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30%, "고통분담휴가 독려 받은 적 있어"

[KJtimes=김봄내 기자]무거운 몸을 이끌고 출근한 당신. 평소 같으면 짜증부터 내며 당신을 찾던 상사가 오늘은 웬일인지 잠잠하다. 조용히 당신을 부른 상사의 한 마디. “회사 사정이 어려우니 한 일주일간 쉬는 건 어떻겠나?”

 

취업포털 인크루트(www.incruit.com 대표 이광석)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국내 기업 중 열에 세 곳은 경기침체 및 구조조정 등의 이유로 직원들에게 무급휴가를 독려한 적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것. 이들 중 85%는 최근 1년 이내에 고통분담휴가를 독려 받은 적이 있으며, 이 중 1달 이내에 쉴 것을 제안 받은 직장인도 22%나 되었다. 조선과 해운산업을 필두로 한 국내 산업계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구조조정 이슈 여파와 무관하지 않다.

 

한편, 고통분담휴가를 독려 받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직장인들의 60%생계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만 제안에 응한다고 답변했다. ‘회사 사정과 월급 지급은 별개이므로, 무급 휴가 지시에는 추호도 따를 생각이 없다는 답변(23%)이 그 뒤를 이었다. ‘회사 사정이 어려우면 나아질 때까지 따를 것이라는 직장인은 15%에 불과했다. 설마 나에게도 이런 일이 벌어질까생각할 수 있겠지만, 현재 우리 사회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이다.

 

그렇다면 독려되는 고통분담휴가 기간은 얼마나 될까. ‘회사 사정이 좋아질 때까지라는 기약 없는 휴가를 제안하는 14%의 기업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직원들에게 장려하는 휴가 기간은 주로 ‘1주일 미만’(39%). ‘1~2주 사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27%, ‘2~4주 사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7%였다. ‘휴일근무 폐지’, ‘향후 고정 연장근로 폐지’, ‘안식월 휴가, 샌드위치 휴가 등을 통한 연월차 촉진 제도등의 도입으로 '수주 절벽'에 대응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노력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

 

고통분담 휴가 대상자로 지정된 경험이 있는 회사원은 무려 61%. 이 중 현재 휴가 중이라는 응답자도 21%에 이른다. 하지만 직장인의 47%는 회사의 강제로, 29%는 회사의 독려 때문에 쉬고 있다고 응답했다. 무려 76%의 직장인들이 비자발적으로 쉬고 있는 셈. 고통분담휴가를 고지하는 회사의 방식 또한 강압적인 경우가 많았다. ‘강제적 시행’, ‘회사 사정에 대한 이해를 구한 뒤, 휴가자 및 휴가부서를 지정하는 경우가 각각 34%로 가장 많았고, 이어 특정 부서를 대상으로만 휴가를 독려했다는 응답은 11%로 나타났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기업들의 처절한 자구 노력이나 신속하고 단호한 정부의 조치도 필요하겠지만, 근로자들 역시 합리적인 대안을 위한 협상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국민들이 혈세 투입과 고통분담에 동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설문 소감을 밝혔다.

 

본 설문조사는 인크루트 회원 623명을 대상으로 2016510일부터 13일까지 4일간 진행되었으며, 설문 참여자 중 직장인은 71%였다.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