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증권가에도 감원 바람 '쌩'

애널리스트 수, 금융위기 직후 증가…최근 2년새 6% 감소

[kjtimes=서민규 기자] 증권가도 감원바람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증권사의 애널리스트 수가 줄고 있는 것.

 

7일 한국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확대됐던 증권사 조직이 유럽 재정위기 여파에 따른 불황으로 다시 슬림화하면서 애널리스트 수는 2년 남짓한 사이 6%가량 감소했다.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2010년 말 1573명에서 지난달 현재 1478명으로 95(6.0%) 줄었다. 거래대금이 급감하고 영업이익이 반 토막 나면서 전체적으로 임직원 구조조정이 지속됐고, 애널리스트들의 자리도 예외가 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애널리스트 감소는 비교적 재정상태가 좋은 10대 증권사도 마찬가지다. 2010년 말 693명에서 지난 2월 말 현재 663명으로 4.3% 감소했다. 이 기간 삼성증권은 104명에서 92명으로, 동양증권은 61명에서 51명으로, 대신증권은 60명에서 52명으로, 현대증권은 76명에서 70명으로 각각 줄었다.

 

증권사들은 2009년 말 금융위기 충격에서 회복되면서 공격적으로 조직을 확충했고 당시 1년 새 애널리스트 수도 100명가량 급증했다. 그러나 유럽재정 위기 여파로 증시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늘어났던 애널리스트 수는 금융위기 이전 규모로 완전히 원상복귀 된 셈이다.

 

증권사 구조조정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던 펀드매니저 수에도 최근 영향을 미치기 시작,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펀드매니저 수는 올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불황으로 고용 불안이 가중된 증권사들은 임직원 수가 2011년 말 4455명에서 작년 말 현재 42802명으로 1253명이나 줄었다.

 

연말 기준으로 증권사 임직원이 줄어든 것은 2005년 이후 7년 만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애널리스트의 경우 리서치센터를 정책적으로 축소하려는 움직임은 없었다하지만 최근 12년 사이 증권시장이 위축되면서 인건비를 고려해 줄어든 인원을 충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현장+] "산업은행 부산 이전 본격화?" 의혹 무성한 수상한 이전…노조는 결사반대
[KJtimes김지아 기자]산업은행이 지난 9월28일 '부산이전 준비단'을 발족, 이전 행보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와 관련한 무성한 '의혹'들이 관계 기업과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최근회장 직속으로 TF 팀을 구성, 전략기획팀과 인프라기획팀이 꾸려진 상태로 전해지고 있다. 전략기획팀은 동남권 영업력 강화방안 등 전략위주로, 인프라기획팀은 동남권 조직 업무 등 인프라 구축위주로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9월 2급 2명, 3급 6명, 4급 2명 등 10명으로 이전 준비단 TF 상근조직을 꾸리고 이외에도 40명을 비상근으로 더 뽑아서 50명이 실무작업에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에서도 산업은행 이전 지원협의회 형태로 공무원과 대학, 전문가, 부산상공회의소와 시민단체 등 15명 규모로 꾸며진 조직을 꾸려서 산은이전에 대한 논리를 개발, 지원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전 작업에 속도가 붙은 것과 달리, 산업은행 이전 후 서울 여의도 본사 사옥 부지를 놓고 다양한 의혹들이 거론되면서 논란이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핵심 논란은 '롯데패밀리'가 여의도에 쇼핑몰을 세우기 위해 전방위 로비를 펼치고 있다는 추측성 의혹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