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절반, 전세값 3억5000넘어...가장 비싼 구는?

[KJtimes=김봄내 기자]전국의 아파트 전세 물량 중 2억원을 웃도는 것이 지난달 절반을 넘어섰다.

 

서울에선 35000만원을 넘는 아파트가 과반이 됐다.

 

15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의 중위 전세가격은 270만원으로 전월(19903만원)보다 0.8%, 지난해 같은 달(17666만원)보다 13.6% 올랐다.

 

이는 전국 아파트 가운데 절반은 전셋값이 270만원 이상이라는 의미다.

 

국민은행은 "중위가격은 주택별로 전세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딱 중간에 위치하는 가격"이라며 "전체 평균가격과는 다른 개념으로, 고가주택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평균가격보다는 대체로 낮다"고 말했다.

 

서울 전체의 중위 전셋값은 지난달 35092만원으로 전월(34660만원)보다 1.2%, 지난해 8(29513만원)보다 18.9% 뛰었다. 2년 전(26424만원)보다는 약 9000만원, 32.8% 오른 가격이다.

 

이는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 세입자가 대출에 의존하지 않고 재계약을 하려면 평균치로 따질 때 지출분을 제외한 한 해 순수입이 최소 4500만원은 돼야 한다는 의미다.

 

주요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 11개구(한강 남쪽 서울)가 가장 비싸고 상승폭도 가팔랐다.

 

강남 11개구는 지난 7(4335만원)에 처음 4억원을 넘은 데 이어 8월에는 4916만원으로 전월보다 1.4%, 작년 8(33726만원)보다 21.3% 치솟았다.

 

강북 14개구도 강남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지난달 28151만원으로 전월(27896만원)보다 0.9%, 지난해 8(24492만원)보다 14.9% 올랐다.

 

상승률로는 인천이 8월에 전월보다 1.4%,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9% 올라 강남 11개구 다음으로 높았다.

 

수도권(서울+인천+경기)25749만원으로 전월보다 1.1%, 작년 8월보다 16.7% 상승했다.

 

전세가격 강세는 전세의 월세 전환이 초저금리 상황과 맞물려 가속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서울에서는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강남 4구에서 잇따라 추진된 재건축 사업이 전셋값 급등과 전세난 심화를 불러왔다.

 

국민은행이 조사한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세계 금융위기 이듬해인 20093월부터 오르기 시작해 지난달까지 78개월째 올랐다.

 

이 기간 전국의 오름폭은 62.9%였고 대구가 81.7%로 최대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66.1%)에선 송파(88.6%), 서초(84.1%), 광진(77.9%)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