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국내 최초의 인터넷은행 케이뱅크가 3일 출범했다. 새로운 은행이 금융당국의 인허가를 받고 출범한 건 1992년 평화은행 이후 25년 만이다. 케이뱅크는 3일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 이진복 국회 정무위원장, 황창규 KT회장 등 주요 인사가 참가한 가운데 출범식을 열고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했다. 케이뱅크는 24시간 365일 어느 곳에서나 고객이 원하는 은행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뱅크 에브리웨어'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심성훈 은행장은 "지금까지 고객들은 은행 '일'이라거나 은행 '업무'를 보러 간다고 할 정도로 서비스 이용 시 은행이 정한 룰에 따라야 했다"며 "케이뱅크는 고객의 관점에서 원하는 은행서비스를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은행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케이뱅크는 지점이 없어 인건비가 들지 않는다. 대출 등 대부분의 업무도 모바일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낮은 수준의 대출 금리를 유지할 수 있다. 케이뱅크는 청년·소상공인 서민계층을 대상으로 연 4.2% 수준의 중금리 대출을 공급할 예정이다. 간편하게 지문인증만으로 대출을 실행할
[KJtimes=김승훈 기자]올해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새내기주의 1분기 성적표는 어떨까. 3일 기업공개(IPO) 전문 컨설팅 업체 IR큐더스는 올해 1분기 상장기업 12곳의 공모규모는 모두 3731억원으로 집계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4706억원보다 20.7% 감소한 셈이다. 1분기 공모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유가증권시장의 덴티움(815억원)이었으며 청약경쟁률은 에프엔에스테크이 841대 1로 가장 높았다. 희망 공모가 범위 안에 들지 못한 기업은 6개사였고 희망 범위 이상으로 공모가가 정해진 기업은 에프엔에스테크 1곳뿐이었다. 그만큼 공모주 시장 분위기는 작년보다 좋지 못했다. 그러면 이런 상황에서 어떤 종목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을까. 유가증권시장과 업계에 따르면 1분기 신규 상장업체 12곳 가운데 코스피 상장업체가 2곳, 코스닥은 10곳이었다. 이들 새내기주 중 4차 산업혁명 수혜 업종인 정보기술(IT)과 반도체 관련주들은 공모가 대비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두각을 나타냈다. 우선 운전자보조시스템(ADAS), 헤드업디스플레이(HUD) 등 스마트·자율주행차 솔루션을 만드는 업체인 모바일어플라이언스[087260]가 눈에 띤다. 진난
[KJtimes=김승훈 기자]농심[004370]과 삼성전기[00915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햐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3일 KTB투자증권은 농심의 목표주가를 기존 31만원에서 33만원으로 올렸다. 또 본업인 라면 사업의 실적회복이 선행돼 해외법인 성장 속도가 확인돼야 주가 상승에 강한 동력이 확보될 것이라며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1분기 영업이익 감소가 예상되나 3월부터 평균판매가격(ASP) 인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손주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작년 12월 ASP 5.5% 인상분을 반영해 순이익 추정치를 종전보다 올리면서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며 “올해 1∼2월에 ASP 인상 효과가 부재해 최근 주가는 고점 대비 16.2% 하락했으나 3월부터는 가격 인상 효과와 기존 브랜드 매출 개선이 확인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손 연구원은 “2분기 이후에는 기저효과 덕에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이익 증가율이 높아질 것”이라면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3% 증가한 5982억원, 영업이익은 4.0% 감소한 311억원”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올해 전체로는 매출
[KJtimes=김승훈 기자]롯데케미칼[011170]의 저평가 매력이 부각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일 NH투자증권은 롯데케미칼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종목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5만원을 유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제품의 가격 급등락과 유가 하락으로 실적 우려가 커졌으나 평균 영업이익은 증가한 상태라며 주가의 저평가 매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밝혔다. 황유식NH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영업이익은 8248억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이 예상되는데 주요 제품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폴리프로필렌(PP), 아로마틱의 수익성이 탄탄하게 유지됐다”며 “뷰타다이엔(BD)과 벤젠, 에틸렌글리콜(MEG)의 일시적 가격 급등으로 스프레드(제품-원료 가격 차)가 크게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다만 환율 하락에 따른 매출액 감소는 영업이익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롯데케미칼의 연간 영업이익을 작년보다 28% 증가한 3조2619억원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2분기와 3분기 영업이익을 각각 8143억원, 8374억원으로 추정한다”며 “일시적으로 가격이 급등한 BD와 벤젠, MEG 가격은 안정화되겠지만 정기보
