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도쿄(東京)에 4년 만에 20㎝가 넘는 눈이 쌓였다. 이에 따라 눈은 수도권을 오가는 철도에도 영향을 미쳐 전날 퇴근길에 이어 이날 오전에도 일부 노선은 지연 또는 운행이 중단됐다. 게다가 일본 기상청은 24일 아침까지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호쿠리쿠(北陸)지역에 80㎝, 니가타(新潟) 현 60㎝, 홋카이도(北海道) 40㎝의 눈이 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앞서 기상청은 22일 도쿄 도심에도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보인다며 2014년 2월 이후 4년 만에 대설경보를 발령했다. 23일 NHK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현재 지역별 적설량은 요코하마(橫浜) 15㎝, 도쿄 도심 21㎝, 우쓰노미야(宇都宮) 시와 마에바시(前橋) 시 각 24㎝ 등을 기록했다. 많은 눈이 내리면서 나리타(成田)공항에서는 22일 저녁 활주로 2개가 폐쇄돼 142편이 결항됐고 이날 자정께 활주로 운용이 재개됐는데도 제시간에 탑승하지 못하거나 귀가하지 못한 승객이 늘면서 9000명 가량이 공항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이날 아침에도 일본 국내편을 중심으로 나리타와 하네다(羽田)공항을 이착륙하는 46편의 결항이 결정됐다. 눈길 교통사고도 잇따라 도쿄
[KJtimes=김현수 기자]“국가의 형태와 이상의 모습을 말하는 것은 헌법이다. 50년, 100년 앞의 미래를 응시하는 국가 만들기를 행하겠다. 각 당이 헌법의 구체적인 안을 국회에 가져와서 헌법심사회에서 (개헌) 논의를 깊게 해 앞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개헌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었다. 22일 국회 새해 시정연설에서 각 당에 대해 개헌안을 내라고 요구하며 개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일본 정치권에서는 아베 총리의 이 같은 요구에 대해 국회의 연립 여당인 공명당이나 개헌 우호세력인 유신의 회와 희망의당, 개헌에 반대하는 제1야당 입헌민주당 등 모든 정당에 개헌 논의의 장으로 나올 것을 요청한 것이자 오는 3월로 예정된 여당 자민당의 개헌안 국회 제출과 함께 개헌 행보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중국에 대해서는 ‘관계정상화’에 대한 추파를 던졌다. 올해는 중·일평화우호조약 체결 40주년으로 경제, 문화, 관광, 스포츠 등 다양한 차원의 중일 양 국민의 교류를 비약적으로 강화하겠으며 조기에 한·중·일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리커창(李克强) 총리를 일본에서 맞이하겠다고 입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에서 전직자가 319만 명이었던 지난 2009년 이래 7년 만에 300만 명 선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전직자가 306만 명으로 집계된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백서는 전직 전후의 임금 변화율에 대해 2004~16년에 걸쳐 분석했다. 22일 요미우리신문은 22일 일본 내각부의 ‘일본경제 2017~2018’ 미니백서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그러면서 세대별 전직률은 55~64세가 2016년 3.8%를 기록해 199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는데 취업 의욕이 있는 고령자가 정년퇴직 뒤에 재취직에 전향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에서 직장을 옮길 경우 20대 이하 연령에서는 임금이 오르는 데 반해 40대 이상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선명했다. 정사원 등의 일반 노동자가 다른 직장의 정사원으로 전직한 경우 40세 이상 연령에서는 조사 기간에 항상 임금이 감소한 반면 29세 이하에서는 거의 모든 시기에 임금이 늘었다. 임금 변화율이 높은 경향은 연령층이 젊을수록 보여줬다. 25~34세는 최근 20년간 거의 7% 전후의 전직률을 보였다. 백서는 연령이 전직 뒤 임금 상
[KJtimes=김현수 기자]“작년 12월 후텐마비행장 인근 기노완(宜野彎)시립 한 초등학교 운동장에 미군 헬기 창틀이 떨어져 현의회가 민간 소유 부지 상공 비행금지를 요구했음에도 문제가 계속 발생한데 대해 강한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일본 오키나와(沖繩)현 의회가 미군에 뿔났다. 이에 따라 현 의회는 아울러 미국과 일본 정부에 대해 오키나와 주둔 해병대의 현외 이전 및 2019년 2월까지 후텐마 비행장의 운용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는 의견서도 만장일치로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오키나와의회는 현내에 있는 주일미군 후텐마(普天間) 기지의 미군기가 최근 잇따라 불시착하는 등 말썽을 빚은 데 대한 항의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앞서 올 들어 지난 6일에는 오키나와현 우루마시 이케지마(伊計島) 모래사장에 주일미군 UH-1 다용도 헬기가 불시착했다. 지난 8일에도 요미탄손(讀谷村)의 대형 리조트호텔 인근 폐기물처리장에도 AH-1 공격 헬기가 불시착했다. 그런가 하면 지난달 13일에는 미군 헬기가 후텐마시의 한 초등학교 상공을 비행하다 금속 창틀을 떨어뜨린 데 이어 학교와 현측의 학교 상공 비행 금지 요청에도 불구하고 지난 18일 오
