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한국전력[015760]의 올해 1분기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5일 키움증권은 한국전력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만6000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5.0% 준 1조2036억원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전년 같은 기간과 유사한 수준으로 2016년 말 이후 지속된 분기당 1조원 이상의 감익 추이는 크게 완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구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수준의 에너지 가격과 전력 예비율, 환율이 유지될 경우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2조5000억원 안팎으로 작년 대비 큰 폭의 개선이 기대된다”며 “8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언급된 ‘경부하 요금조정’은 하계 전력소비 성수기 이전에 진행될 가능성이 커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되는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한국전력은 지난 9일 최근 천안시와 장재∼천안 기설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 업무협약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중화 사업은 남부대로 청당 육교에서 우리병원 사이 가공송전선로 400m 구간 154㎸ 고압선을 땅 아래 묻는 작업으로 공사 기간은 30개월 정도 걸린다. 한전에 따르면
[KJtimes=김승훈 기자]금호석유[011780]와 메디톡스[08690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진다. 15일 삼성증권은 금호석유의 목표주가를 11만원에서 13만원으로 상향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작년 4분기에 ‘깜짝 실적’을 올렸을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이 종목의 가는 작년 11월 이후 50% 가까이 상승했다. 삼성증권은 금호석유의 4분기 영업이익의 경우 731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6.6% 증가해 시장 전망치를 12.7% 웃돌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페놀유도체의 수익성 증가와 전력시장거래가격(SMP) 상승으로 에너지 부문 증익이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SK증권은 메디톡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종전처럼 ‘매수’로 제시하고 목표주가는 53만원에서 67만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의 수출이 작년 4분기 회복세를 보였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SK증권은 메디톡스의 작년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493억원과 263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23.3%, 19.1% 늘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조현렬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환경 규제로 가동이 중단됐던 시노펙 치루(Sinopec Qilu)사
[KJtimes=김승훈 기자]LG유플러스[032640]와 롯데푸드[00227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KB증권은 LG유플러스에 대해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종전처럼 ‘매수’와 1만9000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작년 4분기에 경쟁사들보다 견조한 실적을 올렸을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LG유플러스의 4분기 영업이익은 2073억원으로 시장기대치인 1981억원을 소폭 웃돈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1분기 영업이익을 작년 같은 기간보다 6.1% 증가한 2153억원으로 전망했다. 같은 날, IBK투자증권은 롯데푸드의 목표주가를 종전대로 75만원으로 제시하면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실적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IBK투자증권은 롯데푸드의 작년 4분기 매출액의 경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9% 증가한 4197억원, 영업손익은 8억원 손실로 추산한다며 매출액은 컨센서스에 부합하나 영업이익은 기대치를 밑돌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준섭 KB증권 연구원은 “25% 요금할인에도 신규 가입자와 가입
[KJtimes=김승훈 기자]엔씨소프트[036570]와 KT&G[03378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0일 유진투자증권은 엔씨소프트에 대해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63만원을 종전대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도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유진투자증권은 엔씨소프트의 작년 4분기 매출액이 5285억원, 영업이익이 1937억원으로 전년도 같은 분기보다 각각 85.7%, 90.4%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올해 연간 매출액은 2조2400억원, 영업이익은 9501억원으로 작년보다 각각 27.9%, 42.4% 증가할 거라고 추산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KT&G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5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이 여전히 동종 업체보다 매력적인 수준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정호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작년에는 엔씨소프트가 리니지M을 통해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에 첫발을 내디딘 한 해였다”며 “올해는 모바일게임 시장에서 영향력을 본격적으로 확대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 연구원은 “블레이드앤소울2, 아이온 템페스트,
[KJtimes=김승훈 기자]미래에셋생명[085620]이 금융그룹에 대한 정부의 통합 감독시스템 도입 추진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KB증권은 미래에셋생명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목표주가를 7500원에서 6500원으로 내렸다. 다만 주가 회복을 제한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며 투자의견은 종전처럼 ‘매수’로 제시했다. 이남석·유승창 KB증권 연구원은 “대주주의 지분 변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부정적으로 작용하면서 미래에셋생명의 주가가 최근 한 달간 6.7% 하락했다”며 “그 배경으로 정부의 금융그룹에 대한 통합감독 시스템 추진을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연구원은 “감독 기준 강화가 미래에셋생명의 펀더멘털(기초여건)과 영업 전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다만 이 시스템의 도입 과정에서 간헐적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은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미래에셋생명은 오는 3월 통합 미래에셋생명을 출범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12월 21일 금융위원회가 PCA생명 합병을 최종 승인한 것에 따른 것이다. 작년 11월 미래에셋생
