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6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은 유한양행[000100]과 한미약품[128940], 웹젠[06908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NH투자증권은 유한양행의 목표주가를 30만원으로 올리고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자회사인 유한킴벌리의 이익 성장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NH투자증권은 유한양행의 올해 1분기 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410억원과 15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5.9%, 15.3% 증가했다며 올해 1분기 지분법 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4% 늘어난 162억원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이승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분법 이익 증가는 유한양행이 지분 30%를 가진 자회사 유한킴벌리가 올해 1분기에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기 때문”이라며 “이 회사는 1분기에 각각 3897억원과 602억원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5%, 39.7% 늘어난 것으로 유한킴벌리의 1분기 순이익도 487억원으로 27.5% 증가했다”면서 “프리미엄 기저귀의 내수·수출 호조와 6년 만의 신임 대표이사 취임, 미래전략실 신설,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4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SK네트웍스[001740]와 네이버[035420], 삼성SDS[01826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교보증권은 SK네트웍스의 투자의견을 ‘적극매수’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는 1만1000원에서 1만원으로 내렸다. 1분기 실적이 부진했다는 게 그 이유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SK네트웍스의 성장 방향성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진단했다. 서영화 교보증권 연구원은 “정보통신부문이 휴대전화 출고가 인하 여파와 팬택 단말기 재고보상 관련 일회성 비용 90억원 반영으로 부진했고 워커힐 면세점 확장 공사에 따른 성수기 연회장 사업 중단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서 연구원은 “워커힐 면세점은 1분기에 영업면적이 축소됐음에도 매출액이 증가해 리노베이션 이후에 대한 기대를 할 수 있게 했다”면서 “렌터카 부문도 중고차 매각 대수의 일시적 감소에도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유안타증권은 네이버의 목표주가를 기존 100만원에서 90만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메신저 서비스 라인(LINE)의 수익성이 아직 부진하다는 이유에서다. 유안타증권은 주식보상비용과 라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30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선 두산[000150]이 눈에 띈다. 이날 NH투자증권은 두산의 목표주가를 16만1000원에서 17만7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자회사의 가치 상승과 자체 사업의 호조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NH투자증권은 두산의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조6000억원과 186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3%와 22% 감소했으며 실적 부진은 두산중공업의 고마진 사업과 두산인프라코어의 구조조정 비용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의 자체사업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와 6% 늘어난 5134억원과 849억원으로 추정치를 웃돌았다”며 “두산타워 특별배당수입 100억원을 고려하면 자체 사업의 1분기 영업이익은 21% 개선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올해 자체사업의 영업이익은 35% 성장한 1524억원으로 4년간 감소세에서 벗어나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라면서 “두산중공업과 오리콤, 한국항공우주 등 상장 자회사와 보유자산의 가치가 상승한 것도 긍정적”이라고 판단했다. 두산중공업[0340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29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들로는 효성[004800]과 현대중공업[009540], 실리콘웍스[108320], 현대미포조선[01062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대신증권은 29일 효성의 목표주가를 기존 12만원에서 16만원으로 33.3% 올렸다. 이는 올해 1분기에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올해 연간 이익도 역대 최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효성의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 증가한 2222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신증권은 효성의 2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9% 증가한 2200억원, 올해 연간 영업이익은 사상 최대인 8667억원으로 각각 전망했다. 윤재성 대신증권 연구원은 “효성의 1분기 섬유 부문은 조업일수 감소에도 전분기와 비슷한 이익을 올렸고 산업자재와 중공업 부문의 실적이 개선됐으며 2분기에도 견조한 실적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스판덱스 판매 호조와 폴리케톤의 성장성, 산업자재와 중공업 부문의 실적 개선으로 기업가치 재평가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유진투자증권도 분기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을 발표한 효성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29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선 GS홈쇼핑[028150]이 눈에 띈다. 이날 HMC투자증권은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종전 30만7000원에서 28만3000원으로 내렸다. 또 올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도 종전 1400억원에서 1290억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모바일 쇼핑 부문의 공격적인 영업에 따른 비용 증가로 올해도 영업이익의 감소는 불가피해 보인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박종렬 HMC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1분기 매출액은 276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1.