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우리금융, ESG 경영으로 5.2조원 사회적 가치 창출

[KJtimes=김봄내 기자]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2024년 한 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과를 화폐 가치로 환산한 첫 번째 ‘2024 ESG 임팩트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기업 활동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화폐 가치로 측정하는 ‘ESG 임팩트개념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우리금융은 글로벌 협의체인 VBAIFVI 등이 개발한 국제 표준 측정 방식을 준용했으며, 지주사를 포함한 5개 주요 그룹사와 2개 재단을 대상으로 측정했다.

 

측정 결과, 우리금융의 총 ESG 가치 창출 규모는 51619억원에 달했다. 부문별로는 환경(E) 9174억원 사회(S) 21706억원 지배구조(G) 2739억원의 가치를 각각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금융은 이번 보고서 발간을 계기로 ESG 활동 성과를 신뢰도 높은 데이터로 제시해 글로벌 투자자와의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오는 2026년부터 측정 범위를 그룹 전 계열사로 확대하고 매년 성과를 공개해 지속가능경영의 투명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이번 첫 보고서는 우리금융그룹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사회 곳곳에서의 긍정적 영향력을 정직하게 기록해 이해관계자와 공유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책임 있는 금융 실천을 통해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금융의 ESG 경영 성과는 공신력 있는 외부 평가를 통해서도 입증되고 있다. 우리금융은 지난 16일 글로벌 ESG 평가기관 MSCI로부터 3년 연속 최고 등급인 ‘AAA’를 획득해 글로벌 최상위권 ESG 금융사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국제금융센터 "美中 보호무역 장기화 시 글로벌 경제 '구조적 충격' 불가피"
[KJtimes=정소영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 ‘미-중 간 보호무역주의 장기화 시의 글로벌 경제 영향’을통해 미·중 간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장기화할 경우 글로벌 경제 전반에 걸쳐 구조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최근 고위급 회담에서 관세 유예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전략적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보고서에서 “단기적 관세 동결에도 불구하고 보조금 지급, 우회 수출 차단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향후 고관세 부활 및 통상 정책 변경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진단하며, 이에 따라 각국은 중장기 전략 마련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망 재편, 글로벌 비용 증가 불러 보고서는 특히 미·중 양국이 자국 중심의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을 강화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외국인직접투자(FDI) 및 물류 재배치, 상이한 기술·표준 충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이 누적되면서 총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전 세계 기업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같은 공급망 변화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