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기[009150]와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6일 NH투자증권은 삼성전기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3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초소형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제품 가격 상승으로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전장용 MLCC 수요도 전기차와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시장 확대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며 전반적인 MLCC 수급은 타이트한 흐름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날, KB증권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HOLD)으로, 목표주가를 38만원으로 각각 제시했다. 그러면서 목표주가는 현재 주가인 46만5500원보다 18.4%나 낮은 수준이지만 이 회사를 커버리지(분석 대상 기업)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KB증권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 원가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1공장과 2공장의 가동률 상승으로 실적 모멘텀이 지속될 것이라며 3공장 가동률이 89%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1년에 전체 매출이 1조68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과 대만 언
[KJtimes=김승훈 기자]영원무역[111770] 주가 하락이 과도하다며 저평가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고 진단이 나왔다. 6일 현대차투자증권은 영원무역에 대해 이 같은 진단을 내놓고 올해 달러 기준 주문 전망을 8%에서 4%로 하향 조정하며 목표주가도 4만4000원에서 4만1000원으로 내렸으나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 종목의 전날 주가는 2만6900원이다. 현대차투자증권은 영원무역의 주가수익비율(PER)은 9.4배 수준으로 저평가돼 있으며 종속회사인 스콧의 흑자 전환으로 할인 요인 해소도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송하연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구조적으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산업이 어려워지는 국면이지만 지난해 마진은 오히려 개선됐다”면서 “경쟁력을 고려하면 지금 주가는 과도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앞서 지난 2일 신한금융투자는 영원무역의 목표주가를 기존 4만7000원에서 4만1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이 종속회사인 스캇(Scott)의 부진 등으로 올해 실적 전망치를 낮춰 잡은데 따른 것이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해 12월까지 발표된 미국 내 의류 관련 재고는 9개월 연속 역성장했고 일부 의류업체 재고가 증가세로 반전됐으
[KJtimes=김승훈 기자]“무역 분쟁 이슈가 확대되는 상황에 대한 경계는 필요하다. 통상 압력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부정적인 영향은 불가피하다.” 5일 KB증권이 내놓은 ‘미국 무역규제의 영향 보고서’ 내용이다. KB증권은 이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무역규제 강화로 개별 기업의 리스크에 대한 주의는 필요하지만 당장 수출주 전반에 대해 주식투자를 축소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보호무역 압력 강화가 심각한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일부 중견 이하 수출 기업에 한정될 공산이 크다. 하지만 시가총액 상위 기업의 경우 이미 수출지역이 다변화돼있고 해외생산 확대 등을 통해 대응할 여지도 있어 수출주 전반에 대해 적극적으로 비중을 축소할 필요는 없다. 보고서에서는 IT의 경우 미국의 무역규제가 가전에서 발생했지만 반도체로 확대될 우려가 부각되고 있으며 반도체는 반덤핑이나 세이프가드가 아니라 특허침해와 관련된 지적 재산권 분쟁이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 주식투자자들은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KB증권은 주식 투자자 관점에서는 보호무역이 개별 기업 실적에 주는 영향보다는 보호무역과 맞물린 달러 약세에
[KJtimes=김승훈 기자]엔지켐생명과학[183490]과 반도체 장비제조 전문기업 피에스케이[03198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5일 케이프투자증권은 엔지켐생명과학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15만원을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자체 개발한 신약후보물질(EC-18)을 이른 시일 내에 상업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케이프투자증권은 엔지켐생명과학이 현재 임상이 진행 중인 각 적응증별 EC-18의 신약 가치는 급성방사선증후군 3495억원, 구강점막염 4077억원, 호중구감소증 2782억원 등이라고 추산했다. 같은 날, 키움증권은 피에스케이에 대한 목표주가를 3만6000원에서 4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부터 증익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에 기인한다. 키움증권은 피에스케이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가보다 72% 증가한 216억원으로 예상되며 국내 반도체 투자가 다시 본격화하고 해외 반도체 투자 수혜로 다시 증익구간에 진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형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엔지켐생명과학은 녹용에서 유래한 합성물질인 EC
[Kjtimes=김승훈 기자]롯데쇼핑[023530]와 한국가스공사[036460]에 대해 NH투자증권와 키움증권이 각각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일 NH투자증권은 롯데쇼핑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7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2분기에 본격적인 실적 개선을 이룰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롯데쇼핑 주가에선 실적 개선이 관건인데 1∼2월 영업상황이 나쁘지 않았고 2분기부터 중국인 기저효과가 기대되며 중국마트 매각과 시네마사업부 분할 모멘텀도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키움증권은 한국가스공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 상회’에서 ‘매수’로 올리고 목표주가는 5만6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해외 자원개발(E&P)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한다. 키움증권은 특히 호주 글래드스톤 액화천연가스(GLNG) 프로젝트가 지난해 4분기를 기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한 점도 고무적이라며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해외 E&P 사업에 대한 눈높이가 변화할 수 있는 영역으로 진입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롯데쇼핑의 1∼2월 누적 백화점 기존점 성장률이 지난해 대비
