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조상연 기자]저출산 고령화로 인력난이 심각한 일본에서 기업 3곳 중 1곳은 사원의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늦췄거나 늦출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월28일~3월19일 일본 주요 기업의 사장(혹은 회장)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11%가 현재 65세 이상 정년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년을 65세로 늦출 계획이 있다는 응답자도 21.9%에 달했다. 실제 일본생명보험은 2021년부터 종업원 1만5천 명의 정년을 현재 60세에서 65세로 늦출 방침이다. 시니어 사원의 경험을 젊은 직원들의 육성 등에 적극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자동차 메이커 혼다는 작년부터 4만 명을 대상으로 60세이던 정년을 65세로 늦췄고 음료·주류 회사 산토리 역시 '65세 정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의 일본 기업들은 퇴직자를 계약직이나 촉탁사원, 시간제 근로자 등으로 다시 고용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 경우 월급이 급격히 줄어들어 근로 의욕이 저하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최근의 정년 연장 경향은 기존의 정년인 60세를 넘어서도 월급 하락 폭이 크지 않은게 특징이다. 정년 65세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가상화폐시장에 이상기류가 흐르고 있다. 가상화폐 거래사업 철수가 잇따르고 있다는 게 그 이유다. 게다가 일본 감독기관인 금융청이 현장검사를 통해 경영과 내부관리 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복수의 간주사업자를 상대로 자율철수를 종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도 도태업체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29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가상화폐 교환업체 2개사가 사업에서 철수키로 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일본에서는 교환업체 3개사가 이미 금융청에 등록신청 철회서를 제출, 가상화폐 거래사업에서 철수하는 사업자는 모두 5개로 늘었다고 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이달에 업무개선명령을 받은 ‘미스터 익스체인지’와 ‘도쿄(東京) 게이트웨이’는 최근 금융청에 사업자 등록신청 철회서를 제출했다. 이에 앞서 라이무(来夢), 비트익스프레스, 비트스테이션 등 3개사도 등록신청을 철회했다. 이들 사업자는 고객이 맡긴 가상화폐와 현금 반환 등의 절차를 마치는 대로 사업을 접을 예정이다. 금융청은 등록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인 ‘간주사업자’ 전체에 대해 현장검사를 시행하고 있고 5개사는 금융청이 제시한 기준을 충족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다케다(武田) 약품공업이 아일랜드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 제약회사 샤이어(Shire)의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월 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다케다 제약은 샤이어에 인수를 제의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이날 밝혔다. 샤이어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와 같은 희귀질환 전문 제약사다. 다케다 측은 샤이어에 대한 관심이 "예비적이고 탐색적인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미국 시장의 입지 강화, 의약품 라인업의 확충을 포함해 인수를 추진할 6가지 구체적 동기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케다 측은 영국의 인수·합병(M&A) 관련법에 따라 공식으로 인수를 제의할지를 다음달 25일까지 밝히도록 돼 있다고 덧붙였다. 샤이어는 런던 증시의 상장사다. 샤이어 측은 이에 대해 다케다 측의 발표에 주목하고 있지만 실제로 인수 제의가 들어올지는 확실치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샤이어의 주가는 이날 14%가 급등했고 시가총액도 450억 달러로 상승했다. 1781년 설립된 다케다는 매출과 시가총액 기준으로 일본 최대의 제약회사로 국내 의약품 시장이 둔화됨에 따라 해외 사업 확대를 방향을 전환하면서 잇따라 외국 제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정부가 학교 교육에서의 애국심 함양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과도한 애국심을 강요하는 교과서가 검정을 통과해 논란이 되고 있다. 28일 도쿄신문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은 내년 봄학기부터 중학교에서 사용될 도덕 교과서 검정에서 신청한 8개 교과서가 모두 합격했다고 전날 밝혔다. 