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권찬숙 기자]현직에서 물러난 사장이 이사 지위를 유지하며 회장, 부회장 등의 직함으로 후임 사장의 경영에 간섭하는 일본식 경영 전통이 여론의 비판을 받고 있다. 사장 자리를 물려 줬으면 경영 일선에서 물러 나는게 당연한데도 각종 경영 현안에 대해 '의견'을 개진, 기업 거버넌스와 경영에도 지장을 주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지적된다. 사원들 사이에선 회사 대표가 누군지 모르겠다는 불평과 함께 사원들의 줄서기를 부추기는 부작용이 많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일본 재계에서는 요즘 4월에 시작되는 새 회계연도를 앞두고 사장 교체 인사가 잇따르고 있다.' NHK에 따르면 창업자로 오랫동안 경영 일선에서 활약해온 카리스마 경영자 중 니혼(日本)전기산업의 나가모리 시게노부(永守重信. 73) 사장과 아이리스오야마의 오야마 겐타로(大山健太郎. 72) 사장이 세대교체를 할 때가 됐다며 각각 사장자리를 50대와 30대에게 물려줬다. 오너는 아니지만 존재감이 두드러졌던 오카후지 마사히로(岡藤正広. 68) 이토추(伊藤忠) 사장과 히라이 가즈오(平井一夫. 57) 소니 사장, 사토 마사히로(佐藤康博. 65)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 사장도 각각 실적과 조직개편 등 자신의 역
[KJtimes=권찬숙 기자]운전자 없이 혼자서 주행하는 완전 자율자동차 시대에는 자동차에 아예 운전석이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 자동차 메이커들이 자동운전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일본 파나소닉사가 28일 완전자율주행 자동차가 보급될 것으로 예상되는 2030년을 염두에 둔 차내 시스템을 공개했다. 일본 NHK 방송에 따르면 파나소닉이 발표한 미래 완전자율주행차는 운전석이 아예 없다. 실내 좌석은 2명씩 4명이 마주 보고 앉을 수 있게 배치했다. 사람 눈의 홍채를 인식해 조명이 켜지고 탑승자의 표면 온도를 센서가 감지해 최적의 공조가 이뤄지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이 탑재돼 있다. 좌석 옆 창문은 모니터로 활용할 수 있게 돼 있다. 이밖에 이동 중에도 인터넷을 통해 쇼핑하거나 TV 화상회의를 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췄다. 시오쓰키 파나소닉 오토모티브 개발본부 부본부장은 "TV와 휴대전화 등에서 육성한 기술을 차내에 적용해 자동운전 주행을 즐기면서 가치를 생산하는 공간을 만드는 데 공헌하고 싶다"고 말했다. 파나소닉은 성장이 기대되는 자동차 관련 사업을 강화해 2021년 세계 10대 자동차 부품 메이커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이다.
[KJtmes=권찬숙 기자]한전KDN은 일본 이바라키현에 54MW(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 구축사업을 완공하고 29일 준공식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15년 6월 수주한 총 810억원 규모로 한전KDN이 향후 20년간 발전소 운영과 관리유지보수도 맡는다. 한전KDN의 최적화된 태양광발전소 감시·제어시스템을 적용, 당초 예상했던 80%를 넘는 높은 발전효율을 보인다고 한전KDN은 설명했다.
