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정부는 6일 각의(국무회의)를 열고 근로자들의 연장근무 시간을 연간 720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일하는 방식' 개혁 법안을 의결해 국회로 제출한다. 그러나 야권은 정부안에 반대하며 노동자들의 권리를 강화하는 독자 법안을 제출할 예정이어서 국회 논의 과정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주요 과제로 내건 일하는 방식 개혁 법안은 연장근무를 연간 최대 720시간, 1달 기준으로는 휴일 근무 시간을 포함해 최장 100시간을 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근로자들의 건강 악화를 막기 위해 월 45시간을 넘는 연장 근무는 1년에 6개월을 한도로 정했다. 이 밖에도 법안에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도입, 고수입 일부 전문직을 노동시간 규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고도 프로페셔널 제도' 도입 등의 내용도 담겼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2019년 4월부터 적용된다. 연장근무 시간을 법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1947년 노동관련법 제정 이후 71년만에 처음이다. 앞서 여당인 자민당 총무회에서는 정부안이 중소기업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으며, 정부측은 중소기업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부칙에 반영했다.
[KJtimes=권찬숙 기자]지난달 일본의 가계지출이 예상외로 큰 폭 감소했다. 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2월 전체 가구의 소비 지출이 작년 동기보다 0.9% 줄었다고 밝혔다. 감소 폭은 작년 4월(-1.4%) 이후 가장 컸다. 이는 전월치 1.9% 증가나 시장 예상치인 0.3% 증가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일부 전문가는 가계지출이 예상 밖으로 감소함에 따라 일본은행(BOJ)이 이달 말 통화정책 회의에서 인플레이션 전망을 하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KJtimes=김현수 기자]식품이나 몸에서 나는 여러가지 냄새나 향기를 크기나 모양이 다른 오각형 도형으로 표시해 보여주는 '향기 카메라'가 개발됐다. 이 카메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냄새를 눈에 보이는 도형으로 표시해 보여준다. 사와다 가즈아키(澤田和明) 일본 도요하시(豊橋)기술과학대학 교수(반도체 공학)가 이끄는 연구팀은 반도체 칩에 얇은 특수막을 입혀 향기의 성분을 흡착, 5가지 특징적인 냄새 성분의 비율을 측정해 성분 차이를 도형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도형은 기록과 공유가 가능해 제3자와 스마트폰 등으로 공유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이 카메라가 숨을 쉴 때 나오는 냄새를 측정해 암 등 특징적인 냄새를 내는 질병 진단과 식품보관 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빛을 검출하는 반도체 칩은 이미 스마트폰에 이용되고 있다. 이 기술에 냄새를 검출하는 칩을 추가하면 어떤 냄새인지 쉽게 기록할 수 있다. 이 카메라를 이용하면 촬영한 사진에 냄새 정보를 추가해 제3자에게 보낼 수도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티지털 카메라에도 이용되는 이미지센서의 한 종류에 냄새를 감지하면 전기신호가 바뀌는 특수한 막을 발라 향기를 포착하는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이 이라크 재건을 위해 350억엔(약 3천475억원)의 차관을 제공하기로 했다고 NHK가 전했다. 6일 NHK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전날 밤 총리관저에서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총리를 만나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일본이 제공하는 차관은 이라크 남부에서 상수도 정비 등에 쓰일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총리와 알아바디 총리는 또한 이라크 현지 치안 안정을 위해 무기를 포기하면 직업훈련 등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을 마련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도쿄도(東京都) 내에서 이라크 내 무기회수를 돕기 위한 국제회의를 이라크 정부와 공동으로 개최하고 지원 의사를 밝혔다. 