현재 일본의 중학교 교단에서는 '도덕의 시간'이라는 교과 외 활동으로 도덕 교육이 행해지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도덕이 '특별 교과'라는 이름의 정식 과목으로 격상된다. 문제는 이들 교과서가 일본 문화와 사회에 대한 지나친 찬사로 가득 채워진데다 전체주의적인 사고를 강요하는 내용도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자국의 단점은 숨기고 장점만 강조하며 '일본은 좋은 나라'라는 가치관을 주입하려 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시민의 공통 이익을 위해서 참을 수 있는 정신은 일본인의 가장 좋은 점'이라고 기술한 '교이쿠(敎育)출판'의 교과서다. 개인의 이익을 희생하면서 공통의 이익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전체주의적인 사고 방식이 담겼다. 출판사 '학교도서'의 도덕 교과서는 '일본의 문화는 상대에 대한 경의와 배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통이…
[KJtimes=김현수 기자]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매년 방위비를 늘리며 무장 강화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일본 참의원이 역대 최대 규모의 방위비가 편성된 2018년도 예산안을 28일 가결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참의원은 이날 밤 본회의를 열고 작년도보다 0.3% 증가한 97조7천128억엔(약 991조2천279억 원) 규모의 2018년도(2018년 4월~2019년 3월)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예산안에는 역대 최대이자 전년보다 1.3% 증가한 5조1천911억 엔(약 52조6천600억 원)의 방위비가 포함됐다. 이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따른 방위태세를 강화하고 중국의 해양진출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전체 방위비 예산으로는 6년째 증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상 배치형 요격미사일 시스템 '이지스 어쇼어'의 기본설계 비용과 전투기에 탑재하는 장거리 순항 미사일 취득비 등이 포함됐다. 이와는 별도로 고령화 심화로 인해 사회보장비는 전체 예산의 30% 이상을 차지했다. 참의원에선 아베 총리의 사학 스캔들로 최근 1주일간 정상적인 심의가 이뤄지지 못하다가 이날 오후 집권 자민당과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찬성으로 예산위원회에서 예산안을 통과시킨 뒤 본회의에 긴급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시코쿠(四國)전력이 에히메(愛媛)현의 이카타(伊方)원전 2호기를 폐로하기로 했다. 시코쿠전력이 이처럼 이카타원전 2호기를 폐로하기로 한 이유는 안전 조치를 강화하는 데 드는 비용에 비해 원전의 계속 운용에 따른 수익이 적어서 채산성이 맞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7일 도쿄신문은 이 같은 내용을 보도하면서 대부분은 이카타원전 2호기처럼 안전성을 강화하는데 드는 비용을 고려하면 채산성이 적다는 것이 폐로의 이유라고 지적했다. 이날 아사히신문은 발전 용량이 크지 않은 중형 원전이 채산성을 이유로 폐로를 결정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안전대책 비용을 고려하면 원전이 싸지 않다는 증거라고 보도했다. 도쿄신문 보도에 따르면 시코쿠원전은 이카타원전 1~3호기를 운용해 왔다. 그러나 지난 2016년 1호기에 대한 폐로 방침을 결정한 바 있고 3호기는 지난해 법원이 운전정지 가처분 결정을 받아들여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이번에 폐로가 결정된 이카타원전 2호기는 지난 1982년 운전을 시작한 원전이다. 오는 2022년이 40년째가 되며 일본에서 원전 가동 기간은 원칙적으로 40년이다. 이때 만일 원자력규제위원회가 허가할 경우 1차례에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육상자위대의 통합사령부에 해당하는 '육상총대(總隊)'가 27일 발족됐다고 교도통신과 NHK 등이 보도했다. 육상자위대는 이날 고바야시 시바루(小林茂) 육장(陸將·한국군의 중장에 해당)을 사령관으로 한 육상총대를 발족시켰다. 육상자위대에 대한 총사령부 조직이 신설된 것은 지난 1954년 창설 이후 64년만에 처음이다. 그동안 육상자위대는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가 각각 자위함대, 항공총대를 각각 사령부로 둔 것과 달리 총괄 조직을 두지 않았었다. 그 대신 일본을 북부, 동북부, 동부, 중부, 서부 등 5개 지역으로 나눠 '방면대(方面隊)'라는 조직을 두고 지역별로 관할하게 했다.' 이는 과거 제국주의 시절에 대한 반성에 따른 것이었다. 당시처럼 군부에 영향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육상자위대에 한해 총괄 조직을 두지 않았었다. 일본 정부는 앞서 지난 2004년과 2010년 중기 방위 전략인 '방위대강'에 육상총대 발족 내용을 넣으려다가 여론의 반발에 포기했다가 아베 내각에 들어와 육상총대 발족에 결국 성공했다. 육상총대 발족은 아베 정권 발족(2012년 12월) 직후 확정된 지난 2013년의 '방위력정비계획'에도 포함됐었다.
