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도 보유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올해 2분기 실적이 예상을 크게 밑돈다는 추정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토비스의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958억원과 75억원으로 지난해같은 기간보다 34.2%, 26.2% 감소한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는 예상치를 큰 폭으로 밑도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손세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적 부진은 고객사의 스마트폰 부진과 터치패널 등 스마트폰 부품 실적 감소 때문으로 분석된다면서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스마트폰 부품 사업의 불확실성으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모두 내렸다고 설명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