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95억원으로 22.1% 줄었다”며 “모바일 부문 성장에 따른 외형 확대에도 판관비 부담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망치를 밑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LG유플러스[032640]의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종전 1만5500원에서 1만4000원으로 하향 조정하면서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그 이유로 올해 1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밑돌았다는 점을 꼽았다. LG유플러스는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54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7% 증가했고 매출액은 2조5560억원으로…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27일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종목들은 롯데쇼핑[023530]과 기아차[00027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롯데쇼핑에 대한 목표주가를 종전 42만원에서 33만원으로 낮췄다. 이는 롯데쇼핑의 국내 부문은 롯데하이마트를 제외하고 뚜렷한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며 해외 할인점의 적자 규모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롯데쇼핑의 1분기 연결 매출액은 6조9805억원, 영업이익은 2838억원으로 각각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린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롯데하이마트는 생활가전 및 백색가전의 성장률이 양호해 1분기 실적 턴어라운드가 예상되는 반면 백화점 부문은 할인 행사에도 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기저효과에 따른 부담감 완화로 실적 개선 기대감은 유효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교보증권은 기아차에 대해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 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6만7000원으로 기존보다 9.5% 내린다고 밝혔다. 기아차의 1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감소한 11조20
[KJtimes=김바름 기자]현대차[005380]가 증권가에서 훈풍을 맞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청신호가 켜진 까닭이다. 이 같은 분위기는 증권사들이 24일 현대차가 올해 1분기에 저조한 실적을 냈으나 올해 하반기부터 서서히 개선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전문가들 사이에선 현대차의 실적 부진 추세는 유로화 약세와 판매 성과보수 증가로 올해 2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신형 투싼의 5월 미국 진출을 계기로 현대차가 올해 하반기부터 실적 회복을 노려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차에 대한 청신호는 증권사들의 평가에서도 엿볼 수 있다. 이날 증권사들은 현대차 주가가 최근 하락해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매력이 높아졌다며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삼성증권(목표주가 23만원)과 하나대투증권(22만원), NH농협증권(20만원), HMC투자증권(26만5000원) 등 증권사들이 현대차에 대해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를 유지했다. 한국투자증권은 현대차의 목표주가를 20만원에서 22만원으로 올렸다. 이명훈 HMC투자증권은 연구원은 “현대차의 1분기 실적은 여러 악조건 속에서 선방한 결과”라며 “2분기부터 이익 감소 폭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23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들로는 SKC[011790]와 롯데푸드[00227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하나대투증권은 SKC의 목표주가를 3만6000원에서 5만원으로 높였다.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예컨대 이 회사의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3.7% 오른 614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으며 2분기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보다 31.4% 오른 623억원으로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이한얼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화학 부문, 필름 부문, 자회사 등 전 부문의 이익이 개선되는 가운데 차입금 감소 및 사업구조 강화, 에스케이텔레시스 구조 조정을 통한 반도체 소재 부문 의 역량 강화가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SKC에 목표주가 상향조정에는 메리츠종금증권도 가세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SKC]의 목표주가를 기존 5만원에서 5만5000원으로 10% 높이고 그 이유로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돌았다는 점을 꼽았다. 그러면서 올해 연간 실적도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황유식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화학부문 영업이익이 408억원으로 실적 개선을 주도했다”며 “필름사업은 계절적 비수기로 부진했으나 3월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22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은 OCI머티리얼즈[036490]와 한샘[009240], 다날[06426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메리츠종금증권은 OCI머티리얼즈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12만원에서 15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1분기 실적이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박유악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OCI머티리얼즈의 올해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301% 증가한 1063억원으로 기대치를 웃돌 것”이라며 “실적 전망치를 반영해 목표주가를 올리고 업종 최선호주로 매수를 추천한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1분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증가한 752억원, 영업이익은 1896% 증가한 217억원으로 예상치를 크게 웃돌 것”이라면서 “2~3분기에 반도체와 LCD 패널 공정에 사용되는 가스인 삼불화질소(NF3)의 가격 상승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NF3 가격의 추가 상승 가능성에 투자포인트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같은날, 미래에셋증권은 한샘[009240]의 목표주가를 19만원에서 23만원으로 높였다. 건축자재 시장 진출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게 그 이유다. 미래에셋증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21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 우선 하나투어[039130]가 눈에 띈다. 이날 삼성증권은 하나투어에 대한 목표주가를 종전 14만원에서 16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그 이유로 하나투어의 중국인 한국 비자 발급 업무 대행, 자회사인 에스엠이즈듀티프리에 대한 지분 확대 등을 꼽았다. 양일우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비자 발급 대행으로 중국 정부 및 기업과 협력할 여건을 마련하고 자회사에 대한 지분 확대를 통해 면세사업의 불확실성을 줄여나간 점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코라오홀딩스[900140]의 목표주가도 올랐다. 