[KJtimes=김현수 기자]“스트레스가 쌓이면 왜 단것이 먹고 싶어지는지, 비만한 사람이 왜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먹고 싶어하는지 원인을 규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17일 아사히(朝日), 마이니치(每日)신문 등 일본 언론들은 미노코시 야스히코(箕越靖彦) 자연과학연구기구 생리학연구소 교수(신경내분비학)가 이끄는 일본 연구팀은 쥐 실험에서 지방과 탄수화물 중 어느 것을 먹을지 결정하는 뇌신경세포가 본능을 통제하는 시상(視床) 하부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논문을 17일 자 미국 과학지 셀 리포트에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에너지가 부족한지를 파악해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대사를 조정, 에너지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는 효소에 착안했다. 지방 또는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된 2종류의 음식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든 다음 24시간 굶긴 쥐를 장치에 집어넣어 먹는 음식을 평상시와 비교했다. 연구 결과 굶긴 쥐는 탄수화물 섭취량이 늘어나는 대신 지방 섭취량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쥐의 뇌내중추를 분석해 보니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특정 효소가 굶긴 쥐의 시상하부에 있는 ‘CRH뉴런’에서
[KJtimes=김현수 기자]‘천재들의 가격’(창해 刊)으로 한국에도 알려진 추리소설 작가인 가도이 요시노부(門井慶喜·46)가 일본 최고 권위의 문학상인 나오키(直木)상의 올해 상반기 수상자로 선정됐다. 17일 일본 언론들은 일본문학진흥회가 전날 가도이 요시노부의 ‘은하철도의 아버지(銀河鐵道の父)’를 제158회 나오키상 수상작으로 뽑았다고 보도했다. ‘은하철도의 아버지’는 동화 ‘은하철도의 밤’으로 알려진 일본 소설가 미야자와 겐지(宮澤賢治·1896∼1933)를 아버지의 눈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일본 언론들은 보도를 통해 이 작품이 심사위원들로부터 ‘현실과 기발한 발상, 망상을 솜씨 있게 엮은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전했다. 한편 일본문학진흥회는 1년에 두 차례 대중성이 강한 작품을 대상으로 나오키상을, 순수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아쿠타가와(芥川)상을 각각 수여하고 있다.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정부가 남북대화 속에서 위기를 부각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6일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한반도에 유사사태가 발생하면 한국 거주 자국인을 쓰시마(對馬·대마도)로 피난시키는 계획을 짜고 있다고 보도했다. 평창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북한이 참가 의사를 밝힘으로써 이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남북한 간 회담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일본 내에서 이런 보도가 나와 주목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본 정부가 한반도 유사시 자국인을 우선 각 지역의 대피소에 대피하게 한 다음 주한미군 등의 도움을 얻어 부산으로 집결시키는 피난 시나리오를 작성 중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렇게 부산에 모인 일본인들을 자국의 쓰시마로 옮기고 이후 다시 규슈(九州) 지방 등 일본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쪽으로 피난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일단 부산에서 미국의 군함에 자국인을 태운 뒤 해상에서 이 군함과 자위대함을 연결해 자위대함에 옮겨 타게 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이는 자위대의 한반도 상륙에 대한 한국 정부의 반감을 고려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주목되는 것은 일본 정부가 과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신사(神社)들이 비상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유명 신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신사는 시설유지가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비롯한 각료들의 집단참배와 공물 봉납으로 유명한 야스쿠니(靖國)신사를 비롯 일부 유명 신사들은 예외였다. 16일 NHK 보도에 따르면 운영난이 심각한 곳은 지방에 있는 신사들이 대부분이다. 