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고 쇼크 1년… 생활 속 AI 얼마만큼 가까워졌을까?

[KJtimes=김봄내 기자]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을 펼친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가 끝난 지도 어느덧 1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간 인공지능은 우리 생활에 얼마나 가까이 다가 왔을까.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자사 직장인 회원과 설문조사 전문업체 두잇서베이의 패널 1,295명을 대상으로 '알파고 쇼크 1: 인공지능, 얼마만큼 다가왔나요?'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알파고 쇼크 후 1, 전체 응답자의 79%앞으로 AI가 자신의 일상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AI 개발 수준에 대해서도 응답자 63%두각을 나타낸 분야가 많지는 않으나, 축적된 기본기를 활용해 속도를 내면 세계 수준을 따라갈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우호적인 반응을 내비쳤다.

 

하지만, 응답자의 상당수는 실제 일상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크게 감지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상생활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접할 기회가 있었는지묻는 질문에서 ‘(알파고 바둑 경기 이후로) 큰 변화가 없었다고 답한 응답자가 79%로 과반수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기회가 늘었다고 답한 이들은 17%에 불과했으며, 되레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 3%도 있었다.

 

인공지능 기술이 일상 또는 업무에 편리함을 가져왔는지묻는 질문에서도 그렇다(48%)’고 답한 입장보다는 아니다(52%)’고 답한 인원이 더 많아, ‘로봇 혁명이란 일반인들에게는 아직 요원한 개념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배경 속에서 인공지능의 업무 대체 가능성에 대해 묻자 열띤 갑론을박이 벌어지기도 했다. ‘(내 업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와 대체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50:50으로 나타난 것. 아이러니한 점은 지난해 동 설문조사에서 대체 가능할 것이라고 본 64%라는 결과를 14%p 하회하는 수치다.

 

대체 가능하다고 보는 이유로는 업무 정교성 : 프로그램 설계만 잘하면, 로봇이 온전히 대체할 수 있다는 견해와 업무 반복성 : 업무 특성상 반복성이 강해 로봇이 소화를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가 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체력 : 로봇은 겁먹지도, 두려워하지도, 지치지도 않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17%, ‘업무 소화력 : 굳이 숙련된 사람이 아니어도 숙련된 로봇이라면 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15%로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는 업무 완성도(14%)’, ‘개인차 극복 가능(6%)’ 등의 응답이 있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언제부터 대체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을까. 대체 가능성을 점친 응답자의 27%‘5년 내를 꼽았다. 15%‘3년 내에도 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10%이미 지금도 업무의 일정 부분에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됐다고 했다. 대체로 과반수가 ‘5년 내에 대체가 진행될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로봇의 업무 대체 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 또한 뚜렷했다.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데 로봇은 이 기능이 부족하다고 본다는 답변과 업무관련 사건, 사고 발생 시 로봇은 위기대처능력이 떨어진다고 보기 때문’, ‘(내 업무는) 상당 부분이 사람의 창의성, 감성에 기초한 업무이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각각 25%로 동률을 기록했다. 그 외에도 직장생활에서 인간관계 팀웍 등이 중요한데 로봇은 공동체의식이 부족하다는 견해가 16%, ‘내 업무를 로봇이 대체한다고 생각하니(로봇에게 일자리를 내준다고 하니) 어쩐지 허탈해서라는 답변도 9%를 기록했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언젠가는 도래하겠지만, 아직까지는 일반인들에게 AI란 생소한 개념인 것 같다, “인공지능이 발전해 나가는 전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한국의 기술도 한층 더 성장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는 설문소감을 밝혔다.

 

본 설문조사는 324일부터 329일까지 인크루트 회원과 두잇서베이 패널 1,29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내 ±2.72%.

 









[스페셜 인터뷰]‘소통 전도사’ 안만호 “공감하고 소통하라”
[KJtimes=견재수 기자]“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변화는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을 자라지 못하게 방해하고 있다. 공감과 소통이 어려워진 것이다.(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사라지고 충동만 남게 됐다.” 한국청소년퍼실리테이터협회(KFA: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를 이끌고 있는 안만호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 대해 이 같이 진단했다. 또 이제 공감능력 없이는 생존하기 힘든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비대면 사회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소통 전문가로 통하는 안 대표는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이나 SNS, 유튜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 사회성은 경험의 산물이 아니라 지식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며 “요즘 인간의 탈사회화가 진행되는 것에 비례해 인간성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코로나 사태는 사회적 거리를 두더라도 우리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체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이자 연대라는 점이 더욱 분명하게 밝혀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