아베 총리는 공동 기자회견에서 "높은 기술력을 가진 일본 기업이 이라크 부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알아바디 총리는 "일본의 자금력과 기업 기술력을 빌려 경제를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KJtimes=조상연 기자]미국이 중국 기업을 상대로 연거푸 빗장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이번엔 일본 소프트뱅크를 겨냥해 대미(對美) 투자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한국계인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는 중국 온라인 대기업 알리바바의 최대주주이기도 하다. 5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는 최근 소프트뱅크가 미 투자펀드 포트리스에 일상적인 통제를 중단하도록 압박했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밝혔다. 이에 따라 소프트뱅크는 380억 달러에 이르는 포트리스의 자산 운용에서 발언권이 제한됐다고 이들 소식통은 덧붙였다. 특히 소프트뱅크는 "포트리스의 경제적 소유권만 가질 뿐 더 이상은 없다"는 취지로 CFIUS와 타협한 것으로 소식통들은 전했다. 소프트뱅크는 지난해 2월 포트리스를 33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으나 CFIUS 심사에 부딪혀 수개월째 승인이 지연되고 있다. 일본 이동통신 대기업인 소프트뱅크가 금융 사업을 인수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며, 포트리스 이사회에도 소프트뱅크 측 인사들이 포진해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들 인사가 포트리스 경영에 영향을 줄 만한 여력은 크지 않았다고 한 소식통은 말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정부가 관리 부실 지적을 받는 가상화폐 해외송금 관련 규정 정비에 나섰다. 재무성은 장차 국경을 초월한 물건과 서비스 거래 결제에 가상화폐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관련 규정을 알기 쉽게 손보기로 했다. 가상화폐의 해외거래 실태를 파악하기 쉽게 하고 자금세탁 등을 억제하기 위해서다. 5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따르면 재무성은 6월에 외국환거래법을 개정, 해외 법인이나 개인간에 3천만 엔(약 2억9천780만 원) 이상을 지불할 때는 당국에 보고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일본은 작년에 자금결제법을 개정해 선진국 중에서는 처음으로 가상화폐를 현금과 함께 '지불수단'으로 규정했다. 이에 따라 형식상으로는 송금액이 3천만 엔 이상이면 보고 의무가 부과된다. 그러나 가상화폐의 경우 '3천만 엔 이상'의 가치를 정할 기준이 없어 보고 누락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재무성은 보고의무 여부를 판단하기 쉽도록 기준을 명확히 한다는 계획이다. 개정안은 대금을 실제로 지불한 당일의 가상화폐 거래소 시세를 토대로 현금가치로 환산, 재무성에 보고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4일 현재 1 비트코인은 80만 엔전후에
[KJtimes=김현수 기자]미국과 중국이 상대방에 '관세폭탄'을 퍼붓는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이 1.4%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 다이이치(第一)생명 경제연구소의 나가하마 도시히로(永濱利廣) 수석이코노미스트는 5일 산케이신문에 "미국과 중국, 유럽이 관세를 올릴 경우에는 2.1%, 미국과 중국만으로도 1.4% 정도 GDP가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의 대미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 및 관련 부품, 대중 주요 수출품은 스마트폰용 전자부품이다. 양국 간 관세폭탄을 중심으로 한 무역전쟁으로 교역량이 줄어들어 미국과 중국의 경기가 후퇴하면 우선 양국에서 내구소비재 구매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결국 이들 지역에 대한 일본의 관련 물품 수출이 줄어들면서 GDP 감소로 일본 경제에 타격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금융시장에서 위험 회피 차원에서 비교적 안전 자산으로 평가받은 엔화에 대한 구매 수요가 증가하면 현재 달러당 106엔가량인 엔화가치가 급등할 가능성이 크다. 나가하마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달러당 엔화가 100엔 수준까지 엔고가 진행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되면 일본 제품의 수출 가격이 올라가면서 수출량이 줄
[KJtimes=김현수 기자]주(駐)나고야 한국 총영사관은 이달 14∼15일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시 중심부 히사야 광장에서 '한국 페스티벌 2018 in 나고야'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페스티벌에는 조정민, 비투비(BTOB)의 현식 등 K팝 가수 10팀과 함께 J팝 가수 3팀도 출연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의 풍물패와 전통예술단, 무용단 등이 무대에 올라 전통 음악과 춤을 소개한다. 14일 열리는 개막 행사는 오무라 히데아키(大村秀章) 아이치현지사, 가와무라 다카시(河村たかし) 나고야시장 등이 참여하는 김치 만들기 체험 형식으로 개최된다. 페스티벌에선 음식을 맛볼 수 있는 한식 부스, 한복과 한지공예 체험 부스 등이 마련되고 일반인이 참여하는 K팝 콘테스트와 사진 콘테스트도 준비된다. 