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와 분석

[현장+]노동부, 쿠팡 ‘직장 내 괴롭힘’ 인정…勞 “집단 괴롭힘”vs使 “상사 1인 문제"

쿠팡물류센터지회, 쿠팡윤리위원회가 외면한 직장 내 괴롭힘 9개월 만에 고용노동부가 인정
쿠팡 “노동청에서 괴롭힘 인정하지 않은 직원들에 대해 중징계 및 정신건강 조사 납득 불가”

[KJtimes=견재수 기자]쿠팡이 과로사 문제에 이어 직장 내 괴롭힘이 확인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최근 고용노동부는 쿠팡 직원 A씨가 상사로부터 직장 내 괴롭힘을 당했다며 제출한 진정서를 토대로 조사를 벌여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된다고 판정했다.


공공운수노조 전국물류센터지부 쿠팡물류센터지회는 지난 9일 기자회견을 열고 직장 내 괴롭힘을 방관한 쿠팡을 규탄하고 괴롭힘 없는 쿠팡 만들기를 요구했다.


앞서 쿠팡물류센터지회는 지난 422괴롭힘, 성희롱 없는 쿠팡에서 일하고 싶다!’라는 기자회견을 통해 피해노동자 A씨의 직장 내 괴롭힘 사례를 고발한 바 있다.


당시 A씨는 노동조합 관련 밴드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상사로부터 괴롭힘을 당했고 이를 쿠팡윤리채널에 신고를 했으나 쿠팡은 자체조사를 통해 직장 내 괴롭힘이 아니라고 결론을 내렸다.


쿠팡물류센터지회는 이에 쿠팡의 방관과 외면은 이후 가해자들이 추가되고 집단 괴롭힘으로 확대되는 등 더 큰 문제를 야기했다“A씨는 상사로부터 부당한 간섭 및 협박을 당했다면서 513일 고용노동부 인천북부지청에 진정서를 제출했고 그 결과 고용노동부는 쿠팡에서 벌어진 해당 사건에 대해 직장 내 괴롭힘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쿠팡물류센터지회는 피해노동자가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넣고 고용노동부가 재조사를 착수한 후에도 괴롭힘은 멈추지 않았다오히려 관리자들의 집단 괴롭힘으로 피해노동자의 고통은 더욱 심각해졌지만 쿠팡은 이를 방관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쿠팡에 집단 괴롭힘 가해자 전원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고 이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추가적인 조사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또한 집단 괴롭힘을 방관한 쿠팡이 오히려 노동조합이 직장 내 괴롭힘을 악용하고 있다는 거짓말을 비롯해 현재 피해노동자(A)에게 지속적인 2차 가해를 벌이고 있는 사실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했다면서 피해자 회복방안 지원과 가해자에 대한 조치 의무 이행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쿠팡은 공공운수노조가 제기하고 있는 직장 내 괴롭힘 문제에 대해 사실 관계를 왜곡하는 허위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쿠팡은 노조에서 4명의 직원을 가해자라 주장하며 중징계를 요구했으나 관할 노동청은 이 중 1명의 일부 발언에 대해서만 문제를 삼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안의 전체적인 사실관계와 관할 노동청의 판단 내용을 왜곡하는 노조의 주장을 납득할 수 없다면서 이 사건과 관련 없는 직원들에 대해 법적 근거 없이 불이익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쿠팡은 노동청 조사 결과에 따른 조치를 검토 중이라며 하지만 노동청에서 괴롭힘을 인정하지 않은 직원들에 대해서까지 중징계 및 정신건강 조사, 노조의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참여 보장 등 납득할 수 없는 사실 왜곡이 계속된다면 회사도 이를 그대로 묵과할 수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홍석준 의원, 선거사무원 수당 현실화법 국회 본회의 통과
[kjtimes=견재수 기자] 홍석준 의원(국민의힘, 대구 달서구갑)이 대표발의한 선거사무원 등에 대한 수당을 상향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대안에 반영돼 지난 1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를 통과한 개정안은 선거사무장 등에게 지급되는 수당을 현행의 두 배로 일괄 인상하도록 하고, 후보자의 선거운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선거사무관계자 수당 인상액만큼 선거비용제한액을 함께 늘리도록 했다. 현행 지급되는 수당과 실비의 수준은 ‘공직선거관리규칙’이 제정된 1994년 이래 인상되지 않고 28년째 동결돼 1994년에 책정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태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홍 의원은 선거사무장·선거연락소장·선거사무원·활동보조인 및 회계책임자에 대한 수당을 「최저임금법」에 따라 고시되는 최저임금액 이상으로 정하도록 하고, 휴일의 수당은 평일보다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해 선거사무원 등의 열악한 처우를 개선하고자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발의 하기도 했다.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선거사무원의 경우 현행 3만원에서 6만원,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 및 지방선거의 선거사무장, 연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