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서민규 기자] 현대차와 기아차의 하락세가 이어졌다. 엔화 약세에 따른 것. 18일 유가증권시장 오전장에서 현대차는 전날보다 0.89% 내린 22만3000원에 거래됐다. 기아차는 1.01% 내린 5만8600원에 거래됐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자민당이 압승한 일본 총선 결과에 따른 엔화 약세 우려로 전날 주가가 급락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LG생활건강의 주가가 상승했다. 일본 화장품 회사 인수 소식에 힘입었다는 분석이다. 18일 유가증권시장 오전장에서 LG생활건강은 전 거래일보다 1.77% 상승한 63만2000원에 거래됐다. 전날 LG생활건강은 일본 내 화장품 사업 강화를 위해 일본 화장품 회사인 에버라이프 인수했다고 공시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18일 도쿄증시의 닛케이 평균주가는 전날보다 19.99포인트(0.20%) 상승한 9848.87, 토픽스지수는 2.07포인트(0.26%) 오른 809.91으로 개장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현대증권은 “계열사 SK건설이 멕시코 국영석유회사 페멕스(PEMEX)로부터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당했지만 SK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17일 분석했다. 전용기 연구원은 “14일 SK 주가가 급락한 것은 해외언론이 SK건설에 불리한 측면을 강조해 보도했기 때문”이라며 “SK 측이 뇌물공여 혐의를 반박하며 대응에 나섰다”고 말했다. 전 연구원은 “SK건설과 지멘스가 만든 컨소시엄이 1997년 페멕스 공사를 수주하고서 아직도 공사비 4억 달러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이들이 페멕스를 상대로 제기한 강제집행 소송 결과가 불리하게 나오자 페멕스 측이 이번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11년 동안 받지 못한 공사비 4억 달러를 회수하면 SK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증권은 SK에
[kjtimes=서민규 기자] 올해와 내년 외국인 관광객이 연 10% 이상 늘어나면서 여행주가 혜택을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7일 한국투자증권 홍종길 연구원은 “올해 외국인 여행객 입국자는 작년보다 15% 증가한 1126만 명에 달하고 내년에는 원화 강세 등에도 올해와 비교해 10%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 연구원은 “중국인의 한국 방문 목적 중 1위가 쇼핑으로, 호텔신라 면세점 매출에서 중국인 비중은 올해 3분기 38%를 차지했다”며 “또 외국인 전용 카지노 입장객도 지난 3년간 36%나 증가해 올해 시장규모가 1조254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 연구원이 제시한 여행수지 개선 수혜 종목은 호텔신라, GKL, 대한항공,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이다.
[kjtimes=서민규 기자]조선주가 상승세 날개를 접고 일제히 추락했다. 14일 유가증권시장 오전장에서 현대중공업은 전날보다 1.73% 하락한 22만8000원에 거래됐다. 현대미포조선과 대우조선해양도 각각 2.02%, 1.69% 하락했다. 이들 종목은 저가 매수세의 유입으로 이달 초부터 상승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이날 코스피 약세와 맞물려 일제히 하락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농심이 4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에 힘을 받았다. 14일 유가증권시장 오전장에서 농심은 전날보다 1.16% 오른 26만2000원에 거래됐다. 우리투자증권 한국희 연구원은 “10월 일부 제품의 안정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난달 농심의 시장 점유율이 일시적으로 떨어지긴 했다”며 “하지만 신제품 출시와 경쟁 환경의 안정화로 4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315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kjtimes=서민규 기자] 한국거래소는 14일 KT에 모로코 통신사 인수 추진 보도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했다. 또 상장사 깨끗한나라에 유상증자를 추진 중이란 언론보도에 대한 조회공시도 요구했다. 답변시한은 공히 이날 오후 6시다.