[KJtimes=김승훈 기자]LG전자[066570] 주가가 3년만에 처음으로 7만원을 돌파했지만 주가 상승 여력이 여전히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유진투자증권은 LG전자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목표주가 8만6000원과 ‘매수’ 투자 의견을 유지했다. LG전자의 전날 종가는 7만2700원으로 2014년 9월 이후 처음으로 7만원을 돌파했다. 노경탁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LG전자의 올해 영업이익은 2014년보다 26.2% 증가한 2조3000으로 전망하는데 주가 상승 여력이 여전히 높다”며 "그 근거는 스마트폰 G6를 통해 모바일 사업부의 실적이 안정화되고 생활가전(H&A) 부문은 OLED TV, 프리미엄 가전 등의 성장세를 타고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 연구원은 “전세계 가전 산업에서 스마트 가전과 인공지능가전이라는 새로운 전략이 등장하고 있다”면서 “LG전자는 스마트홈의 핵심인 가전제품에서 역량이 뛰어나 큰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한편 LG전자는 스마트폰 G6의 인기에 따른 1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신고가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5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2.22% 오른 7만
[KJtimes=김승훈 기자]이마트[139480]와 베셀[177350]에 대해 증권사가 관심을 가지면서 그 배경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24일 NH투자증권은 이마트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7만원을 유지하고 지속적인 매수를 추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시장 지배력이 커질 것이고 1분기 영업상황도 양호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용 물류센터 확장으로 잠재성장력이 높고 피크코·노브랜드 등 자체브랜드(PB) 상품의 매출 증가도 두드러지고 있다”며 “이마트타운이라는 3세대 대형마트 모델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고 궁극적으로 규제 강화 국면에서 상위 사업자의 시장 지배력이 커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같은 날, 키움증권은 베셀이 중국의 디스플레이 관련 투자에 따른 지속적인 수혜가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다만 이 회사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제시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올해 매출액을 작년보다 78% 증가한 783억원으로, 영업이익을 372% 증가한 104억원으로 각각 전망했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베셀은 디스플레이 인라인(In-line) 시스템과 공정정비, 항공기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강소기업”이라며 “중국 디스플레이…
[KJtimes=김승훈 기자]KB금융지주[105560]과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증권사가 올려 잡으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4일 하나금융투자는 KB금융지주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5만5000원에서 5만9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 양호한 실적을 거둘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한정태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분기 순이익은 5626억원으로 전망하고 이자이익의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이라며 “대규모 인원 축소로 판매관리비가 분기당 6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이고 현대증권 인수 부문의 실적이 100% 반영되기 때문에 호실적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한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을 제외하고는 건전성이나 충당금 이슈는 없는 것으로 추정되고 KB금융의 위험 노출액(익스포져)을 5241억원으로 추산한다”면서 “대우조선 무담보채권의 80%를 출자전환하면 규모는 1270억원 정도”라고 추산했다. 그는 “전액 감액 처리해도 1100억원 내외가 될 것인데 이밖에 건전성 이슈나 충당금 이슈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올해 관심 있게 봐야 할 부분은 이익인데 올해 순이익은 2조2200억원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같
