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현수 기자]중국과 일본이 오는 16일 도쿄에서 열릴 예정인 고위급 경제대화에서 서비스업 상호진출을 촉진하는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3일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중국에서 수요가 높은 간병 및 복지 분야에 일본 기업의 진출을 돕기 위해 관련 제도와 현지 기업과의 제휴 등 지원책을 타진할 예정이다. 중국은 자국 기업이 강점을 가진 원격 교육이나 전자결제 분야의 일본 진출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간 고위급 경제대화는 8년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두 나라 사이 고위급 경제대화는 지난 2007년 12월 처음 열렸지만,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를 둘러싼 양국 관계 악화로 2010년 8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회의를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경제대화에는 일본의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경제산업상, 중국의 중산(鐘山) 상무부장 등이 참석한다. 서비스업 상호 진출 문제에 대해 합의가 이뤄지면 다음달께 양국간 각서를 체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이동통신 업체 소프트뱅크가 국제축구연맹(FIFA)의 새 리그에 투자하는 방안에 동참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는 최근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아랍에미리트 등 여러 나라 투자자들과 손잡고 FIFA의 새 리그를 출범하는 시도에 가세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전했다. 이 계획의 규모는 250억 달러(약 26조8천억 원)에 이른다. 컨소시엄은 FIFA의 기존 토너먼트인 '클럽 월드컵'(Club World Cup)을 대대적으로 확대하고, 새 국가 대항 리그도 출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클럽 월드컵은 2021년부터 참가 팀을 현재 7개에서 24개로 늘려 4년마다 개최하고, 국가 대항 리그는 2년마다 개최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클럽 월드컵의 가치는 1억 달러 미만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시도는 그러나 FIFA 내 유럽 국가들의 반대에 부딪힌 상태다. 클럽 월드컵을 확대하면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의 권위가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소프트뱅크는 첨단 기술, 재생 에너지, 금융 서비스 등으로 투자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 투자설에 대해서는 소프트뱅크와 FIF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이 내년부터 해외로 떠나는 모든 사람에게 1인당 1천엔(약 9천968원)의 '출국세'를 부과한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서 출국하는 모든 내·외국인에게 이런 세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국제관광여객세법'이 지난 11일 참의원 본회의에서 가결됐다. 이 세금은 내년 1월 7일부터 도입된다. 일본에서 지속해서 징수하는 개념의 국세가 신설된 것은 1992년 이후 27년 만이다. 일본 정부는 방일객을 도쿄(東京)올림픽이 열리는 2020년까지 4천만 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2천869만 명 규모였다. 일본 정부는 해외에 자국 관광정보를 알리고, 지방의 관광진흥 정책에 필요한 재원으로 출국세를 활용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의 매력에 관한 홍보 강화, 쾌적한 여행을 위한 환경정비, 체험형 관광 만족도 향상 사업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그러나 일부에선 세금 신설로 오히려 관광객이 줄어드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출국세는 2019년도 이후 연간 430억엔(약 4천285억 원) 정도 걷힐 것으로 예상된다.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일손부족 문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외국인 기능실습생에게 최대 10년간 체류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2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추가 검토를 거쳐 오는 6월 발표할 경제·재정운영 및 개혁 기본방침에 이런 내용을 포함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가 검토하는 것은 최장 5년인 기능실습을 마친 외국인에 대해 일정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 추가로 최장 5년간 일본에 취업해 체류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이다. 