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韓國語]日 외상 "독도 불법 점거ㆍ지배되고 있다"

일본의 신임 외무상이 독도가 불법적으로 한국에 점거돼 있다는 자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되풀이했다.

아사히신문은 6일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무상이 자사와의 인터뷰에서 독도와 쿠릴열도(일본 명칭은 '북방영토')가 "법적 근거없이 점거ㆍ지배되고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겐바 외무상의 이런 발언은 자민당 정권때부터 이어지고 있는 일본 정부의 독도에 대한 공식 입장이다.

겐바 외무상은 중국과 영토 갈등을 빚고 있는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에 대해서는 "영토 문제가 존재하지않는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과 중국간에 오해가 있을수 있기 때문에 예기치않은 사태에 대비해 위기관리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과의 정부간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선 남북 대화를 면밀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해 한국과 북한간 대화를 지켜보면서 일본-북한간 협의 시기를 탐색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미국과의 외교 현안인 후텐마(普天間) 기지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는 "일미 합의에 근거해 진전시켜 나가겠다" 밝혀, 오키나와(沖繩)현 헤노코로 이전하기로 한 기존의 미일 합의를 준수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는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 문제에 대해서는 "가장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판단을 하겠다"면서 "일본으로서는 매우 중요한 기로에 있다"고 밝혀 TPP 참여를 검토하겠다는 견해를 시사했다.

겐바 외무상은 지난 2일 조각에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에 의해 외교 수장으로 발탁됐다.








[현장+] 30대 코스트코 노동자 일터에서 사망…노조 "3년째 열악한 근로환경 답보"
[KJtimes=정소영 기자] 지난 19일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카트관리 업무 중이던 30대 노동자 A씨가 의식을 잃고 동료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사망에 이르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마트산업노동조합(이하 마트노조)은 지난 23일 오전 10시 20분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 개최하고 고용노동부의 제대로된 재해조사 시행과 코스트코의 열악한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마트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사건이 발생한 코스트코 하남점은 비슷한 매출의 상봉점보다 적은 인력을 유지하며 한 직원이 여러 업무를 돌아가며 하는 이른바 ‘콤보’라 칭하는 인력 돌려막기로 직원들을 고강도 업무에 내몰고 있다”며 “A씨 역시도 계산대 업무에 이어 카트관리 업무도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인력 쥐어짜내기 문제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는 고온환경에 대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휴게시간과 휴게시설, 앉을 수 없는 장시간 계산업무, (A씨) 사고 당시 적절한 응급조치 여부 등 (고용노동부) 조사를 통해 재해의 연관성을 자세히 따져보아야 할 사고 요인이 산적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하지만 이 안타까운 죽음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애매한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