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대선후보 지지율]"문재인 36.6%·안희정 15.6%·안철수 12%

[KJtimes=김봄내 기자]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지지율 최고치를 경신하며 독주를 지속하는 상황에서 안희정 충남지사와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이재명 성남시장이 뒤를 이으며 치열한 2위권 다툼을 벌이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가 20일 밝혔다.

 

또 자유한국당 소속 홍준표 경남지사는 불출마를 선언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지지표를 가장 많이 흡수하며 수직상승해 10%에 육박했다.

 

리얼미터가 MBN·매일경제 의뢰로 전국 성인남녀 2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33주차(15~17)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2%포인트)에서 문 전 대표는 전주 주간집계보다 1.5%포인트 오른 36.6%를 기록했다.

 

안 지사는 1.5%포인트 오른 15.6%2위를 기록했고, 안 전 대표(12.0%, 1.8%포인트 상승)와 이 시장(10.8%, 0.5%포인트 상승)이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홍 지사(9.8%, 6.2%포인트 상승), 심상정 정의당 대표(3.9%, 1.9%포인트 상승),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3.8%, 0.7%포인트 상승),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1.8%, 0.3%포인트 하락), 바른정당 남경필 경기지사(1.6%, 0.3%포인트 하락) 등으로 나타났다.

 

문 전 대표는 31주차에 기록한 기존 최고치(36.4%)2주 만에 경신했으며, 2위와의 격차를 20%포인트 이상으로 유지하며 11주 연속 1위를 달렸다.

 

문 전 대표는 호남과 충청, TK(대구경북), PK(부산경남), 서울, 경기·인천 등 거의 모든 지역에서 선두에 올랐다. 60대 이상에서 홍 지사를 초박빙의 격차로 앞서며 1위로 부상하는 등 모든 연령층에서도 선두로 나섰다.

 

문 전 대표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불출마 선언을 한 다음 날인 16일 일간집계에서는 37.9%를 기록, 기존 일간 최고치(37.7%, 32일과 3)를 경신했다.

 

안 지사는 2주 연속 상승하면서 15.6%를 기록, 24주차(18.9%) 이후 3주 만에 15% 선을 회복했다.

 

안 지사는 TKPK, 호남, 40대 이상, 자유한국당·바른정당 등 비민주당 지지층, 보수층에서는 오른 반면, 충청과 수도권, 20대와 30, 진보층에서는 내린 것으로 조사됐다.

 

안 전 대표는 2주 연속 상승하며 12.0%를 기록, 지난해 113주차 이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3위에 올라섰다.

 

충청과 PK, 호남, 서울, 30대와 50대 이상, 국민의당·자유한국당 지지층과 무당층, 보수층과 중도층에서 상승한 반면, TK와 경기·인천, 정의당 지지층, 진보층에서는 하락했다.

 

이 시장은 0.5%포인트 오른 10.8%로 안 전 대표와 오차범위 내에서 다퉜다.

 

홍 지사는 6.2%포인트나 급등한 9.8%10% 턱밑까지 치고 올라왔다. 자신의 기존 최고치(7.6%, 2014114주차)를 약 24개월 만에 경신하며 6위에서 5위로 한 계단 올라섰다.

 

TK(12.3%, 10.6%포인트 상승)60대 이상(19.6%, 12.1%포인트 상승), 자유한국당 지지층(47.6%, 36.0%포인트 상승), 보수층(27.4%, 20.5%포인트 상승)에서 급등하는 등 거의 모든 지역과 계층에서 큰 폭으로 올랐다.

 

일간집계에서는 1712.5%까지 올라 안 전 대표와 이 시장을 오차범위 내에서 제치고 3위까지 올랐던 것으로 조사됐다.

 

심 대표(3.9%)는 기존 최고치(2.3%, 22주차)5주 만에 경신하고 처음으로 6위권에 진입했다.

 

유보층(지지후보 없음 또는 모름)은 지난주와 같은 4.1%로 나타났다.

 

민주당과 정의당 소속 대선주자의 지지율 합계는 66.9%5.4%포인트 상승했고, 국민의당 소속 주자의 지지율 역시 13.8%1.5%포인트 올랐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소속 구() 여권 주자는 15.2%6.9%포인트 떨어졌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이 50.0%(1.9%포인트 상승)로 주간집계 사상 처음으로 50% 선을 넘었다.

 

국민의당(12.0%, 1.6%포인트 상승)과 정의당(6.0%, 0.2%포인트)은 지지층이 결집하며 각각 자유한국당(11.6%, 0.9%포인트 하락)과 바른정당(4.8%, 1.5%포인트 하락)을 각각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이번 조사는 1월 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