대상 업종은 인력난이 심각한 간병이나 농업, 건설 등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여당인 자민당 내에서도 "외국인 근로자를 너무 많이 받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신중론도 있어서 향후 논의 과정에서 최대 체류 기간 등이 조정될 수도 있다. 외국인기능실습제도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을 목적으로 1993년 창설됐다. 일본에서 배운 기술을 모국에서 활용하는 것이 제도 취지이므로, 실습 기간이 끝나면 귀국해야 한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일본내 외국인 기능실습생은 약 25만명으로 집계됐다.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동쪽 끝 오가사와라(小笠原)제도 미나미도리시마(南鳥島) 주변의 배타적경제수역(EEZ) 해저에 매장돼 있는 희토류(希土類)가 전세계가 수백년간 쓸 수 있는 1천600만t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도쿄(東京)대학의 가토 야스히로(加藤泰浩) 교수와 와세다(早稻田)대학 다카야 유타로(高谷雄太郎) 교수 연구팀은 이런 연구 결과를 10일자 영국 과학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고 일본 언론이 11일 보도했다. 희토류는 휴대전화는 물론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 풍력발전기 등에 필요한 강력한 자석과 발광다이오드(LED)의 형광재료 등에 대부분의 첨단기술 제품에 사용된다. 중국이 생산량의 90% 가까이 점하고 있어 현재 각국의 중국 의존도가 높다. 일본 언론은 자국 EEZ 해저의 희토류를 채굴할 수 있게 되면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는 것은 물론 자원 빈국에서도 탈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팀은 희토류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희토류를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생물의 이빨과 뼈를 구성하는 인산칼슘에 작안, 원심력을 이용해 분리한 결과 농도를 2.6배로 높이는데 성공했다. 이는 중국의 지상 광산에서 나오는
[KJtimes=김현수 기자]2015년 이후 중단됐던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이 다음 달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이라고 청와대가 11일 확인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고노 다로 일본 외무대신 접견 결과에 대한 서면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다음 달 일본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중일 3국 정상회의와 관련, 그간 3국 정상회의의 조기 개최를 위해 일본 정부가 기울여 온 노력을 평가하며 지지해 왔다고 하고 이번 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되도록 우리 정부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그간 청와대는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5월 초로 추진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날짜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입장만 밝혔을 뿐 확정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다. 일본 교도통신도 한중일이 5월 전반 도쿄 정상회담 개최를 큰 틀에서 합의했으며 '8∼9일 이틀간을 축으로 최종적으로 조정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6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갖고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을 가급적 이른 시기에 개최한다는 데 뜻을 모은 바 있다. 한중일 정상회담이 확정됨에 따라 문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게 된다. 한국 대통령의 방일은 2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차를 팔지 않는 자동차 매장’을 늘리고 있어 그 배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본의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달 7일 나고야(名古屋)시 미나토(港)구 메시시초(名四町)에 새로 개장한 도요타자동차 매장 ‘미나토 메이시점’에는 검도장이 마련됐다. 이 매장 3층은 ‘다목적홀’로 칸을 막아 검도 외에 구기, 강연회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지난 3월 도쿄(東京) 도심 유라쿠초(有楽町)에는 자동차는 전시만 하고 가방 등 고급 잡화와 먹거리만 파는 새로운 개념의 매장이 문을 열었다. 복합 상업빌딩인 도쿄 미드타운 히비야 1층에 문을 연 ‘렉서스미츠’에는 밝은 조명 아래 점포 중앙에 렉서스 2대가 전시돼 있지만 이 매장의 정작 주역은 고급 카메라와 화장품, 가방, 문방구 등 450여점에 이르는 잡화다. 2월에 재건축한 도쿄도요페트 마고메(馬込)점은 이달 1일 매장 병설 보육소를 오픈했다. 