[KJtimes=김승훈 기자]영원무역[111770]의 올해 실적이 업황 회복세 둔화로 애초 예상보다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KB증권은 영원무역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4만1000원에서 3만8000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종전처럼 ‘매수’로 제시했다. KB증권은 영원무역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의 경우 452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9% 줄었고 영업이익은 208억원으로 8.3% 늘었지만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는 10.3% 하회했으며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부문의 업황 회복세가 부진하고 종속회사인 스캇의 실적 부진도 지속했다고 분석했다. 김은지 KB증권 연구원은 “업황 회복 속도 부진으로 올해 수익 추정치도 하향 조정하는데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를 종전보다 각각 5.6%, 8.9% 내려 잡았다”면서 “다만 OEM 업황의 변동성에도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는 점은 긍정적이고 스캇의 실적도 2017년을 저점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신한금융투자도 영원무역의 목표주가를 기존 4만7000원에서 4만1000원으로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종속회사인
[KJtimes=김승훈 기자]호텔신라[008770]와 SK디앤디[210980]에 대해 증권사가 관심을 나타내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8일 SK증권은 호텔신라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종전처럼 각각 ‘매수’와 12만5000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중국인의 구매력 개선으로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1월 한국 면세점 매출의 경우 1조38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4% 늘었는데 중국인의 구매력 개선에 따른 것으로 평가한다며 호텔신라는 최근 주가 조정을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한다고 조언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SK디앤디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7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ESS(에너지 저장장치) 사업 확대로 오는 2020년까지 높은 수준의 이익 확보가 가능하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NH투자증권은 SK디앤디의 경우 안전하고 깨끗한 전력 공급과 피크 전력 감축을 위한 수요 관리가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와 ESS 시장 확대는 분명한 상황이라며 풍력과 ESS 사업부 영업이익 비중이 올해 23%에서 내년에는 39%로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가 상장 후 두 차례 연속 충격적인 실적(어닝쇼크)을 내 실적 신뢰도가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삼성증권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유’로 하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단기 주가 급등에 따른 가치평가(밸류에이션) 부담과 미국 바이오시밀러(바이오 복제약) 허가 지연 가능성도 고려됐다고 설명했다. 삼성증권은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지난해 3분기 어닝쇼크 후 4분기 재차 어닝쇼크 시현으로 실적 신뢰도가 하락했다고 진단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9211억원, 영업이익 1539억원, 순이익 1606억원을 달성했다. 이승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시장 전망치 대비 매출액은 6.3% 낮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0.8%, 17.4%를 밑도는 어닝쇼크”라며 “1분기 계절적 비수기 진입도 부담이고 미국 식품의약청(FDA)의 개선사항 리스트(Form483) 영향으로 미국 트룩시마와 허쥬마 허가 시점이 2분기에서 하반기로 지연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셀트리온헬스케어 주가는 셀트리온의 코스피 이전 후 코스닥 대장주 등극 기대감으
[KJtimes=김승훈 기자]CJ대한통운[000120]과 한화[000880]의 목표주가가 내려갔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7일 NH투자증권은 CJ대한통운의 목표주가를 23만원에서 20만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종전처럼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부진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CJ대한통운의 경우 운송업종 중 현금흐름과 재무안정성 측면에서 가장 양호하고 최근 주가 조정 폭 확대로 저평가 메리트까지 부각했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한화의 목표주가를 5만9000원에서 5만5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종전처럼 ‘매수’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지난해 4분기에 실적이 부진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대신증권은 다만 올해는 방산 부문의 실적 개선과 무역 부문 구조조정 마무리로 안정적인 실적을 거둘 것이며 한화건설은 리스크 해소 및 실적 개선, 한화케미칼과 한화생명은 양호한 실적 등이 전망된다고 밝혔다. 송재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CJ대한통운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과 택배 부문 비용부담으로 주가 조정 폭이 확대됐다”며 “최저임금제 영향으로 올해 연간 300억원 이상의 추가
[KJtimes=김승훈 기자]KT&G[033780]가 올해 1월에 부진한 실적을 보였으나 2∼3월에는 개선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IBK투자증권은 KT&G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해 목표주가 13만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2∼3월에 실적이 개선될 여지가 높다는 점에서 1월 실적만으로 1분기 실적 쇼크를 논하기에는 이르며 단기 실적 모멘텀은 제한적이나 하반기에 손익분기점 달성 기대가 유효하고 배당 투자 매력도 크다고 설명했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KT&G의 올해 1월 별도 기준 실적은 매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대비 23.3% 감소한 1677억원, 영업이익은 37.1% 줄어든 701억원이었다”며 “국내 담배 판매량이 20% 감소했고 이란과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지역 담뱃세 인상과 환율 상승으로 수출도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하지만 2∼3월 담배 매출 감소 폭은 1월보다 줄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난달 국내 담배 판매량 감소 이유 중 하나는 지난해와 올해 설 연휴 시점 차이”라면서 “또 이달 7일부터 전자담배 판매처를 기존 2700곳에서 7천700곳으로 확대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해상[001450]과 제이콘텐트리[03642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6일 유안타증권은 현대해상이 위험손해율 개선으로 올해도 탄탄한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위험손해율 개선폭이 회사 측 예상보다 큰 3.0%포인트에 이를 것이라며 이런 점 등을 바탕으로 추정한 올해 순이익은 지난해보다 7.9% 증가한 5100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무난하게 달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안타증권은 손해보험업계 전반의 경쟁 심화와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 하반기 실손 요율 인하 가능성 등으로 쉽지 않은 영업 환경에도 현대해상은 위험손해율 개선을 바탕으로 올해도 탄탄한 실적을 시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KTB투자증권은 제이콘텐트리의 드라마 모멘텀과 국내 극장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며 기업 분석을 개시했다. 