[KJtimes=김승훈 기자]코스피가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이 주식시장으로 향하고 있다. 투자자들 사이에는 적극적 투자에 나서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고민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증권가 일각에선 대부분 투자자에게 코스피 상승에 따른 수익률 기대는 ‘빛 좋은 개살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올해 초 주식 투자에 나섰다면 수익을 내기보다는 손해를 보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그 이유로 꼽히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005930]가 사상 최고가 행진을 벌였지만 상장사 절반 이상은 올해 들어 오히려 주가가 하락했다는데 기인한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증시 상장 종목 2084개 중 56.4%인 1175개는 작년 말보다 주가가 하락했다(22일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선 886종목 중 52.3%인 463종목이 하락했고 코스닥시장에선 1198종목 중 59.4%인 712종목의 주가가 떨어졌다. 그러면 이처럼 투자수익에 대한 기대를 떨어트린 종목은 어떤 것이 있을까. 하락률이 높은 종목에는 이른바 ‘반기문 테마주’로 분류됐던 성문전자우, 성문전자, 한창, 일야, 씨씨에스 등이 있다. 실제 유가증권시장에선 성문전자우[014915]가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올해…
[KJtimes=김승훈 기자]대한항공[003490]에 대해 대신증권이 투자의견을 ‘시장수익률’에서 ‘매수’로 상향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3일 대신증권은 항공주 중 한진해운 관련 손실이 제거되고 유상증자가 예정된 대한항공의 투자의견을 이같이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3만2000원에서 3만7000원으로 상향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경우 단거리노선의 운임 경쟁이 시작된다 해도 화물과 유럽노선 수요 회복 수혜가 있으며 5년 만의 순이익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대신증권은 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에 대한 보복조치에도 국제선 여객이 15%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며 항공업종 의견으로 ‘비중확대’를 유지하고 대한항공을 최선호주로 추천했다. 이지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 15∼19일 한국 국적기의 중국노선 여객 수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8% 감소했지만 국제선 여객 전체로 보면 15% 넘게 증가했다”며 “중국 아웃바운드(내국인의 해외여행) 수요가 일본과 동남아로 적정하게 분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유럽, 일본, 대양주 노선 여객 증가율이 중국노선 여객 감소율을 상쇄하고도 남는다”면서 “다만 중국 전세기 운항을 불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전력[015760]과 LG상사[001120]에 대해 증권사가 관심을 높이면서 그 이유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23일 삼성증권은 한국전력[015760] 목표주가를 5만3000원에서 6만1000원으로 올렸다. 그러면서 그 이유로 원자재 가격 안정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양지혜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국 원유 생산량 증가 등으로 국제유가는 하락했고 석탄 가격도 안정화됐고 이에 따라 한국전력의 발전원가 증가에 대한 부담이 다소 완화됐다”며 “원화 대비 달러 강세도 연말 이후 다소 안정되며 발전 원재료를 수입하는 한국전력에 호재로 작용하고 그동안 과도하게 저평가된 점도 부각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양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원가 증가와 감익 추세는 불가피하지만 기존 전망 대비 이익감소 속도는 둔화할 것”이라면서 “실적 기대치가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LG상사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4000원을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실적 개선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LG상사의 경우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27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자동차[005380]와 한화테크윈[01245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2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현대차의 목표주가를 17만원에서 22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앞으로 복잡한 지배구조를 개편하면서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유지웅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로 구성된 지배구조가 올해를 기점으로 개편될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며 “현대차는 최근 계열사로부터 브랜드 로열티를 받고 있는데 이는 현대차가 지주사로 전환할 가능성 등을 보여주는 정황”이라고 설명했다. 유 연구원은 “다만 아직 상법개정안 국회 처리가 난항을 보이고 있고 실질적인 순환출자 구조를 개편하는 작업은 새 정군이 자리를 잡은 뒤에 본격화할 것”이라면서 “1∼2개월 안에 뚜렷한 변화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2017년 영업이익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4% 늘어난 5조7000억원으로 예상되고 실적도 상당 부분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한화테크윈의 목표주가를 5만4000원에서 5만9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본격적인 이익성장을 시작할 것이라는 분석
