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견재수 기자] 현대ㆍ기아차의 하이브리드 차량이 나란히 ‘저탄소제품 인증’을 획득하며, 뛰어난 친환경성을 인정받았다. 현대ㆍ기아차는 국내 최초 자동차 부문에서 현대차 쏘나타 하이브리드, 기아차 K5 하이브리드가 환경부로부터 ‘저탄소제품 인증’을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저탄소제품 인증’은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여 제품의 생산ㆍ사용ㆍ폐기 등 전 과정에서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해 ‘탄소배출량 인증’을 받은 제품 가운데,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통해 최소탄소배출량 기준을 만족하고, 기존 제품 대비 4.24% 이상 탄소배출량을 감축시킨 제품에만 주어지는 친환경 인증이다. 이번에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K5 하이브리드가 저탄소제품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현대·기아차는 차량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산출ㆍ관리하는 시스템과 친환경 녹색경영을 또 한번 인정받게 되었다. 현대차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기아차 K5 하이브리드는 제품의 생산ㆍ사용ㆍ폐기 등 전과정에서 각각 약 18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평가되어 최소탄소배출량 기준을 만족했고, 기존의 가솔린 차량(수동변속기 사양) 대비 약 28%의 탄소배출량을…
세계 탄소섬유시장 1위인 일본 도레이는 17일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이 탄소섬유를 차세대 성장분야로 육성 중이지만 그 기술수준은 아직 멀었다"고 밝혔다. 도레이의 한국법인인 도레이첨단소재 이영관 사장은 "한국 몇몇 회사가 정부의 도움을 받아 탄소섬유를 개발중인데 아직 초기단계 기술로 파악된다"며 "도레이의 기술을 따라잡으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도레이 본사의 닛카쿠 아키히로 사장도 "도레이도 탄소섬유를 40년 전부터 시작했지만 제대로 이익이 나기 시작한 것은 10년도 채 되지 않는다"며 "우리가 판단하기론 (한국이) 아직 멀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도레이의 탄소섬유 담당 고이즈미 신이치 부사장은 "최근 도레이는 나노(nano) 레벨까지 탄소섬유의 결함을 통제할 수 있다"며 "이는 과거 생산기술이 축적된 것으로 한꺼번에 이를 따라잡는 것은 어렵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도레이첨단소재는 올해 660억원을 투자해 경북 구미에 연 2천200t 규모의 탄소섬유 생산공장을 착공, 2013년 1월 상업 생산할 계획이다. 이 공장에서 만든 탄소섬유는 한국과 중국시장에 공급할 예정으로 도레이가 일본이 아닌 아시아 국가에서 탄소섬유 생산 기지를 세우는 것은 한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