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LG전자, 프리미엄 스마트폰 ‘G6’ 공개...3월10일 국내 출시 '출고가는?'

[KJtimes=김봄내 기자]LG전자가 차기 전략 스마트폰 G6를 공개했다.

 

LG전자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 개막을 하루 앞둔 26(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몬주익 언덕의 산 호르디 클럽에서 G6 공개행사를 열었다.

 

G6는 디스플레이를 키우면서도 가로 폭을 줄여 그립감을 개선했다. 기존 LG폰과 다르게 방수·방진 기능과 일체형 배터리, 메탈(금속) 테두리를 도입했다. 인공지능(AI) 가상비서도 탑재했다.

 

LG전자는 오는 310G6를 국내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며, 출고가를 899800원으로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준호 LG전자 MC사업본부장(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전작 스마트폰의 혁신을 여전히 자랑스러워 한다"면서도 "고객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면서 기대가 달라졌다는 것을 배웠다"고 말했다.

 

G6'풀비전'(Full Vision)은 광범위한 시장 조사를 거쳐 얻은 첫 번째 해답이다.

 

소비자들은 스마트폰 화면이 더 커지고, 본체가 더 작아지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LG전자는 LG디스플레이와 손잡고 전에 없던 189 비율의 모바일용 패널을 개발해 풀비전이라 명명했다.

 

시중의 스마트폰 화면이 169 비율이니 세로로 10이상 늘린 셈이다.

 

화면 크기만 키운 것이 아니라 몰입도도 높였다. 풀비전은 QHD(2880×1440) 해상도를 갖추고, 1인치당 화소수(PPI)564개로 늘렸다. 덕분에 빠르게 움직이는 동영상도 생생하게 구현한다.

 

풀비전은 또 화면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더 깊이있게 표현하는 HDR 기술을 돌비 비전, HDR 10 등 복수의 규격으로 지원한다. 고화질 콘텐츠에 적합한 돌비 비전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은 G6가 처음이다.

 

G6는 디자인 측면에서 과거의 G 시리즈와 완전히 결별했다고 볼 수 있다. 방수·방진 기능과 일체형 배터리, 메탈 테두리는 LG전자 스마트폰에서 거의 볼 수 없었던 디자인이다.

 

삼성전자와 애플이 일찌감치 일체형 배터리를 도입한 반면에 LG전자는 탈착형 배터리를 고수해왔다.

 

하지만 탈착형 구조로는 방수·방진 기능을 구현하기 어렵고, 방수·방진이 최신폰의 필수 기능으로 자리 잡는 최근 분위기에서 탈착형을 고집하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G61.5수심에서 30분 동안 버틸 수 있는 최고 등급(IP68)의 방수·방진 기능을 갖추는 대신 분리할 수 없는 단단한 고릴라 글라스로 뒷면을 덮었다.

 

후면의 듀얼 카메라, 지문인식 센서를 내장한 전원 버튼 등이 튀어나오거나 들어간 부분 없이 매끄럽게 처리돼 G 시리즈 중 처음 일체형으로 디자인된 G6의 유려함을 더해준다.

 

LG전자는 G6의 안전성을 강조한다. 지난해 하반기 잇단 발화 사고로 단종된 갤럭시노트7 사태를 염두에 둔 포석이다.

 

LG전자는 기기 내부의 열을 밖으로 배출하는 냉각 장치인 히트 파이프를 G6에 내장했다. 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카메라 모듈 등 열이 나는 부품끼리 최대한 멀리 떨어뜨려 놓았다.

 

회로 집적도가 높은 부품은 직접 충격을 받지 않도록 가장자리 대신 안쪽으로 배치했다.

 

LG전자는 G6가 업계 기준을 웃도는 혹독한 자체 품질 검증을 거치도록 했고, 수천 번의 사전 시험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안전성을 확인했다. G6에 적용한 배터리 안전 관련 테스트 항목만 20여 가지에 달했다.

 

애플페이, 삼성페이 같은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LG페이는 올해 6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추가될 예정이다.

 

내달 공식 출시 직후 G6를 구매하더라도 추후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해 LG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s=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 29일 주총서 일본 롯데홀딩스 경영 복귀 다시 시도
[KJtimes=김지아 기자]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이 일본 롯데홀딩스 경영 복귀를 다시 시도한다. 이번이 여덟번째다.신동주 회장은 지난 2015년 7월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이 시작된 이후 지난해까지 모두 일곱번에 걸쳐 자신의 경영 복귀를 시도했다가 모두 실패했다 . 지난 6월24일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은 오는 29일 예정된 롯데홀딩스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자신의 이사 선임을 비롯해, 동생인 신동빈 롯데홀딩스 이사의 해임, 정관 변경 등의 안건이 담긴 주주제안서와 사전 질의서를 제출했다. 제안서에서 신동주 회장은 "신동빈 회장이 롯데홀딩스 대표이사로 취임한 이후, 롯데홀딩스는 코로나19 이전부터 이어진 매출 감소, 거액의 손실이 더해져 작년에는 설립 이래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하는 등 실적 부진이 계속되고 있어 경영자로서 좋은 평가를 하기는 어렵다"며 "한국 자회사에서는 인력감축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는 데 반해 신동빈 회장은 실적 부진의 책임을 지지 않고 자회사에서 배당 및 임원 보수 명목으로 거액의 보상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 2019년 10월 국정농단·경영비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