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코웨이, 증권가에 쏟아지는 호평…증권사 분석 들어보니

“돋보이는 이익 창출력·4분기 실적 기대 이상·성장 모멘텀 지속”

[KJtimes=김승훈 기자]코웨이[021240]에 대해 증권가의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는 분위기다.


18NH투자증권은 코웨이가 불황 속에 돋보이는 이익 창출력을 보여 순현금 상태로 전환했다며 매수투자의견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별도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지난해보다 각각 7.3%, 10.7% 증가한 23193억원과 5124억원으로 전망했다.


삼성증권은 코웨이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다면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한 가운데 목표주가를 종전 113000원에서 135000원으로 올렸다. 그러면서 수익 구조의 개선을 반영,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도 종전보다 6% 상향 조정했다.


SK증권은 코웨이에 대해 성장 모멘텀이 지속될 것이라며 매수투자의견과 목표주가 13만원을 종전대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4388억원과 5000억원으로 각각 지난해보다 6.5%12% 늘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웨이의 지난해 4분기 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821억원과 1268억원으로 1년 전보다 17%, 36% 늘어났다이는 전망치를 큰 폭으로 웃도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 연구원은 실적 개선은 핵심 사업인 환경 가전 부문의 렌털 증가와 신규 아이템의 일시불 판매 호조, 고가 제품 비중 확대 등에 힘입어 높은 매출 성장을 달성했기 때문이라며 코웨이는 양호한 현금 흐름으로 순현금 상태로 전환했고 실적 호조로 주당 배당금도 예상보다 높은 2800원으로 결정됐다고 강조했다.


박은경 삼성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6%, 57% 증가한 6313억원, 1286억원으로 당사의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다렌털, 일시불, 기타사업 등 모든 부분에서 기대를 상회하는 매출을 낸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그동안 부진하던 해외 사업마저 6개 분기만에 의미있는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면서 해외 사업에 대해 보수적으로 전망하나 만일 해외사업이 성공 가능성을 보여준다면 이는 주가 재평가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승욱 SK증권 연구원은 코웨이는 지난해 사상 최고의 실적을 달성했다대주주의 매각 이슈라는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해외 사업과 신규 사업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코웨이는 국내 환경가전 사업의 초과 성장을 통해 전사적으로 수익성이 좋아졌다면서 또 전자레인지 등 신규 렌털 제품의 판매 호조로 가입자 1인당 평균 매출(ARPU)이 상승해 실적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코웨이는 올해 제품 라인업 확대와 제품군 간 사물인터넷(IoT) 연동·맞춤형 홈케어 사업 확장을 통해 라이프 케어 회사로 발돋움할 계획이라며 해외법인과 제조자개발생산(ODM) 사업의 매출 성장을 바탕으로 수익성도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를

[코로나 라이프] 스치듯 지나간 '원격시대' 퇴출 vs 재조명 기로
[KJtime김지아 기자] "코로나가 한창이던 때는 원격으로 모든 것을 처리했다. 회의도 원격으로 했고, 결제서류도 원격으로 결재를 받았다. 하지만 이제는 원격으로 하려는 직원에게 안좋은 시선이 모아진다. '게으르다' '코로나19에서 아직 못빠져 나왔다' 등 자세를 비난 받기도 한다." 직장인 K씨는 재택근무 2년 3개월만에 직장으로 출근한 소감을 이렇게 전했다. 그는 "원격이 좋았던 시절이 있었다. 이제는 원격이라는 단어를 먼저 꺼내는 사람이 '부정적인 시선'을 받게 된다"며 "원격은 이제 엔데믹과 함께 사라지고 있는 단어가 아닐까"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맞물려 가장 주목받았던 단어가 있다. '비대면' 문화를 선도하기까지한 '원격'. 원격이라는 단어는 진료, 수업, 회의, 교육 등 비대면으로 통한 시대를 선도했다.특히 원격진료에 대한 시선들이 다양하게 부각되고 있는 요즘이다. 미국의 경우 최근 '규제 부활'과 함께 잇달아 '원격'이 새삼 제한되는 분위기다. 미국에서 현재 원격진료는 의사들의 '진료 반경'을 주(州) 별로 엄격히 구분하던 과거로 사실상 역행해 정말 위급한 환자들이 필요한 진료를 못 받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관전포인트] 러시아우크라 전쟁으로 주목할 나라는 ‘이곳’
[KJtimes=한이웅 논설위원] 중동-지중해-유럽 라인에서 주목할만한 나라는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UAE 등이다. 현재 이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모멘텀으로 해서 자국의 에너지 역량을 개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스라엘은 지난 2004년 텔아비브 인근 지중해 해역에서 가스전 개발에 성공한 후 다수의 초대형 가스전 개발에 계속 성공하고 있다. 개발한 천연가스의 그리스·이태리 등 유럽판매 추진은 미국의 훼방으로 불발됐지만 중동전 상대였던 이집트·요르단과 장기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게다가 터키에도 수출을 추진하면서 미국의 중동 공백을 에너지로 조금씩 메우는 모양새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틈타 유럽에 판매를 추진 중이다. 독일 등에 LNG터미널을 건설하면 소량이나마 이스라엘산 천연가스가 공급될 예상이다. 사우디는 최근 탈 이슬람원리주의 정책의 점진적 도입을 통해 비아랍권에 이미지 개선을 추진 중인 것과 탈 화석연료자원 움직임이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 탈 이슬람원리주의를 통해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하는 것이 국가적 인재개발에 유리하다고 보고 있고 석유고갈 등에 대비해 관광자원 개발과 수소 관련 산업을 육성할 계획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