같은 날 교보증권은 코라오홀딩스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적극 매수’로 상향조정하는 한편 목표주가는 기존 2만8000원에서 3만4000원으로 높였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30% 증가한 4919억원, 영업이익은 45% 증가한 571억원으로 예상했다. 김동하 교보증권 연구원은 “라오스 내수가 회복되는 등 지난해 부진 요인이 해소됨에 따라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베트남과 파키스탄 등 해외 지역 추가 진출로 중장기…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20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LG화학[051910]과 아모레퍼시픽[090430] 등이 주인공이다. 이날 KTB증권은 LG화학의 목표주가를 기존 23만원에서 29만5000원으로 28.2%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이 회사의 경우 1분기 매출액이 4조9000억원, 영업이익이 3618억원을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는 것이다. KTB증권은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LG 화학의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4% 감소했지만 원가 인하 효과로 영업이익률이 개선됐다고 분석하면서 석유화학 부문의 높은 경쟁력과 수익성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고 평가했다. 이충재 KTB증권 연구원은 “2차 전지의 수익성 개선이 더딘 상황이어서 향후 세계 전기차(EV) 시장의 변화가 확인될 때 다시 가치평가가 높아질 것”이라면서 “2분기 유가 인상 효과로 매출이 상승할 것이며 매출액이 5조3000억원, 영업이익이 4825억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같은 날 하나대투증권도 LG화학의 목표주가를 25만원에서 31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 회사가 양호한 1분기 실적을 내놓은 데 이어 2분기에도 실적 개
[KJtimes=김바름 기자]주식투자를 할 때 항선 돌파한 삼고초려 종목 주목해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NH투자증권은 이런 종목에 주목할 것을 권고하면서 그 이유로 세 차례의 저항선 돌파 시도 끝에 신고가 기록을 세운 ‘삼고초려(三顧草廬)’ 종목들의 수익률이 우수하다는 점을 꼽았다. NH투자증권은 시뮬레이션 결과 최근 6개월간 두 차례 이상 저항선 돌파에 실패한 경험이 있으면서 이후에 고가를 새롭게 넘어서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의 수익률이 같은 기간 전체 신고가 경신 종목들의 평균 수익률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하재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평균 바스켓 종목은 5.4개로 전체 신고가 경신 종목의 바스켓 구성 종목의 9분의 1 수준”이라며 “전체 52주 신고가 종목군보다 삼고초려 종목군은 확률이 좀 더 높은 고점 돌파 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지난 달 말 기준으로 세 번째 저항선 돌파 시도에 성공한 종목들로는 삼성전기[009150]와 미래에셋증권[037620], 쌍용양회[003410], AK홀딩스[006840], 한일시멘트[003300], 코스맥스[192820], 고려제강[002240] 등이 선정됐다.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가에 ‘바이오·헬스케어 새내기株’ 돌풍이 불고 있다. 이들 관련주는 코스닥시장을 견인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이들 새내기주에 대한 관심을 높이면서 그 추세를 분석하고 있는 분위기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바이오·헬스케어 새내기주들의 활약상이 돋보인다. 지난해 4분기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바이오·헬스케어주 8개 종목의 주가(16일 종가 기준)가 공모가 대비 평균 186.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의약품과 의료정밀 업종의 주가지수가 지난해 말부터 지난 16일까지 각각 46.1%, 12.7% 오른 것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이들 기업의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도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오·헬스케어 업종의 강세가 세계적인 현상인데다 정부 정책까지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그 이유다. 원상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기업공개(IPO) 시장에선 과거보다 미래 성장성을 보고 베팅을 하기 때문에 바이오·헬스케어 섹터의 인기가 가장 높다”며 “해당 섹터에서 첫선을 보이는 새내기주의 성적이 좋을 수밖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15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031430]과 대한유화[006650], 한국단자[025540] 등이 주인공이다. 이날 신영증권은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빠른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면서 목표 주가를 종전 13만원에서 14만원으로 올렸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신세계인터내셔날의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각각 18.6%, 12.6% 증가한 2430억원과 53억원을 기록하면서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 사업부와 라이프스타일 부문 매출 호조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메리츠종금증권은 대한유화의 목표주가를 기존 15만원에서 25만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을 ‘강력 매수(Strong Buy)’로 유지했다. 아울러 이 회사의 올해 매출액은 1조7791억원, 영업이익은 1618억원으로 예상했다. 또 주당순이익(EPS)은 역대 최대치인 2009년의 1만4736원보다 39% 높은 2만497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황유식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 증가한 320억원으로 시장 예상치를…
[KJtimes=김바름 기자]증권사들이 13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한 종목은 한화[000880]와 삼성전기[009150], 대한항공[003490] 등으로 나타났다. 이날 하이투자증권은 한화의 목표주가를 기존 4만원에서 5만원으로 25%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또 올해 방산사업 매출도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한화의 올해 영업이익이 전년도보다 108.6% 증가한 1조760억원, 매출액은 2.6% 증가한 38조4270억원을 기록해 실적 턴어라운드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한화건설의 경우 일부 해외사업장에서 공기가 연장됨에 따른 원가 상승 및 충당금 반영으로 인해 대규모 손실 등이 발생했다”며 “올해는 관련 해외 플랜트 프로젝트가 각각 6월과 12월 준공을 앞두고 있어 리스크 요인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천무 다연장 로켓 체계가 올해부터 군에 배치될 전망”이라면서 “천무와 관련된 매출이 신규 발생해 해를 거듭할수록 방산사업의 매출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기계부문에서 구조조정이 일단락되고 항공 분야의 성장성 등으로 향후 실적개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