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승훈 기자]대웅[003090]과 대원제약[00322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6일 SK증권은 대웅의 목표주가를 8만8000원에서 9만9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자회사의 실적 개선에 힘입어 기업가치 상승이 기대되며 앞으로도 대웅바이오 제네릭 의약품 사업의 성장 추세가 이어져 지주사인 대웅의 기업가치 또한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태기 SK증권 연구원은 “지주사인 대웅은 사업자회사 대웅제약의 주가가 크게 올라 보유 지분 가치가 높아졌다”며 “지난해 말 자회사 알피코프 지분 64.75%를 전량 매도 했음에도 기업 가치가 나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 연구원은 “100% 자회사인 대웅바이오는 최근 위임형 제네릭(복제약) 매출 증가로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각각 27.7%, 94.1%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면서 “올해 대웅바이오의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13.8% 늘어난 1916억원, 영업이익은 21.9% 늘어난 201억원을 각각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IBK투자증권은 대원제약이 독감 유행으로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하고 올해 신약과 복합제 등 11개의 신제품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백화점[069960]이 올 1분기에 시장 전망치에 맞는 실적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6일 NH투자증권은 현대백화점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19만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총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3310억원과 106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15%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며 이는 시장 전망치를 충족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존 점포들이 3.5% 성장했고 명품과 가정용품의 판매 호조 속에 여성복과 남성복도 플러스(+) 성장세로 돌아섰다”며 “지난해 문을 연 판교점 등 신규 점포 효과는 앞으로 2∼3년에 걸쳐 실적 모멘텀으로 돌아올 것이고 영업이익은 신규 점포 안정화 속에 더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더 현대닷컴은 올해 목표 매출 600억원을 달성하고 Hmall의 올해 매출 성장률도 20%로 견조할 것으로 관측한다”면서 “온라인 영역에 힘입어 3%의 추가 매출 성장도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LG유플러스[032640]와 한화테크윈[02450]에 대해 증권사 호평가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5일 KDB대우증권은 LG유플러스의 목표주가를 1만3000원에서 1만4000원으로 올렸다. 그러면서 1분기 번호 이동 시장에서 유일하게 매달 가입자 순증세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문지현·하누리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LG유플러스는 전체 무선 가입자 중 알뜰폰(MVNO) 비중이 4%로 타사의 10%보다 낮다”며 “알뜰폰은 요금제 수준이 낮고 본사 직접망이 아닌 간접망 이용자여서 가입자당 매출액(ARPU)을 희석하는 작용을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 연구원은 “LG유플러스의 사물인터넷 회선 수는 2월 처음으로 누적 100만 개를 넘어섰다”면서 “LG유플러스의 사물인터넷 회선 수 점유율은 2014년 말 25.8%에서 2월에 26.2%로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유안타증권은 한화테크윈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만9000원을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엔진·방산 부문을 중심으로 장기 성장이 기대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이재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한화테크윈의 국내 고객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기업이 완제기·미사
[KJtimes=김승훈 기자]아모레퍼시픽[090430]과 현대백화점[06996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5일 NH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목표주가 46만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올해 1분기에 두 자릿수의 영업이익 성장세로 시장 예상치를 충족하는 실적을 올린 것이라는 추정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연결 기준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로 지난해보다 각각 18.4%와 23.0% 늘어난 5조6452억원과 9503억원으로 제시했다. 한국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1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3922억원과 315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 13.6% 증가한 것으로 추정한다”며 “1분기 실적 호조는 국내 화장품 부문이 면세점 채널 판매 호조로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고 중국과 아시아 지역 실적도 증가세를 보인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한 연구원은 “2014년과 지난해에 높은 성장세를 보여 올해 이익 성장률은 둔화가 불가피하지만 면세점 채널의 중국인 관광객 효과와 중국 현지에서의 브랜드, 채널 확장에 따른 구조적 성장 기회는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판단했다. 같은 날,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글로비스[086280]와 유수홀딩스[00070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4일 하이투자증권은 현대글로비스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6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견조한 실적을 올릴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하준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글로비스의 1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많은 1834억원으로 전망되고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 움직임이 견조한 실적의 밑바탕이 될 것”이라며 “1분기에는 환율이 1200원대에 머물다가 분기 말에 급락하면서 1분기 평균환율은 1201원, 기말환율은 1143.4원으로 마감했다"고 설명했다. 하 연구원은 “분기 평균 환율의 상승으로 반조립제품(CKD) 사업 부문의 수혜가 예상된다”면서 “기말환율이 하락하면 외화부채가 줄어 회계적으로 선박금융부채의 외화환산이익을 기대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같은 날, SK증권은 유수홀딩스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1만5000원을 신규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주가의 제자리 찾기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에 기인한다. 이지훈 SK증권 연구원은 “자회사 가치와 순차입을 고
