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종목체크]증권사가 ‘LG이노텍·삼성전기·LG생활건강’ 주목

유진투자증권 “LG이노텍 실적 변동성 완화 주목할 필요 있다”
IBK투자증권 “삼성전기 향후 영업이익 실적 대폭 개선 기대”
한화투자증권 “LG생활건강 신종코로나 타격 단기에 그칠 것”

[Kjtimes=김봄내 기자]LG이노텍[011070]와 삼성전기[009150], LG생활건강[051900] 등에 대해 유진투자증권과IBK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관심을 높이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0일 유진투자증권은 LG이노텍에 대한 목표주가를 17만원으로 32%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지난해 4분기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유진투자증권은 앞서 LG이노텍은 전날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지난 한 해 영업이익이 4031억원으로 전년보다 5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으며 4분기 영업이익은 2093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2% 늘어 시장기대치를 웃돌았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IBK투자증권은 삼성전기의 목표주가를 종전 15만원에서 175000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향후 영업이익의 대폭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IBK투자증권은 모듈 사업부의 경우 국내 거래선의 대표 모델 출시에 따라 1분기 매출액이 전분기보다 31.7% 늘고 5배 광학 줌 카메라 모듈 등 신제품 출시로 평균판매단가(ASP)도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한화투자증권은 LG생활건강에 대한 목표주가 175만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이슈에 따른 불확실성이 단기간에 그칠 것이라는 진단에 따른 것이다.


한화투자증권은 LG생활건강의 경우 중국의 사드 보복 이후 다른 기업이 부진한 동안에도 견고한 성장을 이뤄왔으며 상대적으로 성장 모멘텀이 약할 수 있으나 꾸준한 실적을 기록한다는 점에서 안정성에 대한 투자 포인트는 유효하다고 평가했다.



노경탁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4분기 광학 솔루션 사업부는 우호적인 환율 환경 속에서 전략고객사 신제품의 판매 호조 및 멀티카메라 채용 확대로 매출액이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기판소재 사업부도 반도체 기판 등 고부가제품군의 공급 호조로 고수익성을 유지하며 호실적을 견인해 애플의 아이폰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는 LG이노텍의 실적 호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 연구원은 올해부터 주요 고객사의 스마트폰 전략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상반기 신규모델 출시로 실적 변동성이 완화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5세대(5G) 이동통신 도입과 함께 고부가 멀티카메라 채용 기조 확대 등으로 인해 높은 판매고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날 삼성전기는 연결 기준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18457억원, 138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3%, 55.2% 각각 감소하고 당기순손실 211억원으로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또 컴포넌트 사업부도 오는 2분기 이후 대폭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계절성에 따른 지난해 4분기 부진 이후 앞으로 5세대 이동통신(5G) 투자 확대와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기능 강화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면서 올해 1분기에는 모듈 사업부가 성장을 주도하면서 전체 매출액이 2247억원으로 전분기보다 9.7% 증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손효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우한 폐렴 확산에 따라 LG생활건강의 면세점 및 중국 현지 실적은 단기적으로 타격을 받을 수 있다하지만 과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고려할 때 우한 폐렴의 영향은 대략 2~4개월 정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실적은 올해 1분기를 저점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 연구원은 최근 브랜드의 성장률 둔화가 아쉽지만 숨의 고가 라인 화장품인 로시크숨마의 비중이 커진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성장성은 회복될 여지가 크다면서 앞서 LG생활건강은 지난해 매출 76854억원과 영업이익 11764억원을 달성, 2018년 대비 각각 13.9%, 13.2% 성장을 달성했는데 이로써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15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덧붙였다








[현장+] 일감몰아주기 '안전불감증' 심각한 삼표산업 정대현 사장
[KJtimes=김지아 기자]경영권 승계 위한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섰던 삼표그룹의 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최근최대주주이자 오너 3세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에게 연수원 부지 사용료를 지급해온 사실이 한 매체 취재를 통해 드러났다. 이를 두고 오너 개인의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자원이 동원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의 부지는 경북 경주시 강동면 왕신리에 위치한 삼표연수원 부지다. 삼표연수원은 삼표그룹 지주사인 삼표가 아닌환경자원 부문 계열사 에스피네이처가 운영 및 관리한다. 삼표그룹 계열사 경한이 2006년 7월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아3년 1개월만인 2009년 8월지상 3층 규모(연면적 1358.6㎡, 411평)의 연수원 건물을 완공했는데,2019년 3월경한이 에스피네이처에 흡수합병되면서 에스피네이처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삼표연수원의 건물주는 에스피네이처이나,땅 소유주는 에스피네이처의 최대주주(71.95%)이자 정도원 회장의 외아들인 정대현 삼표시멘트 사장이었다. 부동산등기부에 따르면 정 사장은 경한(현 에스피네이처)이 경주시청으로부터 건축 허가를 받기 8개월전인 2005년 11월, 연수원 건물이 지어질 대지 1필지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 29일 주총서 일본 롯데홀딩스 경영 복귀 다시 시도
[KJtimes=김지아 기자]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이 일본 롯데홀딩스 경영 복귀를 다시 시도한다. 이번이 여덟번째다.신동주 회장은 지난 2015년 7월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이 시작된 이후 지난해까지 모두 일곱번에 걸쳐 자신의 경영 복귀를 시도했다가 모두 실패했다 . 지난 6월24일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은 오는 29일 예정된 롯데홀딩스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자신의 이사 선임을 비롯해, 동생인 신동빈 롯데홀딩스 이사의 해임, 정관 변경 등의 안건이 담긴 주주제안서와 사전 질의서를 제출했다. 제안서에서 신동주 회장은 "신동빈 회장이 롯데홀딩스 대표이사로 취임한 이후, 롯데홀딩스는 코로나19 이전부터 이어진 매출 감소, 거액의 손실이 더해져 작년에는 설립 이래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하는 등 실적 부진이 계속되고 있어 경영자로서 좋은 평가를 하기는 어렵다"며 "한국 자회사에서는 인력감축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는 데 반해 신동빈 회장은 실적 부진의 책임을 지지 않고 자회사에서 배당 및 임원 보수 명목으로 거액의 보상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 2019년 10월 국정농단·경영비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