[kjtimes=서민규 기자]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착수한 동양그룹 계열사들이 이틀 연속 급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유가증권시장 오전장에서 동양은 전 거래일보다 14.86% 오른 773원에 거래됐다. 매각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진 동양네트웍스도 같은 시각 14.60% 오른 1130원에 거래되고 있다. 동양시멘트도 3125원으로 9.65% 올랐다. 이 같은 결과는 동양그룹이 핵심 계열사 매각을 통한 구조조정 작업에 나서면서 재무구조 개선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kjtimes=서민규 기자] 미국의 억만장자 워런 버핏이 ‘두 얼굴의 사나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부자들의 상속세를 올려야 한다고 주창하면서 자사의 한 주주에게 상속세를 줄이는 기회를 줬다는 것. 13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버핏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 헤서웨이는 자사의 오랜 주주로부터 그가 유산으로 남긴 자사주(클래스 A주) 9200주를 사들였다고 12일(현지시각) 밝혔다. 시가로 12억 달러(약 1조3000억 원, 주당 13만1000달러)어치다. 버크셔 헤서웨이는 이 주주의 이름은 공개하지 않았다. 버크셔 헤서웨이가 자사주를 사들인 건 6750만 달러어치를 매입한 지난해 이후 처음이다. 회사 측이 주주들에게 자사주 매입을 제안하는 것에 항상 반대했던 버핏 회장은 지난해 장부가격이 사상 최저로 떨어지자 자사주 매입 제안에 동의했다.버크셔 헤서웨이의 자사주 매입 소
[kjtimes=서민규 기자] 중국과 미국 등 해외 수요 증가 기대에 태양광株가 동반 상승했다. 13일 유가증권시장 오전장에서 OCI는 전날보다 4.42% 오른 16만5500원에 거래됐다. 오성엘에스티는 상한가에 근접한 10.22% 급등했다. 이 밖에 웅진에너지(2.49%), 에스에프씨(0.60%), SKC(0.63%)도 올랐다. 이날 NH투자증권 최지환 연구원은 “4분기 중국과 미국의 태양광 발전 설치 수요가 예상보다 증가해 재고 소진이 기대된다”며 OCI에 대해 ‘매수’와 ‘목표주가 20만원’을 제시했다.
[kjtimes=서민규 기자] 서울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12일 KDB대우증권 송흥익 연구원은 “지난해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이 11.3% 상승하고, 올해엔 매매가격이 5.2% 내리면서 전세/매매 비율이 계속 오르고 있다”며 “서울의 아파트 전세/매매 비율을 살펴보면 2008년 34.9%에서 2012년 51.5%로 16.6%p 늘었고, 이 기간 전세 가격은 평균 41.6% 급등했다”고 밝혔다. 송 연구원은 “이런 까닭에 업계 일각에서는 전세/매매 비율 상승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때가 이르다”면서 “서울 전세/매매 비율 고점은 2001년 10월 기록된 58.7%로 최근 전세/매매 비율(51.5%)보다 여전히 7.2%p가량 높다”고 말했다. 그는 “저출산과 고령화, 저성장, 30~54세 인구수 감소라는 사회의 구조적 변화로 아파트
[kjtimes=서민규 기자] 삼성전자가 4분기에도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것이라며 LIG투자증권은 12일 목표가를 190만원으로 올렸다. 기존 170만원에서 12% 상향 조정한 것. 최도연 연구원은 “4분기 매출은 54조5300억원, 영업이익은 8조7900억원으로 5분기 연속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예상한다”며 실적 호조 이유로 반도체 업황 개선, 스마트폰 판매 호조, TV 성수기 효과 등을 제시했다. 최 연구원은 “내년 매출액은 228조원, 영업이익은 36조6000억원을 예상한다”며 “현재 주가는 부담 없는 수준이며 애플과의 특허소송이 삼성전자에 유리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kjtimes=서민규 기자] 18대 대선일이 코앞이다. 이에 따라 관련 테마주들이 동반 급락세를 보여 투자자들의 ‘발 빼기’가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1일 코스닥 오전장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의 대표적 테마주인 EG는 전 거래일보다 7.17% 내린 3만6700원에 거래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도 박근혜 테마주로 분류되는 대유신소재와 대유에이텍이 각각 5.88%와 4.28% 떨어졌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의 테마주는 이들보다 더 가파르게 하락했다. 바른손은 14.36% 내린 3130원에 거래됐다. 우리들제약과 우리들생명과학은 각각 14.88%, 15.00% 급락했다. 안철수 전 대선후보와 관련된 안랩도 6.17% 내린 3만8000원에 주가가 형성됐다. 미래산업과 써니전자는 6.58%와 11.29%씩 내렸다. 증권가 일각에선 기업실적과 무관하게 주가를 떠받쳐온 ‘대선 테마’의 소멸이 임박하면서
[kjtimes=서민규 기자] 일동제약株가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녹십자의 힘으로 분석된다. 1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일동제약은 오전장에서 가격제한폭까지 오른 1만2300원에 거래됐다. 녹십자는 전일 장외 거래로 일동제약 지분을 8.28%에서 15.35%로 늘렸다고 공시했다. 이로써 녹십자는 윤원영 일동제약 회장 외 특수관계인(27.19%)에 이어 일동제약의 2대 주주로, 단일 주주로는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