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풍향계

증권사들이 목표주가 ‘상향’ 조정한 종목…알아보니

‘CJ CGV•강원랜드•와이솔’ 눈길

[KJtimes=김승훈 기자]증권사들이 12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게 있을까.

 

우선 CJ CGV[079160]가 눈에 띈다. 이날 키움증권은 CJ CGV의 목표주가를 종전 10만원에서 15만원으로 높여 잡았다. 중국 사업이 분기 기준으로 첫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키움증권은 CJ CGV2분기 영업이익은 86억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 등으로 국내 실적이 부진했지만 해외사업 성과가 이를 만회하는 측면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홍정표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 사업의 영업이익이 15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베트남 영업이익 규모도 확대돼 46억원을 달성했다“CJ CGV3분기 영업이익으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늘어난 400억원을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홍 연구원은 국내 영화 시장이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해 실적 개선을 주도할 것이라면서 중국 사업의 이익 기여 확대와 베트남 쪽의 안정적인 실적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강원랜드[035250]도 목표주가가 올라갔다. 삼성증권은 이 회사의 표주가를 종전 48000원에서 5만원으로 올렸다. 양호한 2분기 실적을 냈다는 이유에서다.

 

강원랜드는 전날, 공시를 통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3889억원과 147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9.3%, 19.7% 늘었다고 밝혔다.

 

양일우 삼성증권 연구원은 메르스에도 불구하고 카지노 방문자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 늘고 1인당 드롭액(카지노칩으로 교환한 금액)3.2% 증가해 매출 성장을 견인했으며 영업이익도 시장 컨센서스와 유사했다고 평가했다.

 

양 연구원은 내년 추가 가동할 테이블이 남아있어 밸류에이션(평가가치) 프리미엄 적용이 가능하고 내년 말 제2영동고속도로가 완공되면 접근성도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그런가 하면 와이솔[122990]의 목표주가도 상향조정됐다. NH투자증권은 와이솔의 목표주가를 15000원에서 16000원으로 올렸다. 불황에도 예상보다 견조한 실적을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하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4.5%88.9% 늘어난 1683억원과 157억원으로 전망했다.

 

이 회사는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1536억원과 13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47.3%, 202.3% 증가했다.

 

김혜용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세계 스마트폰 수요 부진에도 데이터 사용량 급증에 따른 통신기술의 진화로 무선주파수(RF)부품의 수요와 실적 모멘텀은 견조할 것이라며 삼성전자 내에서의 점유율 상승 여력이 남아있고 중화권 거래처로의 매출 확대 가능성도 있고 RF부품은 2017년까지 연평균 15.6%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장+] "산업은행 부산 이전 본격화?" 의혹 무성한 수상한 이전…노조는 결사반대
[KJtimes김지아 기자]산업은행이 지난 9월28일 '부산이전 준비단'을 발족, 이전 행보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와 관련한 무성한 '의혹'들이 관계 기업과 관계자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최근회장 직속으로 TF 팀을 구성, 전략기획팀과 인프라기획팀이 꾸려진 상태로 전해지고 있다. 전략기획팀은 동남권 영업력 강화방안 등 전략위주로, 인프라기획팀은 동남권 조직 업무 등 인프라 구축위주로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9월 2급 2명, 3급 6명, 4급 2명 등 10명으로 이전 준비단 TF 상근조직을 꾸리고 이외에도 40명을 비상근으로 더 뽑아서 50명이 실무작업에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에서도 산업은행 이전 지원협의회 형태로 공무원과 대학, 전문가, 부산상공회의소와 시민단체 등 15명 규모로 꾸며진 조직을 꾸려서 산은이전에 대한 논리를 개발, 지원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전 작업에 속도가 붙은 것과 달리, 산업은행 이전 후 서울 여의도 본사 사옥 부지를 놓고 다양한 의혹들이 거론되면서 논란이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핵심 논란은 '롯데패밀리'가 여의도에 쇼핑몰을 세우기 위해 전방위 로비를 펼치고 있다는 추측성 의혹

[탄소중립+] 유럽의회 총회, 산림 바이오매스 감축...재생에너지 비중↑
[KJtimes=정소영 기자] 유럽연합(EU)이 기후변화와 산림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에 직면한 산림 바이오매스 발전을 감축하기로 했다. 유럽의회는 지난 14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하고, 단계적 감축을 단행하는 내용이 포함된 재생에너지지침 개정안(RED III)을 총회에서 최종 통과시켰다.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는 45%로 올렸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RED III의 바이오매스 관련 변화는 지난 5월 유럽의회 환경위원회가 채택한 권고안을 기초로 한다. 환경위는 유럽 내 바이오매스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1차 목질계 바이오매스(PWB)’에 대한 정의를 신설해 이것의 사용을 제한하기로 결의한 바 있다. PWB는 벌채나 자연적인 이유로 숲에서 수확·수집한 산림 바이오매스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원목과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 유사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국내 산림이 공공연하게 벌채돼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 지침은 ▲PWB를 EU의 재생에너지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 ▲2017년에서 2022년 사이 평균 이용량에 상한을 둬 단계적 감축 ▲단계적 사용 원칙에 따라 고부가가치의 장수명 상품으로 사용될 수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