[KJtimes=권찬숙 기자]장기 침체를 겪었던 일본의 지방 도시 번화가 땅값이 26년만에 상승세를 보였다고 마이니치신문이 28일 보도했다. 국토교통성이 전날 공표한 올해 1월1일 공시지가에 따르면 도쿄(東京)·오사카(大阪)·나고야(名古屋) 등 대도시를 제외한 전국 '상업지'의 지가가 전년보다 0.5% 올랐다. 지방 상업지의 지가가 상승세를 보인 것은 버블시대 붕괴(1991년)로 경기가 불황기로 돌아선 뒤 27년만에 처음이다. 전체 공시지가 평균도 작년보다 0.7% 높아져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는데, 이 역시 27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전문가들은 지가 상승의 이유로 경기 회복과 대규모 양적 완화를 특징으로 하는 아베노믹스의 성공을 꼽았다. 특히 지방 번화가의 땅값이 오른 데에는 일본을 찾는 외국의 여행자들이 늘어난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많다. 일본 관광청의 발표에 따르면 작년 일본의 호텔이나 료칸(旅館·일본 전통 숙박시설)에서 투숙한 외국인의 수는 전년보다 12.5% 늘어난 7천800만명이나 됐다. 지방 숙박 시설에 투숙한 외국인의 수는 전년보다 15.8%나 늘었다. 마이니치는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며 번화가에 호텔 건설이 늘어난 것이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가 256만명으로 집계돼 전년에 이어 역대 최다를 경신했다고 NHK가 28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법무성 입국관리국 집계 결과 '재류 외국인'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256만1천848명으로, 전년보다 7.5%(17만9천26명) 증가했다. 이는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59년 이후 사상 최다 인원이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73만890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한국 45만663명, 베트남 26만2천405명 등의 순이었다. 이 중 베트남은 일본계 기업 진출 등으로 일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년 3위였던 필리핀을 제쳤다고 교도통신은 분석했다. 이와 함께 불법체류자는 올해 1월 1일 현재 6만6천498명으로, 작년보다 1천228명 늘어나 4년 연속 증가 추세를 보였다. 국가별로는 한국 1만2천876명, 중국 9천390명, 태국 6천768명 등이었다.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정국을 달구고 있는 재무성의 문서조작이 이뤄진 지난해 2월초~4월 재무성 이재국장을 맡았던 사가와 노부히사(佐川宣壽) 전 국세청 장관은 27일 문서조작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지시나 관여가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문서조작 파문과 관련한 증인으로 출석한 자리에서 "문서조작은 재무성 이재국 안에서 이뤄졌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사가와 전 장관은 NHK를 통해 중계된 위원회 답변을 통해 "총리 관저나 관방과 논의한 것은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관저나 관방의 관여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베 총리나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 아베 총리 비서관 등의 지시가 있었느냐는 별도 질문에 "없었다"고 답했다. 사가와 전 장관이 문서조작이 재무성 이재국 안에서 이뤄졌을 뿐 아베 총리 등 윗선의 지시나 관여가 없다고 답변했지만,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모리토모(森友)학원에 대한 국유지 특혜매각 의혹과 관련해 수감된 가고이케 야스노리(籠池泰典) 전 모리토모학원 이사장은 "특혜매각과 관계가 없다"는 아베 총리의 발언이 '거짓말'이라
[KJtimes=권찬숙 기자]삼성증권은 26∼27일 이틀간 진행된 일본 면세점 기업 JTC가 공모주 청약에서 465.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상장 주관사인 삼성증권에 따르면 공모주 210만6천880주를 대상으로 진행한 청약에서 신청 수가 9억8천102만주에 달했다. 청약 증거금 규모는 4조1천693억원이었다. 