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증권사들이 목표주가 ‘하향조정’한 종목…알아보니

‘LG이노텍•현대위아•한라홀딩스’ 눈길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27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LG이노텍[011070]과 현대위아[011210], 한라홀딩스[06098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삼성증권은 LG이노텍의 목표주가를 종전 15만원에서 12만원으로 낮췄다. 그러나 3분기 이익은 2분기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이는 2분기 실적이 TV 부품 부문 부진으로 기대치를 크게 하회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LG이노텍은 지난 24일 공시를 통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14471억원과 489억원으로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45.6%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2592억원과 3496억원으로 종전보다 각각 13%, 5%가량 낮춘다고 설명했다.

 

KB투자증권도 LG이노텍의 목표주가를 14만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2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는 이유에서다.

 

KB투자증권은 LG이노텍이 2분기에 매출 14500, 영업이익 489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전망치)를 밑돌았다면서 카메라모듈 매출 증가와 차량용 부품의 신규 수주 증가는 괄목할 만하나 TV업황 부진 및 캡티브 거래선의 스마트폰 사업 부진이 수익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김상표 KB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는 양대 사업부(광학솔루션, LED)의 실적 개선과 차량용 부품 매출의 성장이 본격화되는 시기인 데다 최근 주가 급락으로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매력도 발생한 만큼 매수 관점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언급했다.

 

같은 날, HMC투자증권은 현대위아[011210]의 목표주가를 종전 23만원에서 145000원으로 대거 낮추고 며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기존에는 업종 내 돋보이는 외형 성장 기대가 있었고 밸류에이션(평가가치)도 프리미엄이 있었으나 현재는 완전히 소멸됐다는 게 그 이유다.

 

이명훈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기아차의 판매부진, 특히 중국에 대한 우려로 2015 사업연도 주가수익비율(PER)6.6배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중국 우려가 완화되면 프리미엄을 다시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그러나 2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하고 현대차그룹 내 엔진공급 점유율 확대라는 기존의 중장기 성장모멘텀은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그런가 하면 NH투자증권은 한라홀딩스의 목표주가를 종전 86000원에서 73000원으로 내렸다. 이 회사에 대한 이익 전망치 하향 조정을 반영한 것이다. 만도의 이익 전망치 하향 조정에 따른 지주부문 수익감소와 만도, 한라의 시장가치 하락을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하지만 지주회사 전환 과정에서 안정적이면서 실적 가시성이 높은 사업구조로 변화한 점은 긍정적이라며 유통과 물류 부문에선 사업 구조조정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판단했다.

 

조 연구원은 한라는 신용위험이 축소돼 한라의 영업정상화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잠재적인 기대요인이라면서 한라는 최근 교육특화단지로 조성 중인 배곧신도시의 성공적인 분양으로 올해 하반기 영업 정상화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코로나라이프] 엔데믹 여파 일회용품 사용 많아져…정부는 "규제 필요" VS 점주들은 "반발"
[KJtime김지아 기자]서울시 고척동에 거주하는 정모씨(33세)는 주말마다 아이들과 '때아닌 미술활동'을 하고 있다.최근 배달음식을 시켜 먹고 생긴 일회용 그릇들을 모아뒀다가 재활용을 하는 일환인데,인터넷 블로그와 유튜브 등을 보면서 배웠던 방법으로, 올해6살과 8살 남매와 함께 다양한 미술작품을 만들고 있다. 지난주에는 플라스틱 접시에 점토를 붙여 아이들 사진을 넣고 액자를 만들었다.이번주에는 플라스틱 컵 아래에 구멍을 내고 화단의 흙을 가져와 담고 토마토 모종을 심었다.컵의 표면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스티커와 네임펜으로 적고 그리게 했다.만들어진 화분은 아이들의 방 창가에 두었다. "화분은 아주 기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활용 방법이다. 그밖에 그릇이나, 납작한 도시락 용기는 아이들의 서랍이나 옷장에서 사용하고 있다." 정씨도 처음에는 배달업체나 택배업체에서 받은 박스나 그릇들을 재활용 수거날짜에 맞춰 내놓았다. 하지만 환경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캠페인 등을 보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그는"다회용품이나, 일회용품 재활용 하는 것도 솔직히 귀찮고 번거롭다. 하지만 환경오염이 심각한 거 같아서,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조금이라도 바꿔보려고 결심했다"고 전


[탄소중립+] “韓, 산림 바이오매스 지위도 전면 재검토해야”
[KJtimes=정소영 기자]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적받아온 바이오매스 발전에 유럽연합(EU)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25일 비영리단체인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지난 17일(현지시간) 유럽 의회 환경·보건·식량안전위원회(환경위원회)는 재생에너지지침(RED II) 개정안에서 산림 바이오매스의 사용을 제한하는 권고를 채택했다. 국내 산림 바이오매스 정책과 방향이 유럽의 기준을 참고해온 것을 고려하면 국내 바이오매스 인식과 정책에도 반영돼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기후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개정 권고로 기존 RED II의 지속가능성 기준에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바이오매스’ 정의가 추가되고 이것의 사용을 제한한다”고 말했다. 1차 바이오매스는 벌채로 숲에서 직접 수확한 원목 등의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도 유사하게 정부 지원 아래 ‘미이용 바이오매스’라는 이름으로 공공연히 산림이 벌채되고 있다. 이번 권고 내용을 보면 ▲1차 바이오매스는 EU 회원국의 재생에너지 목표에 포함될 수 없다 ▲재생에너지지침에 따른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 목재만 바이오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