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SK, 증권가에서 ‘호평가’ 나오는 진짜 이유

“바이오사업 가치 부각” “숨겨진 가치 현실화”

[KJtimes=김승훈 기자]SK[034730]에 대해 증권가에서 호평가가 나오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 SK증권과 유진투자증권 등이 호평가를 내놓았다


15SK증권은 SK에 대해 바이오사업의 부각으로 기업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5만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뇌전증 매출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수면장애 치료제 임상 3상이 진행 중이며 8개의 파이프 라인업(신약 후보물질)의 매출이 순차적으로 가시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의 신약개발 자회사인 SK바이오팜은 전날 장 종료 후 뇌전증 신약(YKP3089)의 임상2상을 최근 종료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신약 승인 요건에 대한 협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SK바이오팜은 4년간 미국·유럽·아시아에서 이 신약에 대한 임상2상 전·후기 시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 치료제보다 약효와 안전성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돼 FDA로부터 추가 약효 임상을 생략해도 좋다는 공식 확인을 받았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SK는 자회사 SK바이오팜이 개발 중인 뇌전증 치료제의 2상이 완료됐다고 공시했다뇌전증치료제는 미국에서만 연간 1조원의 매출과 5000억원의 영업이익이 기대되는 신약이라고 지적했다.


최 연구원은 시장조사업체인 데이터모니터에 따르면 뇌전증 치료제의 시장규모는 201449억 달러에서 201861억 달러로 연평균 6% 성장할 것이라면서 신약개발 완료 후 SK바이오텍의 제조를 통해 SK 바이오사업의 가치가 극대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 SK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5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숨겨진 가치(Hidden Value)가 현실화되는 과정에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SK그룹은 지난해 SKSK C&C를 합병한 이후 현재 지속적으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진행 중이다.


김준섭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SK100% 자회사인 SK바이오팜이 뇌전증(간질) 치료제의 임상 2상 종료와 3상 진행 예정에 대해 공시했다“SK는 내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약 판매 승인 신청 및 2018년 본격 시판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뇌전증 치료제 시장은 지난해 49억 달러 규모에서 201861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6%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의 사업성 역시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SK의 숨겨진 가치는 성장을 위한 투자 본격화, 주주환원정책 강화에 있으며 이 가치가 현실화되는 과정에 있다면서 총수가 지주회사의 등기임원으로 복귀함에 따라 인수합병(M&A) 등 투자의사결정 속도가 빨라지고 이로 인한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되며 총수 복귀 후 자사주 매입, 배당금 증가 등 주주환원정책도 강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SK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반도체 소재 및 바이오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지난해 하반기에는 OCI머티리얼즈를 인수하는 등 외부에서 신성장동력 수혈 작업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현장+] 포스코건설, 광주 더샵 오포센트리체 ‘붕괴사고’ 쉬쉬(?)… HDC 붕괴사고 얼마나 지났다고
[kjtimes=견재수 기자] 포스코건설의 아파트 시공 현장(경기도 광주 더샵 오포센트리체)에서 작업 도중 천장이 내려앉는 붕괴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지난 1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아이파크(HDC현대산업개발) 붕괴사고의 충격이 채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발생한 터라 더샵 오포센트리체 입주예정자들의 불안감은 좀처럼 가시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해당 사고 현장을 취재한 언론사들의 기사가 삭제되고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어 일각에서는 포스코건설이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사고를 은폐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6일 <본지> 취재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20일 포스코건설이 시공 중인 경기도 광주시 오포 고산1지구 C2블록 ‘더샵 오포센트리체’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지하2층 천장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아파트 209동의 지하2층 슬라브 콘크리트 양생 작업 중 하중을 견디지 못한 거푸집이 휘면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행히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최고 25층까지 올라가는 아파트의 지하 천장이 내려앉은 사고라는 점에서 입주예정자들의 불안감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