앞서 기관 투자가 대상의 수요 예측을 거쳐 공모가는 8천500원으로 확정됐다. JTC는 유학생 출신 기업가인 구철모 대표가 일본에서 일궈낸 면세점 전문기업으로 다음 달 초 코스닥에 상장될 예정이다. JTC는 현재 일본 전역에 24곳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구철모 대표는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최대 여행 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Jtimes=권찬숙 기자]제조업 생산현장이 주 활동무대인 로봇이 사무실 업무에 속속 도입되면서 사무 업무 로봇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일본 유수의 대형 보험회사인 미쓰이스미토모(三井住友)해상화재는 방대한 고객 관련 데이터 입력 등 300개 이상의 업무에 로봇을 이용한 업무자동화 기술인 RPA를 도입했다. RPA는 '로보틱 프로세스 오토메이션'(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약자로 사무 업무를 컴퓨터로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사람이 PC를 이용해 입력하는 업무 등 단순작업을 컴퓨터가 대신하는 것으로 '디지털 노동자'로 부르기도 한다. 미쓰이스미토모해상의 신규 자동차보험료 산정업무는 그동안 사무실 직원이 계약자별로 이름과 나이, 소유 자동차의 종류 등의 정보를 PC에 입력했으나 지금은 컴퓨터가 대신하고 있다. NHK에 따르면 미쓰이스미토모는 RPA 도입을 통해 연간 35만 시간에 해당하는 사무업무를 줄였다. 일본인의 연간 평균 노동시간으로 환산하면 약 200명분의 업무에 해당한다. 오카 뎃페이 과장대리는 "손보업계에는 사무작업이 많아 RPA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업무가 많다"면서 "절감한 인력을 고객업무에 투입해 서비스 향상을 추진하
[KJtimes=권찬숙 기자]TV를 시청할 수 있는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있으면 NHK와 수신료 납부계약을 맺어야 한다는 일본 법원 판결이 나왔다. 2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쿄(東京)고등재판소는 TV를 볼 수 있는 휴대전화를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수신료 납부계약 체결을 요구한 것은 부당하다며 오하시 마사노부(大橋昌信) 사이타마(埼玉) 현 아사카(朝霞) 시 의원이 제기했던 소송과 관련, 이날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다. 앞서 2016년 사이타마(埼玉) 지방재판소는 오하시 의원에게 수신료 계약 의무가 없다는 판결을 내린 바 있지만 이날 항소심에선 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일본의 방송법은 수신기를 설치한 사람에게 수신료 납부 계약을 의무화하고 있다. 소송에서는 TV 시청 기능이 있는 휴대전화를 소유한 것이 방송법상 수신기 '설치'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었다. 오하시 의원은 "설치 의미에 휴대전화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후카미 도시마사(深見敏正) 재판장은 "법률 용어가 국어(일본어)적 의미와 완전히 같다고는 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휴대전화의 의미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일본판 지상파 DMB에 해당하는 원세그(이동식 기기를 위한 일본의 지상 디지털 방송)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의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4개월 연속 상승하며 거의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일본 총무성은 2월 근원 CPI가 작년 같은 달보다 1.0% 상승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전월치 0.9%보다 높은 수준으로, 2015년 3월 2.2% 이후 2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다. 그러나 일본은행(BOJ)의 물가안정 목표 2%에 비해서는 여전히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문가 예상치(1.0%)에는 부합했다. 근원 CPI는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가격 변동이 큰 신선식품을 제외한 것이다. CPI는 작년 1월 0.1% 오르며 11개월 만에 상승 반전한 뒤 14개월째 오름세를 유지했다. 전기료와 휘발유 가격 등 에너지 관련 비용 상승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외국인 여행객 증가로 숙박료도 상승했지만 이동통신사 간 경쟁으로 휴대전화 계약 비용은 하락했다.
[KJtimes=권찬숙 기자]충북도, 청주시, 충주시는 23일 충북도청회의실에서 일본 투자기업인 호도가야화학공업, 에스에프씨, 렉쎌 등 3개 기업과 3천600만 달러 규모의 투자협약을 했다. 발광 재료를 생산하는 호도가야화학공업은 2천100만 달러를 투자해 오창과학산업단지 외국인 투자지역에 입주한 자회사인 에스에프씨의 생산시설을 증설하기로 했다. 또 호도가야화학공업은 1천500만 달러를 투자해 충주 메가폴리스 외국인 투자지역에 렉셀의 광전자 재료 생산 공장을 신설할 예정이다.
