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임수찬 기자]한미약품[128940]은 9일 공시를 통해 보통주 1주당 0.02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발행되는 신주 수는 20만4202주다.배정 기준일은 내년 1월1일이고, 상장 예정일은 1월19일이다.한미사이언스[008930]도 보통주 1주당 0.02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실시한다고 공시했다. 신주 수는 110만4786주다.
[KJtimes=김승훈 기자]KCC[002380]와 휠라코리아[081660]에 대해 증권사들이 업종 내 최선호주로 꼽아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9일 신영증권은 KCC를 업종 내 최선호주로 추천했다. 이는 건설 비중이 높은 업체들 위주로 원가 개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아울러 페인트 산업에 대해선 국제유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해 전반적인 수익 개선이 기대된다며 ‘비중확대’ 의견을 제시했다.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페인트는 전체 매출원가의 80% 이상을 원재료 구매에 쓰이기 때문에 유가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좌우되는 특징이 있다”며 “6개 상장사의 올해 3분기 평균 매출원가율은 76.4%로 200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박 연구원은 “당분간 저유가가 유지되면서 페인트산업에 유리한 환경이 지속될 것”이라면서 “특히 주택 입주
[KJtimes=김승훈 기자]SK[034730]와 CJ EM[130960], 현대산업개발[012630] 등에 대해 증권사들이 주목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9일 HMC투자증권은 SK에 대해 성장 사업에서 성과가 가시화되며 중장기적으로 사업형 지주회사로 재평가가 이뤄질 전망이라며 목표주가로 34만원(투자의견 ‘매수’)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SK의 성장사업으로는 정보기술(IT)서비스과 바이오, 액화천연가스(LNG), 반도체 소재 및 모듈 등을 꼽았다.이명훈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합병 후 기준으로 회사측에서 추산한 올해 1∼3분기 누적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1조9000억원과 3조8400억원”이라며 “내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97조9000억원과 4조7800억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순자산(NAV)으로 산정한 기업가치는 19조2000억원으로 자체사업 영업가치 61조3000억원, 상표권 및 임대
[KJtimes=이지훈 기자]KDB대우증권(이하 대우증권)이 최근 고민에 빠져 있는 모습이다. 매각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채권 부문의 인력 유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탓이다.대우증권은 국내 증권사 가운데 처음으로 채권운용부에서 해외채권 업무를 시작한 것은 지난 2011년 말부터다. 해외채권 부문은 운용 노하우가 쌓이면서 다른 증권사의 부러움을 사는 존재로 성장했다. 대우증권 채권운용부는 현재 1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5명이 해외채권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채권운용부는 해외채권 부문의 양호한 성과에 힘입어 2013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연평균 1000억원을 훨씬 넘는 수익을 냈다.하지만 문제가 발생했다. 대우증권 채권운용부에서 해외채권 업무를 수행하던 과장급 직원 1명이 최근 회사를 그만둔 것이 발단이다. 이 과장은 대우증권 인수전에 뛰어든…
[KJtimes=김승훈 기자]한미사이언스[008930]이 올해 주가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관심이 그 배경에 쏠리고 있다. 특히 유가증권시장(우선주 제외)에서 의약품업종의 수익률이 두드러져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미약품의 지주회사이기도 한 한미사이언스는 지난해 말 1만5450원에서 지난 8일 14만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상승률만 806.15%. 한미약품의 주가가 뛰면서 최대주주인 이 회사(지분율 41.37%)의 주가도 덩달아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그런가 하면 하반기에 수조원대의 기술수출 ‘대박’을 터뜨린 한미약품[128940]도 같은 기간 10만2000원에서 73만5000원으로 620.59% 올랐다. 그러면서 상승률 2위에 이름을 올렸다.한미약품은 지난달 초 프랑스 제약사 사노피와 4조8000억원 규모의 당뇨치료제 포트폴리오 ‘퀀텀 프로젝
