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인 여성 관광객 1명이 ‘나홀로’ 한국을 방문했다가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여성에 대해 이틀째 수색을 벌이고 있지만 아직 소재 파악을 못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4일 부산해경에 따르면 지난 3일 오후 12시 40분께 부산시 해운대구 중동 미포항 방파제에서 일본인 A씨(43·여)의 여권이 든 가방이 발견됐다. 인근에 사는 주민은 오전에 있던 가방이 오후에도 그대로 있었다며 해경 출장소에 찾아가 신고했다. 신고를 받은 해경은 이 여성이 실종된 것으로 추정하고 방파제 주변 등을 수색하고 있다. 이 여성은 지난 1일 혼자 김해공항으로 입국해 부산진구 서면의 한 숙소에 머문 것으로 확인됐다.
[KJtimes=김현수 기자]최근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국 대신 일본을 많이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같은 기간 대비 24∼25% 증가했다.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이유로는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에 따른 중국 정부의 경제보복이 꼽힌다. 4일 관광업계에 따르면 아웃바운드 여행업계 1위인 하나투어의 8월 일본으로의 여행객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5.1% 늘어났다. 잠재적인 중국 관광수요가 일본으로 몰린 것으로 하나투어는 분석했다. 특히 8월 해외여행객의 목적지별 비중을 보면 일본이 39.8%로 가장 높았다. 반면 중국 패키지여행상품 송출객은 36.7% 감소했다. 올해 1분기와 지난해 중국 송출객 증가율이 각각 11.8%와 11.3%였던 점을 고려하면 중국 관광 상품 판매가 저조해진 것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15일부터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의 하나로 방한 단체관광상품 판매 전면 금지 조치를 시행했다. 업계 2위 업체인 모두투어도 비슷한 모습이다. 8월 일본 단체관광 패키지 송출객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4.0% 증가했다. 반면 중국 단체관광 패키지 송출객은 1만9415명으로 작년 대비 30.9% 감소했다. 지역별 비중은 일본이
[KJtimes=김현수 기자]작가 하야시 에이다이(83)씨가 지병인 폐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일본 후쿠오카(福岡) 지역을 거점으로 일제 강점기 조선인들의 강제연행 문제를 파헤쳐 온 인물이다. 1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후쿠오카 사이도쇼(採銅所) 출신인 그는 1955년 와세다(早稻田)대를 중퇴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치쿠호(筑豊) 지역에서 탄광 노동자로 일했으며 이후 가와라마치(香春町)를 거쳐 도바타(戶畑)시 직원으로 일했다. 도바타시에서 사회교육을 담당하면서 기타큐슈(北九州)공업지대의 공해 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푸른 하늘이 좋다’는 구호를 내걸고 시민운동도 전개하면서 일본의 공해추방 운동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했다. 그가 기록작가의 길을 걸은 것은 지난 1970년에 퇴직한 뒤부터다.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등 조선인의 강제동원의 한이 서린 현장을 여러 차례 방문해 관련자 증언을 청취하고 자료도 수집하는 등 일제 강점기의 강제동원 문제에 천착했다. 이를 토대로 1990년 <청산되지 않은 쇼와(昭和)-조선인 강제연행 기록>, 2010년 <치쿠호·군함도-조선인 강제연행, 그 후> 등의 기록물도 발표했다. 또 1995년에는 사설
[KJtimes=김현수 기자]배우 송재림이 일본 팬들과 1박2일을 보내는 자리가 마련됐다. 1일 송재림 소속사인 SM C&C에 따르면 일본 시즈오카현의 온천 관광지에서 2일부터 1박2일 팬미팅을 개최한다. 현재 송재림은 지난 4월 ‘우리 갑순이’를 끝내고 차기작을 물색하고 있는 중이다. SM C&C는 지난 2015년 처음으로 1박2일 캠프 형식 팬미팅을 개최했던 송재림은 짧은 시간 진행되는 팬미팅 대신 더욱 친밀하게 소통하고 추억을 만들 수 있는 캠프 팬미팅 매력에 매료되어 지속적으로 1박2일 팬미팅을 이어오고 있다고 밝혔다.
[KJtimes=김현수 기자]리소나은행과 스미신(住信)SBI인터넷은행, 쓰루가은행 등 일본의 3개 은행이 가상통화 기반기술인 블록 체인기술을 응용한 송금서비스를 가을부터 시작한다. 이들 은행 고객들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가을부터 송금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NHK가 7일 전했다. 이 서비스는 인터넷상의 가상통화에 이용되는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송금수수료가 저렴하고 휴일이나 야간을 포함, 언제든 즉시 송금할 수 있다. 또 상대의 계좌번호 대신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해 송금할 수 있으며 음식점 등에서 돈을 나눠 낼 때도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QR코드를 읽어 들여 송금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이들 3개 은행 외에 일본의 대형 시중은행을 포함한 61개 금융기관이 공동개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이 서비스를 도입하는 금융기관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장차 해외송금서비스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도리이 다카유키(鳥居高行) 리소나은행 상무는 "IT(정보기술) 기업이 금융 분야에 진출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기관도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더 편리하고 안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