▲부사장 승진 철강사업본부장 정탁 철강생산본부 포항제철소장 오형수 ▲전무 승진 철강생산본부 프로젝트 선재제어냉각PJT팀장 박용규 정도경영실장 노민용 경영지원본부 원료2실장 정규진 CSP(브라질) 김동호 철강생산본부 포항제철소 FINEX상용화추진반장 이상호 경영지원본부 HR혁신실장 양원준 철강생산본부 포항제철소 STS담당부소장, POSTRIP기술개발 추진반장 겸임 이은석 기술투자본부 기술연구원 프로젝트 HiFAME연구PJT팀장 김선구 철강생산본부 철강생산전략실장 이시우 철강사업본부 철강사업전략실장 김광수 가치경영센터 해외사업관리실장 임승규 철강사업본부 철강솔루션마케팅실장 주세돈 철강사업본부 스테인리스마케팅실장 배재탁 기술투자본부 정보기획실장 정덕균 POSCO-Maharashtra 법인장 방길호 ▲상무 신규 선임 안윤기 이유경 송용삼 이희근 안근식 배철민 한형철 김진호 남재복 홍삼영 이상호 김상균 서인식 이백희 정범수 이주협 윤훈 엄기천
▲부장 신규선임 글로벌트레이딩센터 김승현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기[009150]와 넷마블게임즈[25127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9일 현대차투자증권은 삼성전기에 대한 목표주가 13만3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 깜짝 실적을 낼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현대차투자증권은 삼성전기의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경우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가격 상승과 갤럭시 S9 신제품 효과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같은 날, 키움증권은 넷마블게임즈에 투자의견을 대한 ‘시장수익률 상회’에서 ‘매수’로 올리고 목표주가 21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상반기 실적 개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키움증권은 넷마블게임즈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보다 4.1% 감소한 1072억원으로 시장기대치를 밑돌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주요 매출원인 ‘리니지2: 레볼루션’의 매출이 해외지역을 포함해 감소 추세에 있고 11월 북미·유럽 진출성과도 기대에 크게 못 미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근창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갤럭시 S9 전체 출하량의 5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KJtimes=김승훈 기자]LG전자[066570]에 대해 작년 4분기 매출 증가에 주목하라는 분석이 나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신증권은 LG전자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2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작년 4분기 매출이 증가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LG전자의 4분기 연결기준 잠정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8% 늘어난 16조9700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다”며 “환율 하락과 마케팅 비용 등으로 수익성은 하락했지만 홈엔터테인먼트(HE)와 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H&A) 부문이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올해 1분기 HE(TV)와 H&A(가전) 부문의 고수익성, 모바일커뮤니케이션스(MC) 부문의 적자 감소로 호실적을 거둘 것”이라면서 “올해 전장사업 경쟁력 강화 차원으로 다양한 전략적인 제휴와 인수합병 가능성도 커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을 올린다”고 밝혔다. 이날 삼성증권은 LG전자의 목표주가를 11만원에서 12만5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의 단기 이익 조정에도 성장 전략과 방향성에 대한 재평가 기대가 높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전날 L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자[005930]의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이 15조5000억원에 달할 것으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유안타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80만원은 유지했다. 유안타증권은 삼성전자의 지난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경우 66조원과 15조5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6%, 7% 각각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각각 24%, 69% 증가한 수치다. 이재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4분기에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은 메모리 가격 상승 모멘텀과 신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Flexible OLED) 공급과 같은 긍정적인 요인과 환율 환경과 같은 부정적인 요인이 상존했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이는 사상최대 실적 경신에 따른 특별성과급도 반영된 수치”라고 설명하면서 “사업부별 영업이익 추정치는 반도체 10조3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7000억원, 인터넷모바일(IM) 2조9000억원, 소비자가전(CE) 5000억원 등”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는 디자인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잘 활용하는 25대 글로벌 기업 리스트에 이름을 올려 눈