[kjtimes=임수찬 기자]현대건설[000720]은 8일 공시를 통해인도네시아 찌레본 에너지 기반시설(CEPR)로부터 6087억원 규모의 찌레본Ⅱ 1천MW 석탄화력발전소 공사를 수주했다.이는 최근 매출액의 3.50%에 해당하는 규모다.회사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자바섬 자카르타시 기준 동부방향으로 200km 떨어진 자바 해안에 1천MW급 석탄화력발전소와 500kV 송전선로를 신설하고 500kV 변전소를 확장하는 공사"라고 설명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조선업계에 드리운 암울한 그림자가 사라질 줄 모르고 계속 이어지면서 투자자들 사이에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이른바 ‘조선 빅3’가 지난 2년간 8조원이 넘는 영업 손실을 내는 등 위기감이 팽배해져 있는 탓이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 중에는 내년 투자에 나설지 말지 고민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이런 가운데 증권사들도 엇갈린 분석을 내놓아 더욱 고민에 빠지고 하고 있다. 8일 동부증권은 내년에 조선업종이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현대중공업을 업종 내 최선호주로 추천하고 현대미포조선의 주가도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홍균 동부증권 연구원은 “2012년 선박발주 침체로 2013년 선박업황은 불확실성이 팽배했지만 현대미포조선[010620]의 PC선 수주를 시작으로 2013년 선박발주는…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엔지니어링이 지난 7일,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1조2000억원 규모의 유상 증자를 결의했다고 밝히면서 이 같은 결의가 주가가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동부증권은 삼성엔지니어링의 유상증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유상증자 참여가 주가에 긍정적 이벤트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종전처럼 1만6000원과 ‘시장수익률 하회’(underperform)'로 제시했다. 이 부회장은 이번 유상증자 과정에서 기존 주주의 미청약분이 발생할 경우 최대 3000억원 한도 내에서 일반 공모에 참여하기로 했다.조윤호 동부증권 연구원은 “이재용 부회장의 사재 투입으로 삼성엔지니어링의 유상증자 성공 가능성이 커졌다”며 “삼성엔지니어링의 1, 2대 주주인 삼성 SDI(13.1%)와 삼성물산(7.8%), 우리사주조합(20%)과 이재용
[KJtimes=이지훈 기자]배우 고현정이 주식 우회상장으로 5년 만에 30배 ’대박’을 터트리면서 50억원에 육박하는 주식부자 대열에 올랐다. 재벌닷컴이 상장사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주식가치를 지난 4일 종가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1억원 이상의 상장사 주식을 가진 유명 스타 연예인은 모두 18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100억원이 넘는 연예인 주식부자는 7명이었다. 최근 월드스타 싸이 등과 재계약에 성공한 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이 날 1865억2,000만원을 기록해 1위를 지켰다. 양현석은 올들어 일부 소속 연예인의 스캔들과 본사 건물 불법증축 논란 등 악재가 겹치면서 주가가 하락해 보유 주식가치도 연초 1,902억7,000만원에 비해 2%(37억6,000만원) 감소했다. 반면 2위인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회장은 올들어 실적이 회복세를 보이자 주가도 올라 1,522억7,000만원에
[KJtimes=김승훈 기자]한화테크윈[012450]의 영업이익이 최대 주주 변경의 여파로 올해 적자로 바뀔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부터는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분석이 나왔다.7일 KDB대우증권은 한화테크윈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투자 의견 ‘매수’를 제시하면서 목표주가는 4만9000원로 유지했다.KDB대우증권은 한화테크윈의 올해 추정 영업손실은 233억원으로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난 1996년 이후 첫 영업적자“라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 글로벌 복합 위기에도 발생하지 않은 영업적자가 날 것“이라고 전망했다.박원재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최대 주주 변경 이후 정상적인 영업 활동을 할 수 없었다는 것이 가장 큰 적자 전환의 이유로 판단된다”면서 “내년에는 최대 주주 변경으로 인한 혼란이 점차 해소됨에 따라 영업이익이 흑자
[KJtimes=김승훈 기자]매력이 돋보이는 낙폭과대 새내기주는 없을까.7일 NH투자증권이 최근 1년간 신규 상장 종목 가운데 낙폭이 크지만 가치평가 매력이 돋보이는 유망주 14개를 선정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최근 공모주 시장에서 지난달에만 6개 업체가 상장을 철회하는 등 한동안 뜨거웠던 투자 분위기가 식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발표된 것이어서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유망주로 꼽은 것은 케어젠[214370]과 알테오젠[196170], 하이로닉[149980], 바디텍메드[206640], 코아스템[166480], 파마리서치프로덕트 등 6개 종목이다. 이들 종목은 제약과 생명과학, 건강관리장비·서비스 업종에서 공모가를 밑도는 종목과 공모가와 비교한 상승률이 50% 이하인 종목, 최고가보다 30% 넘게 하락한 종목에 해당한다. NH투자증권은 또 나머지 업종에서 공
