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5시

대출규제에도 9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상승…서울 전월대비 26.4p↑

[KJtimes=김봄내 기자] 6·27 대출규제에도 수요 대비 공급 부족이 지속되면서 9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9월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82.0으로 전월 대비 6.3포인트 올랐다고 11일 밝혔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 예상하는 지표다. 100 이하면 입주 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100 이상이면 긍정적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원으로 묶는 등 고강도 대출규제에도 건설경기 악화에 따른 신규 분양계획 유보, 중대재해와 노란봉투법 시행 등에 따른 공기 지연 및 공사비 상승으로 신규 공급이 축소될 우려 등 요인이 영향을 미치면서 이미 아파트를 분양받은 이들의 입주 전망 자체는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102.7)이 전월 대비 26.4포인트, 인천(82.1)11.8포인트, 경기(88.2)6.4포인트 올라 수도권 전 지역이 상승했다.

 

주산연은 "대출규제 이후 주택 거래량이 줄었으나 매매가는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고, 특히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가격 상승이 나타났다""이에 따라 주택 수요 억제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부정적 입주 전망이 완화된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5대 광역시에서는 울산(78.591.6), 광주(78.585.7), 대구(80.085.7)가 상승했고 부산(77.761.1), 대전(91.685.7)은 하락했다. 세종(75.081.8)6.8p포인트 상승했다.

 

8개 도에서는 대부분 지역이 상승했으나 강원(70.062.5), 경북(81.880.0)은 하락했다.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전월 대비 3.5%포인트 상승한 67.4%로 조사됐다.

 

수도권(82.0%)이 대출규제 영향으로 1.4%포인트 하락한 반면 5대 광역시(64.9%)4.1%포인트, 기타지역(63.8%)5.0%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각 지연(34.6%), 잔금대출 미확보(30.8%), 세입자 미확보(23.1%), 분양권 매도지연(5.8%) 순이었다.

 

주산연은 "9·7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 축소 및 전세대출 한도 관리 등 대출규제 추가 강화가 포함돼 향후 신축 아파트 입주여건 악화 가능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제금융센터 "美中 보호무역 장기화 시 글로벌 경제 '구조적 충격' 불가피"
[KJtimes=정소영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 ‘미-중 간 보호무역주의 장기화 시의 글로벌 경제 영향’을통해 미·중 간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장기화할 경우 글로벌 경제 전반에 걸쳐 구조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최근 고위급 회담에서 관세 유예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전략적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보고서에서 “단기적 관세 동결에도 불구하고 보조금 지급, 우회 수출 차단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향후 고관세 부활 및 통상 정책 변경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진단하며, 이에 따라 각국은 중장기 전략 마련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망 재편, 글로벌 비용 증가 불러 보고서는 특히 미·중 양국이 자국 중심의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을 강화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외국인직접투자(FDI) 및 물류 재배치, 상이한 기술·표준 충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이 누적되면서 총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전 세계 기업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같은 공급망 변화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