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메르스 상처 치유’…전 수준으로 돌아간 종목 ‘주목’

‘아모레G•하나투어•모두투어•한국콜마•CJ CGV•호텔신라’ 눈길

[KJtimes=김승훈 기자]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주식시장을 초토화시킨 후 그 상처가 아물러가고 있는 분위기다. 이 같은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메르스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한 종목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아모레G[002790]과 하나투어[039130], 모두투어[080160], 한국콜마[161890], CJ CGV[079160], 호텔신라[008770] 등이 주역이다.

 

29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아모레G는 국내 첫 메르스 환자가 나오기 직전인 519일 주가가 195500원이었으나 메르스 영향으로 610166000원까지 떨어져 시가총액이 한때 23540억원이나 줄었다. 하지만 이달 28일 현재 주가는 197000원으로 메르스 사태 이전으로 회복했다.

 

하나투어는 이달 28일 기준 172000원으로 메르스 사태 직전보다 오히려 주가가 더 상승했다. 지난 519132500원에서 610122500원으로 떨어진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이 기간 같은 여행주인 모두투어(386003390042000)나 화장품주인 한국콜마(9440094000107500)도 비슷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영화관을 운영하는 CJ CGV(11200010300012만원), 면세점과 호텔을 운영하는 호텔신라(115000105500133500)도 비슷했다.

 

증권가에선 물론 면세점 사업권을 따낸 호텔신라나 하나투어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런 주가 흐름을 모두 메르스 여파라고 치부하기는 어렵지만 적잖은 영향을 줬음은 분명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기대감을 반영해 주가가 반등하더라도 메르스의 기업 실적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은 3분기에도 남아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종대 하나대투증권 소비자팀장은 오는 8월 중하순까지는 유커의 감소 영향이 남아 오히려 일부 기업 실적에 대한 여파는 2분기보다 3분기가 더 클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회복 중이기는 하지만 아직은 주가가 메르스 사태 직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 종목들도 눈길을 끌고 있다.

 

화장품주인 아모레퍼시픽[090430]436500원에서 389000원을 거쳐 411500원으로 ‘U’자 형태를 그렸다. 그러나 아직은 사태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지는 못한 상황이다.

 

이밖에 LG생활건강[051900](88900075만원855000)이나 면세점인 AK홀딩스[006840](850008160088600), 아시아나항공[020560](679060806290) 등도 유사한 흐름이다.

 

LG생활건강은 특히 최근 발표한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4.8%, 38.4% 증가한 13110억원과 168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메르스 사태 후 낮아진 시장 평균 기대치(컨센서스)를 웃돈 것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이에 따라 2분기 영업이익이 예상치를 14% 상회했다며 LG생활건강의 목표주가를 종전 96만원에서 110만원으로 올리기도 했다.

 

박현진 동부증권 선임연구원은 “LG생활건강 실적이 발표되고서 메르스 여파에 대한 우려가 과했다는 시장 반응이 나왔다유커(중국인 관광객) 수가 아직 사태 전 수준으로 늘지는 않았지만 주가는 미래 기대를 반영하는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다.








[현장+] 30대 코스트코 노동자 일터에서 사망…노조 "3년째 열악한 근로환경 답보"
[KJtimes=정소영 기자] 지난 19일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카트관리 업무 중이던 30대 노동자 A씨가 의식을 잃고 동료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사망에 이르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마트산업노동조합(이하 마트노조)은 지난 23일 오전 10시 20분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 개최하고 고용노동부의 제대로된 재해조사 시행과 코스트코의 열악한 근로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마트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번 사건이 발생한 코스트코 하남점은 비슷한 매출의 상봉점보다 적은 인력을 유지하며 한 직원이 여러 업무를 돌아가며 하는 이른바 ‘콤보’라 칭하는 인력 돌려막기로 직원들을 고강도 업무에 내몰고 있다”며 “A씨 역시도 계산대 업무에 이어 카트관리 업무도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인력 쥐어짜내기 문제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는 고온환경에 대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휴게시간과 휴게시설, 앉을 수 없는 장시간 계산업무, (A씨) 사고 당시 적절한 응급조치 여부 등 (고용노동부) 조사를 통해 재해의 연관성을 자세히 따져보아야 할 사고 요인이 산적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하지만 이 안타까운 죽음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애매한

[코로나라이프] "코로나보다, 감염병 더 조심" 폭우·홍수지역 감염병 발생 주의
[KJtimes=김지아 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지역별 집중호우로 하천 범람과 침수 등 수해 발생에 따라, 위생환경이 취약해지고 모기 등 매개체가 증가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해 감염병 유행을 대비해 청장 주재로 7월 17일 오전 '호우대비 긴급감염병 현황점검' 회의를 개최해 감염병 대응상황을 점검했다. 풍수해 감염병에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A형간염, 장관감염증 등), △모기 증식이 쉬운 환경 조성으로 인한 모기매개 감염병(말라리아, 일본뇌염), △오염된 물 등에 직접 노출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파상풍, 렙토스피라증, 안과 질환 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풍수해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고, 손씻기 등 위생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침수지역에서 수해복구 등의 작업 시에는, 방수장갑(고무장갑)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작업 종료 후에는 반드시 깨끗이 씻을 것을 당부했다. 더불어 지자체에는 모기 등 매개체 급증을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방제를 요청했다.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범람 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한 장티푸


[탄소중립+] 한국산업은행, 화석연료 산업 투자 '그린워싱' 논란…허울뿐인 '적도원칙' 가입
[KJtimes=정소영 기자] 전 세계가 탄소중립 실천을 통해 급변하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 호주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하고 있어 자금을 회수하라는 기후환경단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 호주의 주요 에너지 기업이 추진 중인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에 현지 인허가 이슈, 호주 국회의 신규 가스전 배출량 규제 강화 등 장애물이 잇따라 등장하며 난관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가스전 개발에 핵심이 되는 설비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기후솔루션을 비롯한 8개 국제 기후환경단체는 이슈 브리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발간해 바로사 가스전 생산 설비인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설비(이하 FPSO) 건조에 금융을 제공한 9개 금융기관을 공개하고, 해당 시설에 투자된 1조 3000억원 가량(11억 5000만달러)의 자금 마련에 참여한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회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브리프에 따르면, 이들 금융기관 대부분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협의체를 가입한 것이 신규 가스전 개발에 어긋나며, 인허가 미취득인 현 상황에서 금융약정상 자금 회수가 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