[KJtimes=김승훈 기자]한미약품[128940]의 목표주가가 100만원으로 제시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7일 KB투자증권은 한미약품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각각 ‘매수’와 100만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주가가 아직 고평가 구간에 진입하지는 않았다고 평가에 따른 것이다. 정승규 KB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약품에 대한 자신의 첫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연초 대비 642.6% 상승한 한미약품 주가가 고평가 구간에 들어선 것이 아닌지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지목했다.정 연구원은 “한미약품이 기술 이전한 신약의 본격적 제품 출시가 예상되는 2019년 이후에는 연간 1조원 이상의 현금 유입이 기대돼 중장기 투자처로 손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신약 가치를 8조9000억원으로 산정했으며 영업 가치와 비영업 가치를 고려한 총 기업 가치는 10조5000억원”이라고 추
[KJtimes=김승훈 기자]SK네트웍스[001740]에 대해 삼성증권이 성장성에 대한 의문이 든다는 진단을 내놔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4일 삼성증권은 국내 종합상사의 기업 가치는 신규 성장동력에 대한 평가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며 SK네트웍스는 성장동력으로 여겨지던 면세점 사업 권리 상실로 성장성에 대한 의구심이 깊어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투자의견 ‘중립’에 목표주가 6700원을 제시했다.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SK네트웍스의 경우 렌터카 사업의 확장 이외에는 신규 성장사업들의 이익 기여도 확대가 단기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고 분석했다.백 연구원은 그러나 다른 종합상사인 LG상사[001120]에 대해선 “범한판토스, 하이로지스틱스 인수를 바탕으로 신규 사업의 높은 실적 가시성이 기대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만5000원을 제시했다.그는
[KJtimes=김승훈 기자]CJ대한통운[000120]과 대웅제약[069620]에 대해 증권사들이 주목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4일 동부증권은 CJ대한통운에 대해 택배 부문 강세에 힘입어 매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각각 ‘매수’와 25만원으로 유지했다.CJ대한통운은 올해 3분기 기준 택배 점유율 41%의 1위 사업자로 시장 전체 물동량보다 높은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동부증권은 CJ대한통운의 경우 지난해 매출 증가의 핵심 역할을 해온 택배 부문 모멘텀이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며 소매 판매 증가율이 한자릿수 초반에 머무르지만 온라인 판매가 여전히 20% 내외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노상원 동부증권 연구원은 “온라인 쇼핑 이용자의 연령 확대와 구매 품목 다양화 등의 요인이 택배 물동
[KJtimes=김승훈 기자]포스코[005490]가 올해 4분기에 흑자전환에 성공하고 내년 순이익도 대폭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3일 NH투자증권은 포스코에 대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고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포스코의 올해 4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5조1370억원, 656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 14.1% 감소할 것이나 순이익은 3942억원으로 흑자 전환할 것이라는 설명이다.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포스코의 내년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1조5166억원으로 올해보다 704.3%나 급증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환율 영향을 제외하고 실적에 악영향을 주는 추가 일회성 요인은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변 연구원은 “포스코의 내년 연결 매출액은 58조1155억원으로 올해보다 2.2% 감소하나 영업이익은 2조7806억원으로 2.0% 증가할 것”이라며 “철강부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