주나고야 총영사관 측은 "동포단체와 친한단체 등이 적극적 협조 의사를 밝힘에 따라 이번 행사를 준비하게 됐다"며 "일본에서 한류가 재점화화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인터넷 증권사인 모넥스그룹의 행보가 이상하다. 지난 1월 거액의 가상통화 해킹 도난사건이 발생한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체크’의 매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까닭이다. 4일 요미우리신문은 모넥스그룹이 전날 매수 검토를 발표했으며 이르면 이번 주에라도 이를 공식 발표할 가능성이 있고 매수액은 수십억 엔(수백억 원)이 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모넥스 측은 매수 후에 경영을 쇄신할 계획이어서 코인체크 사장 등은 퇴임하게 될 전망이다. 모넥스는 그간 가상화폐거래 분야에 참가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그러나 관련 사업에 대한 심사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코인체크 매수에 나서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인체크는 올해 1월 26일 최대 규모인 580억엔(약 5764억원) 상당의 NEM(뉴이코노미무브먼트) 코인을 해킹으로 도난당했고 이로 인해 26만명의 투자자가 피해를 봤으며 일본 금융청은 코인체크에 경영체제의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하며 2회에 걸쳐 업무 개선 명령을 내렸다.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수도권 철도회사 JR히가시니혼(東日本)이 ‘범죄·테러대책’을 내놓으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4일 NHK는 JR히가시니혼이 앞으로 도입하는 모든 열차 내에 방범카메라를 설치할 방침이며 이는 치한 등에 의한 범죄를 방지하고 오는 2020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테러대책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카메라에는 불특정 다수의 모습이 기록돼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데 철도회사 측은 승객 프라이버시를 고려해 영상을 볼 수 있는 사원을 한정하기로 했지만 사건 수사 등으로 경찰 요청이 있으면 제공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NHK 보도에 따르면 JR히가시니혼은 지난 9년 전부터 사이타마(埼玉)와 도쿄(東京)를 연결하는 사이쿄(埼京)선에서 치한 방지대책으로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했다. 도쿄(東京)도심을 순환하는 야마노테(山手)선에서는 내달 이후 이러한 카메라를 갖춘 전차 도입을 시작할 계획이다. 그런가 하면 이미 카메라 설치가 진행되고 있는 신칸센(新幹線) 외에 재래선 특급과 일반 전차 등도 대상으로 할 예정이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모든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할 방침이며 나리타(成田)익스프레스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에서 경기회복에 대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작용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가 지난달 국회에서 5년 연임 안이 통과하며 오는 2023년 4월 8일까지 일본의 금융·통화정책을 총지휘할 예정이다. 하지만 금융권 일각에서는 2% 물가상승률 달성이라는 목표 달성 자체도 쉽지는 않아 보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또 다른 일각에서는 금융완화 장기화에 따라 금융기관의 수익 악화, 연기금 운용 환경 악화 등 부작용에 대한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구로다 총재가 거듭 연기한 끝에 최근 제시한 ‘2019년에 물가상승률 2% 달성’ 목표에 대해서도 많은 이코노미스트가 고개를 흔들고 있다. 뿐만 아니다. 대규모 금융완화가 5년간 이어지고 기준금리 마이너스(-) 0.1%라는 역사적인 저금리는 금융기관의 수익력 저하로 메가뱅크들의 체력 악화로 국제 경쟁력을 갉아먹는다는 지적도 힘을 얻고 있는 분위기다. 그런가 하면 초저금리가 이어지면서 연기금 등 운용 환경이 나빠지면서 부작용도 확산하는 추세다. 일본은행이 보유한 국채가 최근 5년간 급격이 증가하면서 450조
