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만사

中누리꾼, '케데헌' 세계적 열풍 이용해 中애니 홍보 논란

[KJtimes=김봄내 기자]중국 일부 누리꾼들이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를 자국 애니메이션 홍보에 무단으로 이용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8월 중국 토종 애니메이션 '너자(哪吒·Nezha)2'는 북미 극장가에서 개봉을 했지만 초반 흥행에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너자2'는 중국 고전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로 널리 알려진 고대 신화 속 영웅신 '너자'의 이야기를 각색한 판타지 애니메이션 '너자, 악동의 탄생'의 후속편이다.

 

 

 

특히 이번 '너자2'는 중국 정부 차원에서 밀어준 작품으로, 배우 양자경까지 섭외해 영어 더빙판을 만들었지만 세계인들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중국 일부 누리꾼들은 각 종 SNS'케데헌' 등장 캐릭터들과 '너자2' 주인공을 함께 언급하는 게시물을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그야말로 '케데헌'을 훔쳐보는 것도 모자라, 이제는 '케데헌'의 세계적 인기에 편승하려는 어처구니 없는 짓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중국 관련 다양한 콘텐츠에 해시태그로 '케데헌'을 함께 삽입하여 자국 애니메이션 '너자2'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서 교수는 "이제 중국 누리꾼들은 멈춰야만 한다""더이상 남의 콘텐츠를 이용해 홍보하지 말고, 훔쳐 보지도 말고, 짝퉁 굿즈도 더이상 판매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제금융센터 "美中 보호무역 장기화 시 글로벌 경제 '구조적 충격' 불가피"
[KJtimes=정소영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 ‘미-중 간 보호무역주의 장기화 시의 글로벌 경제 영향’을통해 미·중 간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장기화할 경우 글로벌 경제 전반에 걸쳐 구조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최근 고위급 회담에서 관세 유예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전략적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보고서에서 “단기적 관세 동결에도 불구하고 보조금 지급, 우회 수출 차단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향후 고관세 부활 및 통상 정책 변경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진단하며, 이에 따라 각국은 중장기 전략 마련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망 재편, 글로벌 비용 증가 불러 보고서는 특히 미·중 양국이 자국 중심의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을 강화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외국인직접투자(FDI) 및 물류 재배치, 상이한 기술·표준 충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이 누적되면서 총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전 세계 기업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같은 공급망 변화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