[KJtimes=김승훈 기자]LS산전[010120]과 대웅제약[06962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8일 삼성증권은 LS산전의 목표주가를 7만6000원에서 8만6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삼성증권은 LS산전의 경우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계획의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이고 증설 물량의 대부분이 태양광인 만큼 관련 수주도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산업용 전기요금 현실화에 따른 기업형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발주가 기대돼 융합사업 매출 증가가 예상 대비 빠른 손익분기점 도달로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대웅제약의 목표주가를 15만원에서 19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종전처럼 ‘매수’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나보타’의 미국 진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NH투자증권은 올해 2분기 나보타의 미국 허가가 기대되는데 하반기에는 나보타의 미국 출시에 따른 실적 성장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작년 4분기 개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6.2% 증가한 2263억원, 영
[KJtimes=김승훈 기자]LG디스플레이[034220]와 미래에셋대우[006800]에 대해 증권사가 부정적 전망을 내놓으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5일 NH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를 4만원에서 3만5500원으로 내리는 한편 투자의견 ‘매수’는 종전대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향후 실적시즌에 대한 부담감이 가중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작년 4분기 실적으로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 감소한 6조8000억원, 영업이익은 74% 감소한 2360억원으로 추정되며 LCD(액정표시장치) 스마트폰 패널 출하량이 줄고 중소형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감가상각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대형OLED의 경우 시장 지위 강화 신호가 계속 확인되고 있고 중소형OLED는 북미 고객사의 최종 주문 흐름이 확인되며 성장 기대치가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미래에셋대우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시장수익률’로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만3000원에서 1만1500원으로 내렸다. 이는 이회사의 대규모 유상증자가 자기자본이익률(ROE) 제고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KJtimes=김승훈 기자]녹십자[006280]가 혈액제제인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IVIG-SN) 미국 품목허가 모멘텀으로 양호한 주가 흐름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KB증권은 녹십자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목표주가를 23만원에서 25만원으로 올렸다. 아울러 투자의견은 종전처럼 ‘매수’로 제시했다. 서근희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내에 IVIG-SN에 대한 미국 품목허가 신청 및 승인이 기대되며 연내 캐나다 혈액제제 공장도 완공될 예정”이라며 “녹십자의 연결 기준 올해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은 1조4099억원과 1104억원으로 작년보다 각각 9.7%, 13.8%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 연구원은 “작년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3241억원과 68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각각 5.4%, 38.7% 하회할 것”이라면서 “최근 주가 하락의 배경으로 4분기 실적에 대한 우려를 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일 녹십자홀딩스는 경기 용인 본사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회사 명칭을 ‘GC’로 변경했다고 공식 선포했다. GC는 기존 녹십자(Green Cross)의 영문 이니셜을 조합한 것. ‘위대한 헌신과 도전을 통해 위대한
[KJtimes=김승훈 기자]CJ제일제당[097950]과 포스코(POSCO[005490]), SK하이닉스[000660] 등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4일 키움증권은 CJ제일제당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0만원을 각각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4분기 영업이익이 시장기대치를 충족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키움증권은 4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한 2080억원, CJ대한통운을 제외하면 43% 늘어난 1476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며 생물자원의 시황 회복이 다소 더딘 것은 아쉬운 부분이지만 식품과 바이오 부문의 실적 호조 덕분에 시장기대치를 충족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포스코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3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작년 4분기에도 기대에 부합하는 실적을 거두는 등 호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한다. NH투자증권은 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한 15조5753억원, 영업이익은 166.5% 증가한 1조2572억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컨센서스(시장기대치)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KB증권은
[KJtimes=김승훈 기자]효성[004800]과 LG전자[06657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했다. 이에 따라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4일 키움증권은 효성의 목표주가를 20만원에서 21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회사분할 결정으로 영업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효성은 전날 지주회사와 효성티앤씨(섬유·무역), 효성중공업(중공업·건설), 효성첨단소재(산업자재), 효성화학(화학) 등 신설 4개 사업회사로 인적분할하는 방안을 결의했다. 키움증권은 신설되는 회사에는 오너 일가의 이사선임을 전적으로 배제해 투명경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됐으며 신설사가 이번 분할로 독립경영체제가 구축되면서 기업과 주주가치가 제고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날, 현대차투자증권은 LG전자의 목표주가를 11만원에서 12만6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계절적인 성수기에 진입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현대차투자증권은 LG전자가 최근 3가지 이유로 시장 수익률을 상회했는데 일단 메모리 반도체 정점 이슈에서 자유로우며 오히려 메모리 가격이 하락하면 스마트폰 적자 폭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동욱 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