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기업 절반, MZ세대 조기 퇴사 비율 높다… 평균 5개월 이내 퇴사”

[KJtimes=김봄내 기자]조기퇴사자는 모든 기업의 고민이다. 시간과 비용을 들여 어렵게 뽑은 인재가 퇴사하게 되면, 안정적인 조직운영이나 기업성장 측면에서도 악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MZ세대는 직무 적성이 안 맞거나 성장과 비전이 보이지 않으면, 과감하게 퇴사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이들을 유지하기 위한 기업들의 고민이 깊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1년 이내 조기퇴사자현황에 대해 조사했다.

 

응답 기업의 49.2%‘MZ 세대의 1년 이내 조기퇴사자 비율이 높다고 답했다. 1년 이내 퇴사하는 이들은 입사한지 평균 5개월 이내 결정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MZ세대가 조기퇴사를 더 많이 하는 이유로 개인의 만족이 훨씬 중요한 세대라서’(60.2%, 복수응답)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계속해서 이전 세대보다 참을성이 부족해서’(32.5%), ‘시대의 변화에 기업 조직문화가 따라가지 못해서’(30.5%), ‘호불호에 대한 자기 표현이 분명해서’(29.7%), ‘장기적인 노력으로 얻는 성과에 대한 기대가 낮아서’(26.8%), ‘조직 내 불의·불공정을 참지 못해서’(13%), ‘도전 정신이 강해서’(3.3%) 등이 있었다.

 

조사대상 기업의 1년 이내 퇴사자 유형으로는 대졸 신입사원’(46.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경력사원’(45.3%), ‘고졸 신입사원’(24.1%) 순이었다.

 

전체 신규 입사 직원 중에서 조기퇴사를 하는 비율은 평균 28%10명 중 3명은 1년을 못 버티고 나가는 것으로 집계됐다.

 

인사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직원들의 퇴사 사유로는 직무적성이 안 맞아서’(48%, 복수응답)가 가장 컸다. 다음으로 조직문화 불만족’(31.1%),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28.2%), ‘높은 근무강도’(20.4%), ‘낮은 연봉’(19.6%) 등을 원인으로 파악했다.

 

한편, 전체 응답 기업 중 직원 성장 및 커리어 관리를 위한 제도가 있다는 비율은 33.4%에 그쳤다. 이들 기업은 직원 성장을 위해 외부 교육 지원’(46.7%, 복수응답), ‘역량과 성과에 따른 직무급 제도’(41.3%), ‘사내 직무 훈련 프로그램 제공’(25.7%), ‘자율출퇴근제를 통한 집중시간 활용 독려’(24%) 등의 제도를 마련하고 있었다.

 

, 전체 기업의 85.8%조기퇴사를 막기 위해 노력 중이었으며, ‘연봉 인상 등 근무조건 개선’(52.2%, 복수응답)에 가장 힘썼다. 이어 기업 조직문화 개선’(41.3%), ‘복리후생 제도 강화’(33.8%)에 집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 라이프] 백신치료제 기업들, 코로나치료제 개발 이슈로 이득만 취해
[KJtimes김지아 기자]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이 주가만 띄워 놓고 치료제 개발은 소리소문 없이 포기하는 등 이른 바 '먹튀 의혹'이 제기됐다. 백종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0일 국정감사 종합감사에서 "코로나19 백신·치료제를 개발하다가 중단한 제약사들이 혈장치료제 개발 명목으로 거액의 국비를 먹튀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백 의원에 따르면, GC녹십자 등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신청한 14곳의 제약사들이 정부로부터 총 1679억원에 달하는 국가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하지만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의 품목 허가 이외에 현재 신약 개발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 특히GC녹십자의 경우,세계 글로벌 제약사들도 연구 개발비 부담으로 인해 개발을 미루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코로나19 종식에 앞장 설 것을 선언하며 개발에 나섰지만 현재 임상단계(임상2a상)에서 연구를 종료했다. GC녹십자는 연구비 97억원 중 60%에 해당한 58억원을 지원받았다. 제약사들의 일반적인 신약 임상 절차에 따르면 대부분 임상2상(2a,2b)을 완료 후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한다. 하지만 GC녹십자는 국가 연구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