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프라이데이 직구 1위는 '레베카 밍코프 미니맥' 인기가전은 어떤 제품?

[KJtimes=김봄내 기자]지난 주말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 우리나라 해외 직구(직접구매)족들은 레베카 밍코프 미니맥, 타이맥스 시계, 폴로 패딩 등을 대거 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국내 최대 해외배송 대행 서비스업체 몰테일(http://post.malltail.com/)에 따르면 지난달 27~29일 몰테일에 배송 대행이 의뢰된 상품 가운데 가장 수량이 많은 것은 레베카 밍코프 미니백 파이브집(Rebecca Minkoff Mini 5-Zip)이었다. 아마존에서 82% 할인해 46.88달러에 판매했다.

 

이어 타이맥스 T499389시계, 폴로 푸퍼패딩(POLO Puffer Jacket), 다이슨 청소기(V6 Motorhead Cordless Stick Vacuum), WMF사 갈라2 냄비세트(WMF GALA2) 등이 2~5위를 차지했다.

 

특히 폴로의 경우 과거 블랙프라이데이 할인을 이월상품에 국한해 적용했던 것과 달리, 올해에는 푸퍼 패딩처럼 해당 시즌 신상품도 할인해 인기를 끌었다.

 

다이슨 청소기(V6 Motorhead Cordless Stick Vacuum)도 면세 범위에 딱 맞는 199.99달러에 판매돼 국내 직구족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상품군 중에서는 가전제품의 약진이 눈에 띄었다.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상품군별 비중은 의류·언더웨어(속옷) 48% 전자제품 24% 신발·가방·잡화 18% 완구류 4% 기타 6% 등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의류 50% 신발·가방·잡화 18% 전자제품 13% 생활·주방용품 12% 기타 7% 등과 비교해 전자제품 비중이 두 배 가까이 불고 순위도 3위에서 2위로 뛰어올랐다.

 

이 밖에 몰테일은 지난해에 비해 일찍 핫딜(큰 폭의 할인 판매)이 시작됐다는 점, 인기 상품의 세일이 여러 온라인 매장에 걸쳐 이뤄졌다는 점, 국내 면세 기준 변화의 영향으로 200달러 이하 제품의 수요가 급증했다는 점 등을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직구의 트렌드(경향)로 꼽았다.

 

몰테일 관계자는 "12월에도 크리스마스, 연말 세일 등이 있기 때문에 연말까지 해외직구 열기가 식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온라인 캐시백(구매금액 일부 환급) 사이트 '이베이츠 코리아(www.ebates.kr)'도 자사 고객 구매 데이터를 바탕으로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실적을 정리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기간(23~27) 이베이츠 코리아 사이트 해외직구 관련 트래픽(접속자 수)은 작년보다 10% 늘었고, 구매단가도 17% 정도 높아졌다.

 

블랙프라이데이 시즌 시작 시점이 예년보다 빨라진 것도 마찬가지였다.

 

폴로··샵밥 등 해외직구 인기 브랜드 사이트들이 블랙프라이데이 당일(27)보다 나흘이나 앞선 23일부터 본격 세일에 들어갔다. 이베이츠의 트래픽도 이미 23일부터 작년보다 40% 이상 늘었다.

 

이베이츠 코리아 관계자는 "단순히 하루 블랙프라이데이 뿐 아니라 1주일 내내 세일과 구매가 이어지는 블랙위크(Black Week)로 진화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이베이츠에서 가장 많은 소비자들이 클릭하며 관심을 보인 제품 1위는 LG전자 벽걸이형 TV(43인치·Class LED HDTV)이었고, 캘빈클라인 롱워커코트(Long Walker Coat), 겐조 앤토니아 스웨트셔트(Kenzo x Antonia Sweatshirt) 등도 인기를 끌었다.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직구의 또 하나 특징은 모바일을 통한 구매가 늘었다는 점이다. 23~271주일동안 이베이츠 전체 트래픽 가운데 30%가 모바일 접속을 통해 이뤄졌다. 지난해의 경우 10%에도 모바일 비중이 미치지 못했다.

 

이베이츠 모바일 앱 트래픽(23~27)도 직전 1주일과 비교해 370% 크게 늘었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