같은 씨족신을 모시는 친족(氏子)감소로 보시가 줄어 수입이 크게 줄은 탓이다. 일부는 하루 수입이 고작 10엔짜리 동전 몇 개에 불과한 곳도 있는 곳도 있다. 최근에는 신사일(神職)에 종사하려는 사람을 구하기 어려워 심한 경우 한사람이 100여 개 신사를 맡는 경우도 있다. NHK는 이 같은 현실을 전하면서 오랫동안 신성한 장소로 지역에 밀착해온 신사가 이제는 ‘ 신에만 의존’하는 데서 벗어나 필사적으로 생존대책을 모색하는 시대가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 신사들의 실태는 어떨까. NHK에 따르면 도시에 있는 신사 경내에 맨션이 잇따라 들어서고 있다. 도쿄도(東京都) 내 복수의 신사 경내에 맨션건설이 이뤄지고 있고 교토(京都)에서는 유네스코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주류업계가 경쟁적으로 생산설비 증강을 추진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그 이유로는 권위 있는 외국 주류품평회에서 최고상을 받으면서 해외에서의 인기가 비약적으로 높아지고 이것이 국내외에서의 판매 호조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꼽히고 있다. 15일 NHK는 위스키의 일본 국내 소비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위스키에 탄산수를 섞어 마시는 하이볼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표적 위스키 메이커인 산토리홀딩스는 위스키 판매량이 지난 5년간 2배로 늘어난 것으로 추산했다. 산토리홀딩스는 하이볼 인기 등에 따라 앞으로도 위스키 수요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NHK는 보도를 통해 해외 주류품평회에서 수상한 일부 브랜드의 경우 생산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주문이 몰리고 있으며 일본 위스키에 대한 평가는 세계적으로도 이미 정평이 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영국 위스키 전문지가 주최하는 월드 위스키 어워드에서는 산토리의 ‘히비키(響)’ 닛카위스키의 ‘다케쓰루(竹鶴)’ 등의 일본 위스키가 매년 맡아 놓고 최우수상 수상제품의 하나로 뽑히고 있다고 덧붙였다. 산토리
[KJtimes=김현수 기자]“북한 문제 등 국제사회가 직면한 긴급한 과제에 대한 연대를 확인할 것이다. 경제관계도 구체적으로 진전시키고 싶다.” 12일 오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도쿄 하네다(羽田)공항을 통해 정부 전용기 편으로 유럽 6개국 방문길에 올랐다. 불가리아, 세르비아,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등이 그곳이다. 그러면 아베 총리가 방문국에서 무엇을 할까. 우선 그는 해당국가 정상들과 잇따라 회담을 하고 핵과 미사일 개발을 계속해 온 북한에 대한 압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예정이다. 또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결의를 엄격하게 이행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할 방침이다. 현재 아베 총리는 정보기술(IT)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에스토니아에서는 외부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양국이 연대해 나가자는 점을 확인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불가리아에서는 일본과 유럽연합(EU)과의 경제연대협정(EPA)의 조기 발효를 위한 협력을 당부할 예정이다. 또 리투아니아에서는 재임 당시 유대인들의 목숨을 구해 ‘일본판 쉰들러’로 불리는 스기하라 지우네(杉原千畝) 전 리투아니아 주재 총영사 기념관도 찾을 계획이다.
[KJtimes=김현수 기자]“긴밀히 공조해 철저한 방역 조치를 신속하게 진행하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전날 AI 발생 보고를 받고 곧바로 관계 성청(省廳·부처)에 내린 지시다. 현재 일본 가가와(香川)현에서 이번 겨울 들어 처음으로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면서 일본 정부가 비상이 걸린 상태다. 이 같은 분위기는 정부 움직임에서 여실히 감지되고 있다 12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12일 총리 관저에서 ‘AI 관계각료회의’를 주재하고 AI가 발생한 양계장의 닭 9만2000마리를 긴급 살처분하기로 했으며 살처분에는 가가와현청 직원과 자위대원 등 전날 밤부터 연인원 750명가량이 투입된다. 뿐만 아니다. 농림수산성 직원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역학조사팀도 이날 가가와현 농장에 도착해 원인 규명에 나섰다. 가가와현은 문제의 양계장에서 반경 3㎞에 있는 다른 양계장 8곳의 닭과 계란에 대해 반출과 반입을 금지하는 ‘이동제한’ 조처를, 3~10㎞ 반경 18곳 양계장에 대해서는 반출을 금지하는 ‘반출 제한’ 조처를 각각 내렸다.