[KJtimes=김승훈 기자]엔터테인먼트업체 에스엠[041510]에 대해 다음달 데뷔하는 신인그룹 'NCT' 성공과 자회사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31일 LIG투자증권은 SM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회사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만1000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다만 신인그룹에 드는 비용 부담도 상존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지인해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SM은 다음 달 중순에 'NCT' 남성그룹을 한국 1팀, 일본 1팀, 중국 3팀 등 모두 5팀으로 데뷔시킬 예정"이라며 "이 남성그룹은 주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지 연구원은 “대표 자회사 SM CC는 올해 4개 드라마 편성이 확정돼 손익분기점(BEP) 이상의 실적을 낼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에스엠 재팬은 동방신기의 부재를 EXO와 샤이니 등으로 대체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에스엠 재팬의 올해 1분기 실적은 EXO의 돔 콘서트 수익을 반영하면 지난해보다 성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타이어[161390]와 LIG넥스원[079550]이 증권사의 관심을 끌고 있어 그 이유에 눈길이 모아지고 있다. 31일 미래에셋증권은 한국타이어의 목표주가를 5만4000원에서 6만원으로 올렸다. 아울러 4년 만의 매출 개선이 기대된다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올해 1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이 예상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미래에셋증권은 한국타이어의 경우 올해 1분기 매출액 1조5800억원, 영업이익 2360억원의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영업이익은 블룸버그 컨센서스(시장 기대치)를 4% 웃도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박인우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원화 약세를 기반으로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 증가할 것”이라며 “통화별 매출 비중을 감안한 가중평균환율이 1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나 개선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평균 원재료 투입원가는 전 분기보다 8% 감소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전망”이라면서 “원/유로 환율 상승에 따른 환산이익 증가분까지 감안할 때 영업이익률은 15%를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날, 교보증권은 LI
[KJtimes=김승훈 기자]CJ그룹 계열사인 CJ제일제당[097950]과 CJ EM[13096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31일 KDB대우증권은 CJ제일제당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각각 ‘매수’와 50만원으로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가공식품 부문의 영업이익 기여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백운목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국내 최고의 가공식품 회사인 CJ제일제당은 오뚜기, 풀무원, 농심 등 기업보다 평가가치가 낮다”며 “그 이유는 사료용 아미노산 중 라이신 가격 변화에 따라 이익 변동 폭이 커 이익 예측력이 떨어진다고 시장이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백 연구원은 “하지만 라이신의 영향이 축소돼 바이오 사업 부분 영업이익이 안정되고 있어 CJ제일제당의 재평가가 가능하다”면서 “가공식품의 영업이익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체 이익의 안정성이 높아졌으며 2016∼2017년 가공식품 매출액은 각각 8.8%, 8.7%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날, 흥국증권은 CJ EM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2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최근 응답하라 시리즈 등 콘텐츠의 높은 성공률이 부각되고 있다는
[KJtimes=김승훈 기자]SK텔레콤[017670]과 포스코[00549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SK증권은 SK텔레콤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30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충족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SK텔레콤의 올 1분기 매출은 4조2967억원으로 계절적 요인 탓에 전 분기보다 소폭(1.9%) 감소하겠지만 영업이익은 4517억원으로 12.4%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갤럭시 S7 출시 이후 보조금이 상향됐음에도 1∼2월 마케팅 비용 절감으로 영업이익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진행 중인 CJ헬로비전 인수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로 내다봤다. 최 연구원은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 결합 승인이 확정되면 SK텔레콤이 수혜를 볼 것이고 인수가 확정될 경우 유료방송 성장과 유무선 결합상품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면서 SK텔레콤의 현재 주가는 4.8%의 배당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주가 하락 리스크가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덧붙였다. 같은 날, 이베스트투자증권은 포스코에 대해