그러면서 이 종목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9500원을 새로 제시했다. KTB투자증권은 제이콘텐트리의 경우 지난해 공격적인 확장정책에 따른 큰 폭의 비용 증가에도 양호한 박스오피스에 힘입어 메가박스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25% 증가했으며 올해 상반기 양호한 박
[KJtimes=김승훈 기자]1차 비철금속 제조업체 풍산[103140]에 대해 주가 반등 기회를 노릴 시점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6일 NH투자증권은 풍산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만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올해 구리 가격을 톤당 6650∼8000달러로 전망하며 구리 가격 상승이 본격화하는 시점에 풍산 주가는 반등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은 풍산 주가의 경우 부진한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지난 1일 이후 12% 떨어지며 전저점 수준으로 하락했으며 올해 구리 가격 강세가 예상되고 방산부문 매출은 전년 수준에서 안정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구리 가격 상승 전망에 따른 주가 반등 기회를 엿볼 시점이라는 판단”이라면서 “올해 구리 가격 평균 예상치를 톤당 7300달러로 적용하면 풍산은 별도기준 매출 2조5450억원, 영업이익 1912억원을 거둘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지난 1일 풍산그룹은 서울 충정로 본사에서 하도급 거래 중소 협력사와 ‘공정거래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그룹은 협약을 통해 100억원 규모의 동반성장 펀드 조성, 공정거래 4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차투자증권이 휠라코리아[081660]에 대해 주목하면서 이 종목의 목표주가를 10만8000원에서 12만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지난해 4분기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현대차투자증권은 휠라코리아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614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48.4% 늘었고 영업이익은 519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는데 이는 시장 전망치와 당사 추정치를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라고 진단했다. 송하연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부문 별도 매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8% 증가해 실적을 견인했다”며 “추운 날씨 영향으로 롱패딩 판매 호조도 일부 영향이 있었지만 휠라의 구조적인 실적 개선과 중국 법인 풀프로스펙트의 수수료 수익 증대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송 연구원은 “휠라코리아가 브랜드 이미지 탈바꿈에 성공했다고 판단되며 국내 부문의 실적 개선은 올해도 지속할 수 있을 것이고 매출뿐만 아니라 원가 경쟁력과 유통구조 효율화를 통해 영업 레버리지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휠라코리아가 5대 1 액면분할을 결정했는데 기업가치가 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동성 확대 차원에
[KJtimes=김승훈 기자]한화케미칼[009830]의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은 일회성 요인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NH투자증권은 한화케미칼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만2000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1분기 영업이익과 세전이익의 경우 각각 2122억원, 321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유가와 납사 등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원가 부담이 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유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1595억원, 세전이익은 634억원으로 예상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며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소폭 낮아졌으나 대부분 일회성 요인에 의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영업손익에는 연말 상여금 약 450억원이 반영됐고 대규모 자산상각을 비롯해 총 1470억원이 일회적 영업외손실로 인식됐다”면서 “올해 1분기에는 1월 말부터 원료 가격이 하락해 제품 이익률이 상승했는데 일회성 요인 소멸로 기초소재부문 영업이익이 1774억원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전날 한화케미칼은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7901억원으로 전년 대비 1.40% 늘었다고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화재[000810]의 지난해 4분기 실적 부진이 이 회사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KB증권은 삼성화재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종전처럼 ‘매수’와 36만원으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주가 부진 요인이었던 신계약 시장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점진적인 주가 회복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신한금융투자도 지난해 4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냈으나 올해 실적 개선 전망과 배당확대 등을 고려하면 주가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7만5000원, 업종 내 최선호주 시각을 유지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삼성화재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의 경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42.6% 감소한 544억원에 그쳤고 당기순손실 480억원으로 적자전환해 컨센서스를 밑돌았으나 주가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남석·유승창 KB증권 연구원은 “삼성화재의 4분기 별도 기준 당기순손익은 48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지만 이미 기대감이 낮아져 있던 상황”이라며 “오히려 올해 신계약 점유율 회복 기대와 배당 확대 등에 따른 주가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