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자동차열전] 기아차, ‘2013 K5’ 출시, “더 강력해진 상품성으로 돌아왔다”

세계가 인정한 디자인에 성능 강화, 한국 대표 중형 세단으로 자리매김

- 누우 2.0CVVL엔진탑재, 최고 172마력에 14.0km연비

-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적용…편의성, 안전성 대폭 강화

 

기아차가 다양한 고객 선호 사양과 새로운 엔진을 적용해 상품성을 한층 향상시킨 ‘2013 K5’를 선보인다.

 

기아자동차㈜는 주차 조향 보조시스템,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등의 첨단 사양을 통해 고객 편의성과 안전성을 대폭 강화하고, 누우 엔진을 새롭게 탑재해 강력한 성능을 확보한 ‘2013 K5’를 출시한다고 7일(화) 밝혔다.

 

‘2013 K5’는 대한민국 대표 중형 세단으로 자리매김한 K5의 명성에 걸맞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한 다양한 고급 사양을 신규 및 확대 적용해 고객 만족을 극대화했다.

 

‘2013 K5’에 처음 적용된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SPAS: Smart Parking Assist System)’은 차량 앞 부분의 초음파 센서를 통해 주차 가능 영역을 탐색한 후 스티어링 휠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운전자는 음성 안내에 따른 기어 변속 및 브레이크 페달 조작만으로 손쉬운 평행 주차가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을 통해 파킹 브레이크를 손쉽게 작동시키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Electric Parking Brake)’를 적용해 운전자의 작동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 밖에도 앞유리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김서림을 자동으로 방지해 주는 오토 디포그 시스템과 운전석 통풍시트를 신규 적용해 주행 편의성을 대폭 강화했다.

또한, 열선 스티어링 휠과 자외선 차단 전면유리, 클러스터 이오나이저 등 고객이 선호하는 다양한 고급 사양을 확대 적용해 고객에게 최고의 만족을 제공한다.

 

특히 제일 하위 트림인 스마트 모델까지 뒷좌석 중앙 3점식 시트벨트, 후방 주차보조 시스,템, 액티브 헤드레스트, 크루즈 컨트롤 등을 대거 기본 적용해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와 함께 기아차의 독자 기술로 개발돼 ‘2013 K5’에 국내 최초로 탑재된 ‘누우 2.0 CVVL 엔진’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적의 동력성능과 함께 높은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한 기아차의 차세대 주력 엔진이다.

 

‘누우 2.0 CVVL 엔진’은 기존 세타 엔진과 달리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흡기 밸브를 제어해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언제나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많은 공기가 필요한 고속 구간에서는 충분한 공기를 주입하고 저속 구간에서는 불필요한 공기 주입을 제어함으로써 항상 최적의 연료 연소가 가능하도록 해 엔진의 성능과 연비 효율을 극대화했고, 이와 동시에 부드러운 가속감을 구현했다.

 

아울러 엔진 응답성의 개선과 중·저속 구간에서의 성능 강화로 차량 출발이나 추월 등의 상황에서 충분한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주행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2013 K5’는 최고출력 172마력(ps), 최대토크 20.5kg·m로 기존 세타 엔진(최고출력 165마력(ps), 최대토크 20.2kg·m) 대비 각각 4.2%, 1.5%가 향상된 동급 최고 수준의 동력성능을 확보했으며, 연비 또한 7.7% 향상된 14.0km/ℓ로 우수한 경제성을 달성했다.

 

특히 차량 정차 시에 자동으로 엔진이 멈추고 출발 시에 다시 엔진이 가동되는 ‘ISG 시스템(Idle Stop and Go System)’을 적용할 경우 14.8km/ℓ의 연비를 구현해 고유가 시대에 적합한 최고의 친환경 경쟁력을 확보했다.

기아차 관계자는 “K5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역동적이고 세련된 디자인과 동급 최고의 상품성을 인정받으며 대한민국 대표 세단으로 성장했다”며 “올해에도 ‘2013 K5’의 출시와 함께 최고의 품질과 상품 경쟁력으로 대한민국 대표 중형 세단의 자존심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영업용으로 운영되는 2.0 LPi 모델 또한 뒷좌석 중앙 3점식 시트 벨트를 기본 적용해 안전성을 한층 강화하고 후방 주차보조 시스템 등의 편의 사양을 확대 적용했으며, 하이브리드 모델 또한 크루즈 컨트롤, 운전석 파워시트, 열선 스티어링 휠 등을 확대 적용하는 등 고객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아울러 가솔린 2.0 터보 GDi 모델의 기존 두 트림은 2.0 가솔린 모델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탄소중립+] 발암물질 범벅 시멘트, 폐기물 관리 이대로 괜찮나?
[kjtimes=정소영 기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등환경·시민단체들이 정부에 시멘트 정보공개·등급제 도입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촉구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녹색연합·소비자기후행동·한국여성소비자연합·환경운동연합·환경정의·환경재단 등은 지난 7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후위기 타개를 위한 탄소중립 선언 이후 시멘트 업계도 유연탄 대체재로 폐플라스틱 등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를 확대하고 있지만, 폐기물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시멘트의 유해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최근 폐기물 시멘트에서 1급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EU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에 유해 한 폐기물을 다량 투입하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준은 환경오염을 방조하는 수준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환경단체는 “대다수 국민은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가득한 각종 폐기물을 투입해 생산된 시멘트로 지어진 아파트와 건물들에서 생활하지만, 어떤 폐기물이 포함됐는지, 중금속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모르고 있다”며 “폐기물이 안전하게 순환자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허술한 환경규제기준을 방치한 채 시멘트 소성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