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증권사들이 목표주가 ‘하향조정’한 종목…이것

‘한미반도체•LS•피에스케이’ 눈길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19,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한미반도체[042700]가 눈에 띈다. 이날 삼성증권은 한미반도체의 목표주가를 종전 16000원에서 12000원으로 낮췄다. 2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삼성증권은 한미반도체의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도 1249억원과 214억원으로 종전보다 각각 24%, 46% 하향 조정했다.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2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 감소한 287억원, 영업이익은 70% 40억원에 그쳤다향후 수요 회복 기대감도 낮출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LS[006260]도 목표주가가 하향조정됐다. 현대증권은 LS의 목표주가를 종전 7만원에서 54000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지난 2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냈다는 분석이다.

 

전용기 현대증권 연구원은 “LS2분기에 다소 아쉬운 성적을 발표했는데 주된 원인은 LS니꼬동제련에서 투자한 광산 지분 가치가 급락해 투자금액 대부분인 790억원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 연구원은 하지만 LS니꼬동제련의 설비증설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낮은 구리가격의 영향으로 정련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면서 “LS전선의 수익성도 다소 회복되고 있는 중이라고 판단했다.

 

피에스케이[031980]도 목표주가가 내려갔다. KTB투자증권은 피에스케이에 대한 투자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보유, 목표주가를 15000원에서 12000원으로 낮췄다. 2분기 실적이 자사 추정치와 시장 전망치에 미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진성혜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회계 기준 변경 및 D램 설비투자 지연으로 2분기 실적이 부진했다지난 2년 동안 삼성전자가 구매한 장비의 효율성이 제고됐고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V-NAND) 관련 투자로 인한 수혜가 당분간 제한적일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코로나 라이프] 백신치료제 기업들, 코로나치료제 개발 이슈로 이득만 취해
[KJtimes김지아 기자]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이 주가만 띄워 놓고 치료제 개발은 소리소문 없이 포기하는 등 이른 바 '먹튀 의혹'이 제기됐다. 백종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일 국정감사 종합감사에서 "코로나19 백신·치료제를 개발하다가 중단한 제약사들이 혈장치료제 개발 명목으로 거액의 국비를 먹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백 의원에 따르면, GC녹십자 등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신청한 14곳의 제약사들이 정부로부터 총 1679억원에 달하는 국가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하지만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의 품목 허가 이외에 현재 신약 개발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 특히GC녹십자의 경우,세계 글로벌 제약사들도 연구 개발비 부담으로 인해 개발을 미루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코로나19 종식에 앞장 설 것을 선언하며 개발에 나섰지만 현재 임상단계(임상2a상)에서 연구를 종료했다. GC녹십자는 연구비 97억원 중 60%에 해당한 58억원을 지원받았다. 제약사들의 일반적인 신약 임상 절차에 따르면 대부분 임상2상(2a,2b)을 완료 후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다. 하지만 GC녹십자는 국가 연구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