[KJtimes=권찬숙 기자]일본 정국을 달구고 있는 재무성의 문서조작이 이뤄진 지난해 2월초~4월 재무성 이재국장을 맡았던 사가와 노부히사(佐川宣壽) 전 국세청 장관은 27일 문서조작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지시나 관여가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문서조작 파문과 관련한 증인으로 출석한 자리에서 "문서조작은 재무성 이재국 안에서 이뤄졌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사가와 전 장관은 NHK를 통해 중계된 위원회 답변을 통해 "총리 관저나 관방과 논의한 것은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관저나 관방의 관여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베 총리나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 아베 총리 비서관 등의 지시가 있었느냐는 별도 질문에 "없었다"고 답했다. 사가와 전 장관이 문서조작이 재무성 이재국 안에서 이뤄졌을 뿐 아베 총리 등 윗선의 지시나 관여가 없다고 답변했지만,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모리토모(森友)학원에 대한 국유지 특혜매각 의혹과 관련해 수감된 가고이케 야스노리(籠池泰典) 전 모리토모학원 이사장은 "특혜매각과 관계가 없다"는 아베 총리의 발언이 '거짓말'이라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 신용카드 업체들이 가상통화 구입에 자사 신용카드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잇따라 도입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NHK는 일본 유력 카드회사인 JCB는 자사가 발행한 카드나 JCB 브랜드가 들어간 신용카드를 이용한 가상화폐 구입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면서 이는 지난 1월 일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체크에서 발생한 580억 엔의 가상화폐 부정 유출사고 등을 계기로 가상화폐 가치가 급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NHK 보도에 따르면 미쓰비시(三菱)UFJ니코스도 자사 카드를 이용해 가상화폐를 구입할 수 없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며 라이프카드도 가상통화 교환회사와 가맹점 계약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NHK는 보도를 통해 JCB의 경우 일본 국내 가상화폐 교환사업자와 가맹점 계약을 맺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해외에서 가상화폐 교환사업자의 가맹점 모집이나 관리를 하는 제휴업체에 대해서도 계약을 하지 말도록 요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일본 은행들이 가상화폐 규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례로 미즈호은행은 2014년 마운트곡스 파산 때 예금계좌 해약을 요구하는 등 대응을 강화했다. 또 대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이 중국의 광역 경제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계획에 관여하면서 중국과 경제협력을 모색할 수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5일 보도했다. 일본이 무역 관계 등에서 전통적 우방인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성에 직면하자 중국과의 긴장된 관계 개선을 위해 일대일로 구상에 협력하는 등 화해의 태도를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유권 갈등, 과거사 문제,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현안 등으로 경색된 양국관계를 고려할 때 이런 전망이 얼마나 실현될지는 두고 봐야 할 문제인 것으로 관측된다. SCMP는 외교·무역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일대일로 계획에 일본이 조만간 더 깊이 관여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과 일본 양국이 제3국에서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소식통들의 말을 전했다. SCMP는 고위급 인사의 잇따른 방문을 들어 일본이 일대일로 계획을 포용하려는 신호가 보인다고 주장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작년 5월 중국에서 열린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 집권당 자민간 간사장인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를 파견했다. 여기에 일본 정부
[KJtimes=권찬숙 기자]제조업 생산현장이 주 활동무대인 로봇이 사무실 업무에 속속 도입되면서 사무 업무 로봇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일본 유수의 대형 보험회사인 미쓰이스미토모(三井住友)해상화재는 방대한 고객 관련 데이터 입력 등 300개 이상의 업무에 로봇을 이용한 업무자동화 기술인 RPA를 도입했다. RPA는 '로보틱 프로세스 오토메이션'(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약자로 사무 업무를 컴퓨터로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사람이 PC를 이용해 입력하는 업무 등 단순작업을 컴퓨터가 대신하는 것으로 '디지털 노동자'로 부르기도 한다. 미쓰이스미토모해상의 신규 자동차보험료 산정업무는 그동안 사무실 직원이 계약자별로 이름과 나이, 소유 자동차의 종류 등의 정보를 PC에 입력했으나 지금은 컴퓨터가 대신하고 있다. NHK에 따르면 미쓰이스미토모는 RPA 도입을 통해 연간 35만 시간에 해당하는 사무업무를 줄였다. 일본인의 연간 평균 노동시간으로 환산하면 약 200명분의 업무에 해당한다. 