[KJtimes=김승훈 기자]LG전자[066570]와 인터파크[10879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2일 KB증권은 LG전자의 목표주가를 기존 8만5000원에서 9만5000원으로 12% 상향 조정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8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을 낼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LG전자의 경우 내년부터는 자동차부품(VC) 사업부의 이익 기여도가 커지면서 주가 가치평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며 VC 부문 실적은 올해 4분기에 흑자 전환하고 내년에는 210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인터파크에 대해 투자의견은 ‘시장수익률’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는 1만원에서 1만2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면서 이 종목의 경우 작년에 실적과 주가가 급락했으나 이익 체력은 향상했다며 2분기부터 반등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신증권은 인터파크의 경우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쇼핑·도서부문도 온라인 가격 경쟁 완화와 비용구조 효율화로 적자 폭이 줄어들 것이라며 실적 둔화가 올해 1분기에 마무리되고 2분기부터는 반등을 시작할 것으로 분석돼 1분기부터 매수할 것을 추천한
[KJtimes=김승훈 기자]CJ E&M[130960] 주가가 중국발 한한령 (限韓令) 이슈에 대한 오해가 해소되고 넷마블게임즈 지분가치가 부각되면서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대신증권은 CJ E&M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9만1000원은 종전대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종목의 경우 영업가치와 넷마블 지분가치를 합한 적정주가는 9만4000원이지만 현재 목표주가와 차이가 크지 않아 목표주가를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CJ E&M 주가는 지난달 한한령 이슈로 급락했으나 이후 중국에 대한 콘텐츠 매출 비중이 약 2%로 추정된다는 분석에 따라 오해가 해소됐다”며 “올해 1분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는 데다 넷마블 상장 가시화에 따른 지분가치 부각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 중”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넷마블게임즈가 신주 20%를 발행함에 따라 CJ E&M의 넷마블 지분은 27.6%에서 22.09%로 감소하고 6개월간 자진 보호예수 하게 된다”면서 “공모가 밴드 하단 적용 시 넷마블의 시가총액은 10조원, 상단 적용 시 13조원으로 CJ E&M의 지분가
[KJtimes=김봄내 기자]KB국민은행은 20일부터 인천 소래포구 화재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금융지원을 한다고 밝혔다. 재해 피해가 확인된 고객에게는 긴급생활안정자금 최고 2천만원을 빌려준다. 사업자대출의 경우 운전자금은 최고 1억원 이내, 시설자금은 피해시설 복구를 위한 소요자금 범위 내까지 대출해준다. 만기가 도래하는 대출금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원금상환 없이 최고 1.5%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적용해 기한을 연장해준다. 대출금 연체이자도 피해 발생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정상 납입할 경우 면제한다. 앞서 지난 18일 오전 1시 36분께 소래포구 어시장에서 불이 나 점포 20여곳과 좌판 220여개를 태우고 2시간 30분 만에 진화됐다.…
[KJtimes=김승훈 기자]삼성전기[009150]와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KTB투자증권은 삼성전기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6만5000원에서 7만6000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최근 주가 강세에도 투자 매력이 여전하다며 추가 실적 개선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김양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F PCB)과 패널레벨패키지(PLP·Panel Level Package) 등 신규 사업의 가세로 중장기 실적개선 가능성이 커졌다”며 “삼성전자의 듀얼 카메라 채택과 하만과의 전장사업 시너지에 따라 추가 실적개선도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기의 올해 1분기 추정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2.2% 늘어난 1조3743억원, 영업이익을 흑자전환한 335억원”이라면서 “올해 전체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243.1% 증가한 3276억원”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2분기부터 전사업부에 걸친 실적개선이 예상된다”며 “특히 작년 스마트폰 배터리 폭발 이슈 이후 고용량, 고신뢰성 MLCC(적층세라믹캐패시터) 주문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