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아이폰6S∙플러스 출시...최저가 71만원 '어느 통신사?'

[KJtimes=김봄내 기자]애플의 아이폰6s와 아이폰6s플러스가 23일 국내에 전격 출시됐다.

 

이동통신 3사는 이날 전국 대리점과 온라인상에서 아이폰6s와 아이폰6s플러스를 공식 선보였다. 3사는 애플의 언락폰에 비해 모델별로 약 68만원 낮은 출고가로 신형 아이폰을 내놨으나 지원금은 소비자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최대 13만원대로 책정했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3사가 일제히 동일한 출고가를 책정해 아이폰6s 16GB 모델은 869천원, 64GB 모델은 999900, 128GB 모델은 113800원에 시장에 나왔다.

 

아이폰6s플러스의 출고가는 16GB 모델이 999900, 64GB 모델이 113800, 128GB 모델이 1261700원이다.

 

단말기에 붙는 공시 지원금은 10만원대 최고가 요금 기준으로 아이폰6s의 경우 LG유플러스가 137천원(16GB·64GB·128GB 동일)으로 가장 많이 실었고, 이어 KT가 이보다 약간 적은 135천원, SK텔레콤은 122천원을 각각 책정했다.

 

이 같은 액수는 작년에 KT가 작년 아이폰6 출시 때 최고 지원금을 25만원 제공한 것에 견줘 거의 절반에 불과한 수준이다.

 

여기에 각 대리점이나 온라인사이트에서 자체적으로 집행할 수 있는 15%의 추가 지원금을 더하면 LG유플러스에서는 아이폰6s 16GB711500원부터, KT에서는 713800, SK텔레콤에서는 728700원부터 구입할 수 있다.

 

아이폰6s플러스의 경우 SK텔레콤의 공시지원금이 122천원으로 가장 많고, KTLG유플러스는 118천원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아이폰6s플러스 16GB15%의 추가 지원금을 보태 SK텔레콤에서는 859600, KTLG유플러스에서는 각각 864200원에 살 수 있다.

 

아이폰6s6s플러스는 아이폰6 시리즈와 디자인은 물론 화면 크기(4.7인치·5.5인치), 화면 해상도, 화면 밀도 등 사양 대부분이 같다.

 

가로·세로 길이와 두께가 커지긴 했지만 그 차이가 0.1~0.2수준이어서 눈에 띄지 않는다. 아이폰6s와 아이폰6s플러스의 무게는 143, 192으로 전작보다 각각 14, 20늘었다.

 

색상은 실버와 골드, 스페이스 그레이 외에 로즈 골드가 추가돼 총 4종이다.

 

외관은 다를 바 없지만 애플이 개발한 첨단 기능이 많이 도입됐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도 지난달 아이폰6s 시리즈를 공개하면서 "디자인 빼고 모든 것을 바꿨다. 6s 시리즈는 현재 지구에서 가장 훌륭한 스마트폰"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화면을 터치하는 압력 세기에 따라 명령을 달리 인식하는 '3D 터치' 기능이다. 터치 강도를 탭, 누르기, 세게 누르기 등 3단계로 감지해 각각의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부쩍 향상된 카메라 성능도 눈에 띈다. 4K급 동영상 촬영 기능 탑재는 물론 앞뒤면 카메라 화소를 오랜만에 부쩍 키웠다.

 

뒷면 카메라는 1200만 화소, 셀프 촬영에 사용되는 앞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의 렌즈가 장착됐다. 전작 아이폰6 시리즈와 아이폰5s(후면 800·전면 120만 화소)보다 각각 400만 화소, 380만 화소가 늘었다.

 

'레티나 플래시'라는 이름의 새로운 카메라 기능도 담았다. 셀프 카메라 촬영 시 화면 밝기가 저절로 커지면서 플래시 조명 역할을 하는 기능이다.

 

촬영 당시의 순간을 동영상으로 담아주는 '라이브 포토' 기능도 있다.

 

기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애플의 자체 AP64비트 A9가 탑재됐다. A9 칩 탑재로 연산속도는 최대 70%, 그래픽 성능은 최대 90% 향상됐다.

 

홈버튼에는 애플의 2세대 터치아이디 지문인식 센서가 내장돼 반응속도가 이전보다 2배 이상 빨라졌다.

 

또한 최대 23개의 LTE 대역을 지원하기 때문에 전작보다 최대 2배 빠른 LTE 속도를 누릴 수 있다고 애플은 설명한다.

 

알루미늄 몸체는 아이폰6 시리즈 소재(6000시리즈 알루미늄)보다 강도가 높은 '7000시리즈 알루미늄'이 적용됐다. 화면을 덮는 유리도 아이폰6 보다 강도를 강화한 소재가 쓰였다.

 

 









[코로나 라이프] 거리두기 해제에…너도나도 캠핑붐속 "빛과 그림자"
[KJtime김지아 기자] 최근코로나19로부터 일상을 회복하고 있다. 답답한 집안에서 탈출한 사람들이 야외 활동이 증가하자, 공기 좋은 산림욕장 방문과 캠핑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코로나19의 확산세가 누그러지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곳곳의 캠핑장도 영업을 재개중이다.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보이는 캠핑 풍경은 주말마다 사람들의 마음을 산으로 들로 유혹한다. 캠핑의 문화를 회사 차원에서 지원, 캠핑장으로 워크샵을 떠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오토캠핑장을 찾는 사람들도 늘었다. 특히산림욕장을 겸한 오토캠핑장은 깔끔한 느낌으로 가족과 연인들을 초대중이다. 그릴에 고기를 굽는 풍경, 이웃과 정겨운 담소를 나누는 모습, 강아지와 잔디밭을 뛰어노는 아이들의 모습들이 캠핑의 즐거움을 극으로 치닫게 해준다. ◆캠핑장·펜션 예약 '북적'…7월과 8월 성수기 벌써 예약 끝나기도 지난 5월초 어린이날을 즐기려는 가족 단위 방문객들은 미리 예약하지 못한 사람들의 '아쉬움'이 가득했다는 후문이다. 가족의 달로 잘 알려진 5월에는 꾸준히 캠핑장 등의 문의가 이어지면서 여름방학이 포함된 7월과 8월은 이미 예약이 완료된 곳도 많아졌다. 강원도 한 펜션 관계자는

[현장+] 포스코건설, 광주 더샵 오포센트리체 ‘붕괴사고’ 쉬쉬(?)… HDC 붕괴사고 얼마나 지났다고
[kjtimes=견재수 기자] 포스코건설의 아파트 시공 현장(경기도 광주 더샵 오포센트리체)에서 작업 도중 천장이 내려앉는 붕괴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1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아이파크(HDC현대산업개발) 붕괴사고의 충격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발생한 터라 더샵 오포센트리체 입주예정자들의 불안감은 좀처럼 가시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해당 사고 현장을 취재한 언론사들의 기사가 삭제되고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어 일각에서는 포스코건설이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사고를 은폐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6일 <본지> 취재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20일 포스코건설이 시공 중인 경기도 광주시 오포 고산1지구 C2블록 ‘더샵 오포센트리체’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지하2층 천장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아파트 209동의 지하2층 슬라브 콘크리트 양생 작업 중 하중을 견디지 못한 거푸집이 휘면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행히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최고 25층까지 올라가는 아파트의 지하 천장이 내려앉은 사고라는 점에서 입주예정자들의 불안감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