직원 자녀를 12명까지, 지역 주민 자녀를 50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 도요타자동차 매장이 이처럼 변모하고 있는 것은 아키오 사장의 ‘제조업에서 이동서비스업으로의 변신’ 선언에 맞춰 판매장도 비즈니스 모델 개혁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에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자국 전력회사의 해외진출 지원을 강화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발전 시설 등 인프라 수출 확대를 위해 전력회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일본의 상사 등이 국제협력은행(JBIC)이나 일본무역보험(NEXI) 등의 지원을 통해 외국에서 발전소 등을 건설·운영하는 경우 권익의 일부를 양도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금까지는 이들 분야에 외국 자본의 진출을 막기 위해 양도를 금지했지만 상사 등의 출자한 금액의 20%까지는 외국 자본에도 권익을 매각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현재 일본의 7개 종합상사가 외국에서 원전 40기분에 해당하는 4000만㎾에 이르는 발전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마루베니(丸紅)가 1200만㎾로 가장 많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이들 상사에 권익 매각을 검토하는 것은 발전 사업의 경우 안정적인 수입을 기대할 수 있지만 투자비 회수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전력 회사 등이 출자 지분을 양도할 수 있으면 투자비 회수가 빨라져 성장 전망이 있는 다른 분야에 대한 투자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유감’을 표시하면서 그 배경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10일 일본 정부가 유감을 표시한 것은 한국 정부가 후쿠시마(福島)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위배된다는 판정에 불복하고 상소한 것에 따른 것이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9일 정부는 일본 원전 상황 지속과 국민 먹거리 안전의 중요성 등을 고려할 때 패널 판정에 문제가 있다는 입장이며 이에 WTO 분쟁해결정차에 따라 상소를 제기한다고 밝혔다. 이날 교도통신은 사이토 겐(齊藤健) 농림수산상은 이날 각의(국무회의) 후 기자들에게 한국 정부의 상소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며 ‘WTO 협정에 반한다고 인정된 조치를 한국이 성실하고 신속하게 시정하기를 앞으로도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WTO 패널은 앞서 일본 원전사고에 따른 한국 정부의 일본산 식품 수입규제 조치가 WTO 위생 및 식물위생(SPS) 협정에 불합치한다고 판정한 바 있다.
[KJtimes=이지훈 기자]9일 오전 1시32분께 일본 혼슈(本州) 시마네(島根)현에서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일본 기상청이 밝혔다. 기상청과 NHK 등에 따르면 이날 지진은 시마네현 마쓰에(松江)시에서 남서쪽으로 50㎞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12㎞로 관측됐다. 이로 인해 시마네현 오다(大田)시에서는 진도 5강, 같은 현 이즈모(出雲)시 등에서는 진도 5약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진도 5강은 펜스나 담장 등 물건을 잡지 않으면 걷기 힘들고 선반 위의 물건이 다수 떨어지거나 가구 등이 일부 넘어지는 정도, 진도 5약은 많은 사람이 흔들림을 느끼고 선반 위의 물건이 일부 떨어지는 수준이다. 이 지진으로 인해 쓰나미(지진해일)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부상자가 일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일부 지역에서는 단수와 정전도 발생했다. 이 지진이 발생한 이후에도 시마네현에서는 규모가 약한 여진이 이어졌다. 교도통신은 이번 지진으로 인해 오다시에서 3명이 선반에서 떨어진 물건에 머리 등을 부딪쳐 경상을 입었다고 전했다. 또 100여가구가 단수됐고, 50여가구는 정전됐다. 일부 건물이나 도로에 금이 가는 등의 피해도 접수된 것으로
[KJtimes=김현수 기자]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는 9일 저녁 재임 기자회견에서 물가상승률 2%의 목표 실현을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구로다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금융 완화정책의 출구전략에 대해서는 구체적 설명은 "시기상조"라며 언급을 피했다. 구로다 총재는 은행 경영에 현시점에서 문제는 없다며 "금융 중개 기능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주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이날 구로다 총재를 만난 자리에서 물가 목표 등을 명시했던 정부와 일본은행의 공동성명을 재확인하고 "모든 정책을 총동원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13년 3월 취임한 구로다 총재는 물가상승률 2% 목표 달성을 내걸고 같은 해 4월 시장에 대규모로 돈을 푸는 금융완화 정책을 실시했다. 이후에도 추가 완화 조치를 했지만, 물가상승률 목표를 아직 실현하지 못해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의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KJtimes=김현수 기자]식품이나 몸에서 나는 여러가지 냄새나 향기를 크기나 모양이 다른 오각형 도형으로 표시해 보여주는 '향기 카메라'가 개발됐다. 