[KJtimes=김승훈 기자]“NH투자증권에서 (현대증권 인수전과 관련) 홍콩계 사모펀드(PEF)로 알려진 액티스에 인수금융만 중개했을 뿐 인수 의사나 참여 의사는 전혀 없다.” NH금융지주는 30일 현대증권 인수전에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했다는 한 언론매체 보도와 관련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대증권 인수전에는 KB금융지주와 한국투자금융지주, 액티스 등 세 곳이 뛰어들었다. 현대그룹과 매각주관사인 EY한영회계법인은 전날인 29일 현대증권 인수 제안서를 심사했으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발표를 30일로 연기했다. 액티스는 지난 2003년 중국 충칭에 설립돼 홍콩에 본부를 두고 30억 달러(3조원)의 자금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금융투자업계 일각에선 NH금융이 액티스가 구성한 인수단에 참여해 7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하기로 약속하고 추후 현대증권을 인수할 것이라는 관측을 제기했다. NH금융지주는 이에 맞서 인수 의사나 참여 의사는 전혀 없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NH투자증권은 이날 투자은행(IB) 사업부에서 통상적으로 하는 인수 금융업무로 액티스에 2000억원 정도의 인수금융을 대출(론)해 주기로 했으며 일상적
[KJtimes=김승훈 기자]포스코(POSCO)[005490]와 한국전력[015760]에 대해 실적이 기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유진투자증권은 포스코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2만5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 실적이 견조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유진투자증권은 포스코의 올해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5조8200억원으로 추정되고 영업이익은 5557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14.7% 웃돌 전망이라며 이는 지난달부터 열연과 전기강판 등 일부 품목의 단가가 인상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방민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평균 출하단가가 t당 1만5000원에서 2만원 가량 상승했을 것으로 판단하며 투입단가 하락을 감안할 때 마진 스프레드가 t당 2만원 이상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영업이익률은 9.6%로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방 연구원은 “중국 철강재 가격은 아직 견조한 수준”이라면서 “현재의 중국발 가격 모멘텀을 기조적 반등으로 보기에는 이르지만 본격적인 공급 부담과 상품 시장의 변동성이 예상되는 5월 이전까지는 견조한 수준을 보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에 따라 포스코의 2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전 분기보다…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자[005930]와 하나금융지주[08679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9일 하이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14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 5조1400억원에서 5조2600억원으로 높였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유가 회복으로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배수가 높아졌고‘ 갤럭시S7 셀인(sell-in·제조업체에서 유통업체로 공급되는 출하량) 물량이 예상보다 양호했다”며 “올해 내 지배구조 변동에 따른 배당 증가도 기대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송 연구원은 “만일 올해 중순 이후 사업회사와 지주회사로 분할되는 지배구조의 변화가 생기고 시장에서 기대하는 것처럼 삼성전자의 배당이 해외 경쟁업체들의 수준까지 대폭 늘어난다면 주가의 추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하지만 올해 정보기술(IT) 수요는 우려보다 부진하다”면서 “IT 수요를 고려하면 삼성전자의 추세적 상승이 시작됐다고 보기에 이르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KTB투자증권은 29일 하나금융지주의 목표주가를 3만1000원에서 3만200
[KJtimes=김승훈 기자]한샘[009240]에 대해 부엌시장 점유율 확대 여력이 크고 새로 진출한 욕실시장의 성장성이 밝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흥국증권은 한샘에 대해 이처럼 분석하고 이 회사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0만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부엌시장 점유율은 20% 수준으로 높아질 여력이 여전히 큰 편이라며 노후주택의 리모델링에 주목했다. 임영주 흥국증권 연구원은 “한샘의 욕실 매출은 지난해 800억원에서 올해 1500억원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욕실시장은 장기 성장성이 밝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임 연구원은 “국내 노후주택의 잠재 리모델링 시장은 166조원으로 추정하는데 전체의 3분의 1의 주택이 2020년에 30년이 지나 개량이 필요해질 것”이라면서 “한샘은 기존 부엌과 가구 위주로 리모델링 시장에 참여해왔으며 리모델링 관련 아이템은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KJtimes=임영규 기자]지난 25일 한국거래소에 의해 매매 거래를 정지당한 상품권 유통업체인 핫텍[015540]이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28일 핫텍은 공시를 통해 유니온상호저축은행 인수가 무산됐다는 보도와 관련 “지난해 말 감사보고서상 자본잠식이 50%를 넘어 관리종목으로 지정됨에 따라 해당 대주주 자격심사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고 밝혔다. 핫텍은 지난해 10월 26일 유니온상호저축은행 주식 117만4017주(42.17%)를 120억원에 현금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이후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이 연기돼 대주주 자격심사 신청을 유예했다. 하지만 지난 25일 한국거래소는 핫텍에 50% 이상 자본 잠식설과 관련한 조회 공시를 요구하고 매매 거래를 정지시켰다. 한편 핫텍은 이날 공시를 통해 “다음달 28일로 예정된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납입 여부에 따라 관련 대주주 적격심사를 신청할 예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앞서 핫텍은 지난 23일 공시를 통해 기존 이노지엔에스 등 3인에서 이부영 등 2인으로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밝히고 기존 최대주주의 주식담보계약 기한이익상실로 채권자가 담보권을 행사해 매매가 발생했으며 이에 종
[KJtimes=임영규 기자]우성아이비[194610]는 28일 공시를 통해 인터넷 블로그 등에서 거론된 ‘대선 테마주’ 혹은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사업 관련 수혜주’ 등 풍문은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앞서 우성아이비의 주가는 지난 22일부터 급등세를 타고 있는 분위기다. 실제 이 회사의 주가는 5거래일 만에 두 배로 뛰었다. 우성아이비는 28일 별다른 호재가 없음에도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았다. 개장 직후 상한가로 직행해 4665원으로 오른 것이다. 한편 우성아이비는 지난 25일 주가 급등에 대한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에 “최근의 현저한 시황변동과 관련해 별도로 공시할 중요한 정보가 없다”고 답변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