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네이버 '밴드', 출시 3년만에 다운로드 5000만건 돌파 '어떤 매력?'

[KJtimes=김봄내 기자]네이버의 자회사 캠프모바일은 그룹형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인 밴드(BAND)가 출시 3년여 만에 5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다고 30일 밝혔다.

 

20128월 서비스를 시작한 밴드는 현재 전 세계 178개국에서 사용 중이다.

 

올해 3월 지인 기반의 폐쇄형 밴드 외에 누구나 관심사에 따라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밴드 기능을 추가한 결과 공개 커뮤니티 밴드가 50만개 이상 생성되며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했다.

 

최근에는 미국, 홍콩, 인도 등 13개국 구글플레이에서 '금주의 추천앱'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특히 밴드는 대만과 인도 등지에서 이용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

 

최근 3개월간 밴드의 신규 가입자 비중은 대만이 8.6%, 인도가 9.3%를 차지한다. 두 나라의 8월 기준 다운로드 수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70%, 1422% 이상 증가했다.

 

아울러 클래시 오브 클랜(COC), 리그오브레전드(LoL)와 같은 유명 게임 커뮤니티와 유튜브 스타, 게임 캐스터 등 온라인상의 유명인사들도 밴드를 활용해 적극적으로 팬 관리에 나서고 있다.

 

국내에서도 8월 기준 밴드 이용자의 총 체류시간이 3월 대비 8400만분 이상 증가하는 등 사용성이 높아졌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이람 캠프모바일 대표는 "국내 모바일 서비스에서 5천만 누적 다운로드는 '글로벌'이라는 태그를 붙일 수 있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라며 "국내 이용자를 위한 사용성 개선과 동시에 하반기부터는 대만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마케팅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라이프] "실업자 탈출시대 왔나" 22년 만에 최대 증가
[KJtimes=김지아 기자] 대전시에 거주하고 있는 박씨. 박씨는 어머니와 함께 운영하고 있던 분식집이 코로나19가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언론을 통해 '확진자 동선'에 거론되면서 문을 닫았다. 단골이던 주민 한명이 코로나에 확진, 초창기 이름 바 '몇번째 확진자'에 이름이 올랐던 것. 분식집 이름이 정확히 공개되진 않았지만 대전시에서 방역차가 몇번 왔다가고 내부소독 등 절차를 밟자, 자연스럽게 손님이 끊어졌다. 박씨는 당분간이란 생각으로 분식집을 휴업했고, 이후 가게 월세를 내지 못해 가게를 내놓았다. 졸지에 실업자가 된 박씨가 다시 취업에 성공한 것은 최근이다. 소상공인 창업 지원을 비롯해 다양한 교육과 지원을 받기도 했지만 박씨의 적성에 맞는 일을 다시 시작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취직을 하기에도 애매한 박씨의 나이는 40대 중반. 하지만 지역 C물류센터에 취직한 선배의 소개로 다시 취직에 성공했다. 한달여의 견습 기간을 마치고 계약직이지만 취업에 성공한 박씨. 긴 시간 백수로 지내왔던 터라 가족들의 눈치까지 봐야했던 박씨는 이제서야 얼굴이 환해졌다. ◆이직·퇴직·휴직 등 '인고의 시간'을 몰고왔던 코로나19 코로나19가 휩씁고 지나간 자리에는

[관전포인트] 러시아우크라 전쟁으로 주목할 나라는 ‘이곳’
[KJtimes=한이웅 논설위원] 중동-지중해-유럽 라인에서 주목할만한 나라는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UAE 등이다. 현재 이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모멘텀으로 해서 자국의 에너지 역량을 개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스라엘은 지난 2004년 텔아비브 인근 지중해 해역에서 가스전 개발에 성공한 후 다수의 초대형 가스전 개발에 계속 성공하고 있다. 개발한 천연가스의 그리스·이태리 등 유럽판매 추진은 미국의 훼방으로 불발됐지만 중동전 상대였던 이집트·요르단과 장기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게다가 터키에도 수출을 추진하면서 미국의 중동 공백을 에너지로 조금씩 메우는 모양새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틈타 유럽에 판매를 추진 중이다. 독일 등에 LNG터미널을 건설하면 소량이나마 이스라엘산 천연가스가 공급될 예상이다. 사우디는 최근 탈 이슬람원리주의 정책의 점진적 도입을 통해 비아랍권에 이미지 개선을 추진 중인 것과 탈 화석연료자원 움직임이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 탈 이슬람원리주의를 통해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하는 것이 국가적 인재개발에 유리하다고 보고 있고 석유고갈 등에 대비해 관광자원 개발과 수소 관련 산업을 육성할 계획도 추진 중이다

[급증하는 환경 분쟁] 호주 원주민 잇단 소송…바로사 가스전 'ESG 리스크'에 발목
[KJtimes=정소영 기자] SK E&S의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 사업을 놓고 호주 현지에서 지역 원주민이 소송을 제기했다. 호주 환경단체 노던 준주 환경센터(ECNT)에 따르면 사업지 인근 티위(Tiwi) 제도의 므누피(Munupi) 지역 원주민이 지난 3월 있었던 바로사 가스전 사업의 시추 허가에 절차상 문제가 있다며 호주 규제 당국에 지난 7일 가처분 신청을 냈다. 므누피는 한국 법원에 국내 공적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가처분 신청을 냈던 원주민들이 거주하는 지킬라루우 지역으로부터 북동쪽으로 40km가량 떨어진 곳이다. 기후환경단체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이번 소송의 주된 이유는 호주법에 보장된 원주민들과의 협의절차가 인허가 과정에서 보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관련 규제기관인 호주 해안석유환경청(NOPSEMA)은 ‘해양 석유 및 온실가스 저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스전 사업이 티위 제도 원주민들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과 협의 절차를 거쳤는지 판단해야 한다고 봤다. 그러나 이번 소송의 원고로 나선 원주민 대표 데니스 티파칼리파는 시추 계획과 관련, “어떠한 협의 절차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산토스가 시추 계획에 대해 협의절차를 거쳤다고 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