이 카메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냄새를 눈에 보이는 도형으로 표시해 보여준다. 사와다 가즈아키(澤田和明) 일본 도요하시(豊橋)기술과학대학 교수(반도체 공학)가 이끄는 연구팀은 반도체 칩에 얇은 특수막을 입혀 향기의 성분을 흡착, 5가지 특징적인 냄새 성분의 비율을 측정해 성분 차이를 도형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도형은 기록과 공유가 가능해 제3자와 스마트폰 등으로 공유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이 카메라가 숨을 쉴 때 나오는 냄새를 측정해 암 등 특징적인 냄새를 내는 질병 진단과 식품보관 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빛을 검출하는 반도체 칩은 이미 스마트폰에 이용되고 있다. 이 기술에 냄새를 검출하는 칩을 추가하면 어떤 냄새인지 쉽게 기록할 수 있다. 이 카메라를 이용하면 촬영한 사진에 냄새 정보를 추가해 제3자에게 보낼 수도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티지털 카메라에도 이용되는 이미지센서의 한 종류에 냄새를 감지하면 전기신호가 바뀌는 특수한 막을 발라 향기를 포착하는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이 이라크 재건을 위해 350억엔(약 3천475억원)의 차관을 제공하기로 했다고 NHK가 전했다. 6일 NHK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전날 밤 총리관저에서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총리를 만나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일본이 제공하는 차관은 이라크 남부에서 상수도 정비 등에 쓰일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총리와 알아바디 총리는 또한 이라크 현지 치안 안정을 위해 무기를 포기하면 직업훈련 등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을 마련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도쿄도(東京都) 내에서 이라크 내 무기회수를 돕기 위한 국제회의를 이라크 정부와 공동으로 개최하고 지원 의사를 밝혔다. 아베 총리는 공동 기자회견에서 "높은 기술력을 가진 일본 기업이 이라크 부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알아바디 총리는 "일본의 자금력과 기업 기술력을 빌려 경제를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KJtimes=김현수 기자]미국과 중국이 상대방에 '관세폭탄'을 퍼붓는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이 1.4%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 다이이치(第一)생명 경제연구소의 나가하마 도시히로(永濱利廣) 수석이코노미스트는 5일 산케이신문에 "미국과 중국, 유럽이 관세를 올릴 경우에는 2.1%, 미국과 중국만으로도 1.4% 정도 GDP가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의 대미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 및 관련 부품, 대중 주요 수출품은 스마트폰용 전자부품이다. 양국 간 관세폭탄을 중심으로 한 무역전쟁으로 교역량이 줄어들어 미국과 중국의 경기가 후퇴하면 우선 양국에서 내구소비재 구매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결국 이들 지역에 대한 일본의 관련 물품 수출이 줄어들면서 GDP 감소로 일본 경제에 타격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금융시장에서 위험 회피 차원에서 비교적 안전 자산으로 평가받은 엔화에 대한 구매 수요가 증가하면 현재 달러당 106엔가량인 엔화가치가 급등할 가능성이 크다. 나가하마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달러당 엔화가 100엔 수준까지 엔고가 진행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되면 일본 제품의 수출 가격이 올라가면서 수출량이 줄
[KJtimes=김현수 기자]주(駐)나고야 한국 총영사관은 이달 14∼15일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시 중심부 히사야 광장에서 '한국 페스티벌 2018 in 나고야'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페스티벌에는 조정민, 비투비(BTOB)의 현식 등 K팝 가수 10팀과 함께 J팝 가수 3팀도 출연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의 풍물패와 전통예술단, 무용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통 음악과 춤을 소개한다. 14일 열리는 개막 행사는 오무라 히데아키(大村秀章) 아이치현지사, 가와무라 다카시(河村たかし) 나고야시장 등이 참여하는 김치 만들기 체험 형식으로 개최된다. 페스티벌에선 음식을 맛볼 수 있는 한식 부스, 한복과 한지공예 체험 부스 등이 마련되고 일반인이 참여하는 K팝 콘테스트와 사진 콘테스트도 준비된다. 주나고야 총영사관 측은 "동포단체와 친한단체 등이 적극적 협조 의사를 밝힘에 따라 이번 행사를 준비하게 됐다"며 "일본에서 한류가 재점화화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