오카 뎃페이 과장대리는 "손보업계에는 사무작업이 많아 RPA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업무가 많다"면서 "절감한 인력을 고객업무에 투입해 서비스 향상을 추진하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제조업의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작은 규모의 공장 폐업이 잇따르고 있다. 경제산업성 자료에 따르면 작년에 소규모 공장의 12.8%가 문을 닫았다. 불과 1년 만에 일본 국내 소규모 공장의 8분의 1이 사라진 셈이다. 공장이 문을 닫는 이유는 여러 가지지만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고가에 구입한 생산설비의 '유휴화'에 따른 부담이다. 도쿄(東京) 오베(靑梅)시에 있는 부수(武州)공업은 종업원 150명이 자동차부품과 의료기기 등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생산하는 업체다. 이 공장에는 1대에 1천500만 엔(약 1억5천400만 원)을 호가하는 3차원 측정기가 놓여 있지만, 덮개를 씌워두는 시간이 많다. 생산한 제품의 규격을 3D로 순식간에 검사할 수 있는 고성능 제품이지만 신제품을 만들거나 설비에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만 이용한다. "종업원이나 생산설비는 주문이 가장 많이 몰리는 시기의 수요에 맞출 수밖에 없어 실제로는 놀리는 시간이 많다.". 이 회사 하야시 에이도쿠 이사는 이 기계 말고도 공장에는 1천만 엔(약 1억 원) 이상하는 고가의 노는 기계가 많다고 말했다. 거래처의 주문에 대비해 샀지만 매년 주문이 일정하지 않은 데다 해마다
[Kjtimes=권찬숙 기자]지난 1월 일본에서 사상 최대규모의 가상화폐 해킹 도난사건이 발생한 지 두 달도 안 돼 도둑 맞은 가상화폐 전액이 이미 '세탁'이 끝나 사실상 회수가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고 NHK가 22일 보도했다. NHK는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체크가 도난당한 580억엔(약 5천843억 원) 상당의 가상화폐 NEM(뉴 이코노미 무브먼트) 코인 전액이 이미 복수의 계좌로 옮겨졌다고 전했다. NHK는 이어 이미 다른 가상화폐나 현금으로 바뀌었을 우려가 있다며 실질적으로 추적이 곤란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도난당한 NEM 코인은 익명 사이트인 '다크웹(Dark Web)'을 거쳐 일본을 비롯해 중국, 캐나다 등 전 세계의 타인 계좌로 보내진 뒤 다른 가상화폐로 교환 혹은 현금화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코인체크는 지난 1월 26일 도난 사실을 공개하며 투자자들에게 사과했다. 이 사건으로 피해를 본 투자자는 26만 명이나 된다. 사건 후 NEM 운영자 측인 NEM파운데이션은 NEM에 '태그(tag)'가 붙어 있는 만큼 이동 경로의 확인이 가능하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실제로는 추적에 어려움을 겪었고 지난 18일 이유를 알리지 않은 채 추적을 중단한다고 밝혔
[Kjtimes=김현수 기자]일본에서 주요 지방자치단체의 인가 보육시설이 크게 부족해 입소를 신청한 아동 4명당 1명은 탈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2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도쿄(東京) 23구와 정령시(인구 50만 이상 도시), 지난해 4월 시점에서 대기아동이 100명 이상이었던 지역 등 전국 78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인가 보육시설 1차 선정 인원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들 지역에선 총 28만3천188명이 입소를 신청했지만, 이 중 24%에 해당하는 6만8천998명은 1차 선정에서 탈락했다. 도쿄 네리마(練馬) 구에 거주하는 한 여성(40)은 13개 보육시설까지 지망했지만, 어디에도 들어가지 못했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이 여성은 이후 인가외 시설에 자녀를 보내기로 했다. 조사 대상 지역 중 1차 선정에서 떨어진 인원이 가장 많은 곳은 가나가와(神奈川) 현 요코하마(橫浜) 시로 4천417명이었다. 전국적으로는 보호자가 육아휴직을 마치고 복직하게 되는 시기라 할 수 있는 0~1세 아동에 대한 수요가 높아 신청자의 62%를 차지했다. 보육시설 입소난은 최근 몇 년간 일본에서 사회문제가 됐다.
[KJtimes=조상연 기자]일본 기업 도요타 자동차가 대규모 공장이 있는 아이치(愛知)현 도요타(豊田)시에 정원 320명의 대형 직장 보육원(어린이집)을 다음달 개설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1일 밝혔다. 니혼게이자이는 이 어린이집의 정원 규모는 일본 내 직장어린이집 중 최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도요타 그룹 직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이 어린이집은 일터에까지 아이들을 데려다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어린이집은 2층 건물로 연면적은 웬만한 초등학교 수준인 3천116㎡(약 943평)이나 된다. 규모에 걸맞게 수영장이나 정원, 별도의 놀이실도 갖췄다. 노동자의 근무 사이클에 맞게 새벽에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거나 아예 어린이집에서 숙박을 하게 하는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픈 아이들만 따로 모아 치료와 보육을 함께 해주는 시설도 운영된다. 도요타 자동차가 이처럼 직장어린이집 설치에 공 들인 것은 인력난 극복을 위해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노동자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도요타 자동차 노사는 단체협상을 통해 보육·개호(노인돌봄)와 일의 양립이 가능한 직장 환경을 강화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도요타 자동차의 우에다 다쓰로(上田達郞) 전무는 "생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