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韓國語]세계적인 금값 폭등 속 日은 '팔자' 열풍

세계적으로 금을 사려는 이들은 많고, 파는 이들은 적어 금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가운데 일본 만은 금을 팔려는 이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22일 니혼게이자이신문 인터넷판에 따르면 도쿄 지요다(千代田)구에 있는 금 취급점 도쿠리키혼텐(德力本店)은 금을 팔려는 이들이 몰려 연일 떠들썩하다.

다나카(田中) 귀금속 그룹의 매장에도 평소의 3∼5배에 이르는 손님이 몰리고 있다. 대부분 금을 팔려는 이들이다. 보석 등 귀금속을 파는 데 최고 7시간 걸릴 때도 있고, 일부 매장은 '1인당 5점'으로 판매를 제한하기도 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같은 현상은 각국의 물가나 실질금리와 관련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일본 이외의 국가는 물가 상승률이 금리를 웃도는 경우가 많다.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만큼 돈이 실물로 흘러들어 가기 쉽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유명한 디플레이션 국가인 일본 국민은 '금보다는 현금'이라고 생각한다.

이러다 보니 나타나는 역설적인 현상이 국내 금 생산량이 미미한 일본은 금을 수출하고, 세계 최대의 금 생산국인 중국이 이를 수입한다는 것이다.

중국은 세계 제일의 금 생산국이지만, 이중 일부를 외화 지급준비용으로 축적하고 있다. 민간의 금 수요는 국내 생산량의 두 배에 이른다. 중국은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 가서 금 등 자원의 공동 개발 교섭을 할 정도로 모자라는 금을 외국에서 조달하려고 애쓰고 있다. 일본은 폐 휴대전화나 가전제품 등에서 금 등 희소금속을 추출하는 이른바 '도시광산'이 발달한 국가다.

여기에 덧붙여 1970년대 말부터 금을 단기 투자 대상으로 보고 값이 내리면 사들였다가 오르면 팔기를 되풀이한 일본인들이 연초보다 금값이 30%나 오르자 매장으로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현장+] 30대 코스트코 노동자 일터에서 사망…노조 "3년째 열악한 근로환경 답보"
[KJtimes=정소영 기자] 지난 19일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카트관리 업무 중이던 30대 노동자 A씨가 의식을 잃고 동료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사망에 이르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마트산업노동조합(이하 마트노조)은 지난 23일 오전 10시 20분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 개최하고 고용노동부의 제대로된 재해조사 시행과 코스트코의 열악한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마트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사건이 발생한 코스트코 하남점은 비슷한 매출의 상봉점보다 적은 인력을 유지하며 한 직원이 여러 업무를 돌아가며 하는 이른바 ‘콤보’라 칭하는 인력 돌려막기로 직원들을 고강도 업무에 내몰고 있다”며 “A씨 역시도 계산대 업무에 이어 카트관리 업무도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인력 쥐어짜내기 문제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는 고온환경에 대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휴게시간과 휴게시설, 앉을 수 없는 장시간 계산업무, (A씨) 사고 당시 적절한 응급조치 여부 등 (고용노동부) 조사를 통해 재해의 연관성을 자세히 따져보아야 할 사고 요인이 산적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하지만 이 안타까운 죽음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애매한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