[KJtimes=김현수 기자]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내달 평창올림픽 개회식에 참석을 보류하기로 방침을 굳혔다고 산케이신문이 11일 보도했다. 극우 성향의 산케이는 이는 "표면적으로는 오는 22일 소집되는 통상국회(정기국회) 일정 때문이라고 하지만 위안부 관련 한일 합의를 둘러싸고 문재인 정부가 일본 정부에 새로운 조치를 요구하는 자세를 보임에 따라 판단한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달 일본을 방문한 강경화 외교장관은 아베 총리에게 평창올림픽 참석을 바란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한 바 있다. 강 장관은 위안부 합의와 관련, 지난 9일 후속대책을 설명하면서 "일본이 스스로 피해자들의 명예·존엄 회복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일본이 진실을 인정하고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진심을 다해 사죄해야 하다"고 말했다. 산케이는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담은 한일 합의를 재검토하는 움직임이라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와함께 일본이 지난해 1월 부산 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중단한 한일 통화 스와프 협정 재개 협의에 계속 응하지 않는다는
[KJtimes=김현수 기자]“(한일 위안부) 합의로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행하지 않는 것은 일본으로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 즉시 항의하겠다.” 9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이 한국 정부의 지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처리 방향 발표와 관련한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일 위안부 합의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즉시 항의할 방침을 밝힌 게 그것이다. 이날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015년 한일 양국 간 위안부 합의가 문제의 진정한 해결이 될 수 없다면서 일본 정부가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화해·치유 재단에 출연한 10억 엔을 우리 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겠다는 내용의 한일 위안부 합의 처리 방향을 발표했다. 고노 외상은 이날 외무성 기자단에 “한일 합의는 국가와 국가의 약속”이라면서 “정권이 변했다고 해서 (합의를) 실현하지 않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은 국제적이고 보편적인 원칙”이라고 강변했다.
[KJtimes=김현수 기자]“지금까지의 차나 트럭의 개념을 넘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모빌리티(이동) 서비스의 가치를 확대하겠다.” 도요타자동차가 9일 자율주행 전기자동차(EV) 콘셉트카 ‘e-팔레트’(e-Palette)를 공개하면서 세간의 시선을 모으고 있다. 이 차량의 특징은 물건판매, 피자배달, 차량공유 등 다양한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 사장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최대 가전상품전시회 CES에 앞서 8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하고 비전을 밝혔다. 공개된 전장(길이) 4.8m e-팔레트 시험제작차에는 지역을 한정해 완전자율주행을 할 수 있는 ‘레벨4’의 기술을 탑재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날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대회 관계자의 이동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e-팔레트는 이날 공개된 영상에서 24시간 가동하며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동형 점포가 되거나, 상품을 나르거나, 출퇴근의 공유자동차가 되거나 하는 등이 대표적이다. 도요타는 ‘종합서비스업으로 전환한다’는 목표 아래 이번 차량에 집중할 방침이다. 실제 EV 이외에도 사업화를 노리고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이 고속철도인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고속철 사업 수주를 위해 총력전을 펴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사업에는 중국과 일본, 한국, 프랑스 등이 큰 관심을 보이며 치열한 물밑 경쟁을 벌여왔다. 이런 가운에 일본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궁극적인 이유로는 ‘동남아시아의 첫 국가간 고속철도’라는 점이 꼽히고 있다. 말레이-싱가포르 고속철도는 총 350㎞ 구간으로 말레이시아 구간이 335㎞, 싱가포르 구간은 15㎞다. 전체 사업비는 500억∼600억 링깃(약 13조3000억∼16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는 오는 2026년 12월 서비스를 목표로 작년 말부터 고속철도 건설 사업자와 자산관리 회사 선정 입찰을 개시했다. 입찰 기한은 올해 중순까지다. 8일 일본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의 사업 수주 총력전은 대대적이다. 미야가와 마키오 주말레이시아 일본 대사는 최근 베르나마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관련 기술의 전적인 이전과 대규모 금융지원을 약속했다. 미야가와 대사는 이번 수주전에서 일본이 지닌 강점으로 신칸센(新幹線) 무사고 운행으로 입증된 ‘안전’을 꼽았다. 또한 수주에 성공할 경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