[Kjtimes=권찬숙 기자]지난 1월 일본에서 사상 최대규모의 가상화폐 해킹 도난사건이 발생한 지 두 달도 안 돼 도둑 맞은 가상화폐 전액이 이미 '세탁'이 끝나 사실상 회수가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고 NHK가 22일 보도했다. NHK는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체크가 도난당한 580억엔(약 5천843억 원) 상당의 가상화폐 NEM(뉴 이코노미 무브먼트) 코인 전액이 이미 복수의 계좌로 옮겨졌다고 전했다. NHK는 이어 이미 다른 가상화폐나 현금으로 바뀌었을 우려가 있다며 실질적으로 추적이 곤란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도난당한 NEM 코인은 익명 사이트인 '다크웹(Dark Web)'을 거쳐 일본을 비롯해 중국, 캐나다 등 전 세계의 타인 계좌로 보내진 뒤 다른 가상화폐로 교환 혹은 현금화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코인체크는 지난 1월 26일 도난 사실을 공개하며 투자자들에게 사과했다. 이 사건으로 피해를 본 투자자는 26만 명이나 된다. 사건 후 NEM 운영자 측인 NEM파운데이션은 NEM에 '태그(tag)'가 붙어 있는 만큼 이동 경로의 확인이 가능하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실제로는 추적에 어려움을 겪었고 지난 18일 이유를 알리지 않은 채 추적을 중단한다고 밝혔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법원이 2011년 후쿠시마(福島)제1원전 사고로 피난한 주민들이 전력회사에 손해배상을 청구한 소송에서 다시 주민들의 손을 들어줬다. 후쿠시마 지방재판소 이와키 지부는 22일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피난한 주민들이 "사고로 고향에서의 삶을 빼앗겼다"며 원전 운영사 도쿄전력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피난 생활을 한 주민들이 도쿄전력이나 국가에 손해배상을 청구한 소송은 모두 30건으로 이번까지 나온 7건의 판결에서 법원은 모두 원고측의 손을 들어줬다. 소송을 제기한 원고 216명은 대부분 사고 당시 피난구역으로 설정됐던 원전 30㎞ 이내 거주자나 이들의 유족이다. 이들은 도쿄전력이 정부의 지침에 따라 배상을 했지만 배상액이 충분치 않다며 '고향 상실'과 피난 생활에 따른 위자료, 피난지에서의 주거 비용 등으로 133억엔(약 1천340억원)을 지불할 것을 요구했다. 재판부는 도쿄전력이 원고들 중 213명에 대해 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시하고 원고들이 청구한 금액 중 일부인 6억1천만엔(약 61억4천만원)을 지불할 것을 명령했다. 도쿄전력은 재판에서 원전을 덮칠 만큼의 지진
[KJtimes=권찬숙 기자]재일동포 중심단체인 재일본대한민국민단(단장 여건이, 이하 민단)은 창립 70년의 역사를 집대성한 '민단 70년사'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책은 1910년 경술국치로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면서 강제징용자, 이주노동자, 유학생 등으로 시작된 재일동포사회의 유래와 친북 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와 대립을 비롯해 외국인 지문날인 거부 투쟁, 지방참정권 획득운동, 헤이트 스피치(특정 집단에 대한 공개적 차별·혐오 발언) 근절 운동 등 차별에 맞서온 역사를 상세히 밝히고 있다. 6·25 한국전쟁 시 642명의 재일학도의용군 참전, 수출 한국의 요람이 된 서울 구로공단·구미공단 투자, 신한은행 설립, 88서울올림픽 100억엔 성금 전달, 1997년 IMF 금융위기 때 10억 달러 외화 송금 등 물심양면으로 조국을 도운 역사도 기술했다. 권말에는 1945∼2017년 연표와 48개 지방본부의 연혁·현황을 담았다. 민단은 2016년 창립 70주년을 맞으면서 기념사업으로 '70년사 편찬위원회'를 구성했고 1년 6개월에 걸친 편찬작업을 거쳐 887페이지 분량의 책으로 엮어냈다. 여건이 단장은 "현지화하는 차세대를 끌어안고 1980년대 이후 건너
[KJtimes=권찬숙 기자]중국이 지난해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특허협력조약(PCT)을 통해 국제특허를 출원한 건수가 일본을 넘어서며 세계 2위 특허출원 국가가 됐다. 미국은 40여 년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지만 3년 이내에 연간 국제특허 출원 건수에서 중국에 1위 자리를 넘겨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지난해 중국은 전년 대비 13.4% 증가한 4만8천882건의 국제특허를 출원해 일본 4만8천208건(전년 대비 6.6% 증가)을 앞질렀다. 전체 회원국의 특허출원은 24만3천500건으로 전년보다 4.5% 증가했다. WIPO가 집계하는 연간 국제특허 출원 건수에서 중국이 일본을 앞선 것은 처음이다. 중국은 지난해 WIPO 회원국 중 유일하게 출원 특허 건수에서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은 1만5천763건(1.3% 증가)으로 4위 독일에 이어 5위 자리를 유지했다. 개별기업 중에는 화웨이(4천24건), ZTE(2,965건) 등 중국 기업이 전년과 마찬가지로 1, 2위를 차지했고 인텔(2천637건), 미쓰비시(2천521건), 퀄컴(2천163건)이 뒤를 이었다. 한국 기업 중에는 LG전자가 1천945건으로 6위, 삼성전자가 1천757건으로 8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