[KJtimes=권찬숙 기자]“원전도시가 평생 짊어지고 가야 할 숙명인 원전 안전문제를 논의하는 기장포럼 개최에 많은 원전도시가 공감하고 있고 국제원자력기구가 후원기관으로 참여하는 만큼 정식 국제협의체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일본 후쿠시마,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미국 스리마일 등 원전 사고를 겪은 도시의 대표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들 대표가 모이는 곳은 한국 부산 기장군이다. 4일 부상 기장군은 원자력발전소가 있는 도시의 안전과 번영의 해법을 모색하는 기장포럼을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힐튼 부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부산 기장군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는 국내 원전도시(기장, 경주, 울주, 울진, 영광), 미국 웨인스보로·자이언·플로리다, 캐나다 소진쇼어·클레링톤, 핀란드 유라조키, 영국 이스트로디언 등 7개국 15개 도시 지자체장과 원자력 전문가가 참석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한 원전의 안전성 확보 방안과 원전 해체 등에 대해서도 논의를 할 계획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경제협력개발기구 산하 원자력기구(OECD-NEA) 관계자도 이번 포럼에 참석해 ‘원전해체 전망’과 ‘악천후에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이 향후 건설하는 카지노 입장료를 대폭 올리면서 그 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4일 요미우리신문은 카지노 입장료를 당초 2만원에서 6만원 수준으로 대폭 올리고 자민당과 공명당은 일본인의 카지노 입장 횟수를 주 3회로 한정하고 일본 내 설치할 시설 수는 최대 3개소로 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입장료는 일본인과 일본 내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징수하는데 일본 정부와 여당은 관련 법안을 이달 중 각의 결정한 뒤 이번 국회에서의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도박 중독증 대책을 우려하는 여론이 여전하고 야당이 법안에 반대할 방침이어서 국회 통과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산케이신문은 현재 카지노를 포함한 통합형 리조트 시설 유치 후보지로는 홋카이도(北海道), 오사카부(大阪府), 아이치(愛知), 와카야마(和歌山), 나가사키(長崎) 현 등의 지역명이 거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보도를 통해 집권 자민당과 연립여당인 공명당은 전날 이와 관련한 실무회의를 열고 정부가 제시했던 2000엔(약 1만9876원)보다 비싼 6000엔(약 5만9630만원)으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도박 중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에서 운용되고 있는 가상화폐 중 14%의 주인은 일본 25∼30세 회사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 광고업체 ‘사이버 에이전트’의 자회사인 ‘신(新)R25’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드러났다. 4일 아사히(朝日)신문은 지난달 일본 전국의 25∼30세 일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해 조사가 이뤄졌으며 4374명이 조사에 응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가상화폐를 보유 또는 운용하고 있다’는 응답은 13.5%였으며 이중 27.7%는 가상화폐를 구입하기 전에는 투자와 운용을 해본 경험이 없는 초보자들이었다고 전했다.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보유금액은 ‘5만 엔(약 49만5000원) 미만’이 34.5%로 가장 많았고100만 엔(약 9900만원) 이상은 10.2%였다. 첫 구입시기는 가격이 크게 오른 2017년 10∼12월이 24.3%로 가장 많았지만 거래업체 코인체크에서 발생한 거액의 부정유출 사고로 가격이 급락한 2018년 이후에 처음 샀다는 응답도 15%에 달했다. 아사히신문은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유자의 90% 이상이 ‘투자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 젊은 층은 가상화폐를 새로운 투자수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KJtimes=권찬숙 기자]패션 브랜드 랩코리아(LAP KOREA)가 일본 1호점 매장을 도쿄 하라주쿠에 오픈했다고 3일 밝혔다. 일본에 첫 번째 매장을 오픈한 랩코리아는 랩코리아의 스트리트 감성 제품들로 일본 소비자들을 만난다. 스튜디오 라인과 어반 라인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선보여 토탈 라이프웨어 멀티숍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랩코리아는 일본 오프라인 매장 오픈과 함께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케이콘 2018 재팬 콘서트 티켓'을 증정하는 이벤트와 더불어 선착순으로 증정하는 '100엔 럭키박스'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럭키박스는 LAPCOS의 1천500엔 상당 마스크팩 세트, 티셔츠 등 다양한 제품들로 구성돼 있다. 랩코리아는 오프라인 매장 오픈과 동시에 '랩재팬'(LAP JAPAN)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상품 판매를 시작했다. 랩코리아 관계자는 "감성적이고 스타일이 살아있는 제품을 선보여 일본의 소비자들도 사로잡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