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 미래에셋증권[006800]과 CJ대한통운[000120], SK텔레콤[017670] 등에 대한 증권사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다. 실제 KB증권과 NH투자증권, SK증권 등 증권사가 이들 종목에 각각 호평가를 내놓으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10일 KB증권은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목표주가를 7500원으로, 투자의견으로 ‘홀드(Hold)’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2분기 연결기준 지배주주 순이익은 2537억원으로 전망치인 1637억원 및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미래에셋증권의 항목으로는 비시가성 수익증권의 평가이익 약 1000억원이 반영된 결과로 1분기에 이어 2분기 이익의 컨센서스 상회의 원인은 비시장성 자산의 평가이익이며 2022년 상반기 주식시장 부진과 금리 급등을 감안할 때 Pre IPO 주식이나 부동산 관련 자산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CJ대한통운에 대한 목표주가를 17만5000원으로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2분기 매출액 3조1369억원, 영업이익 1161억원을 기록하면서 시장컨센서스 상회했고 지배지분순
[KJtimes=김봄내 기자] 롯데케미칼[011170]에 대한 증권가의 부정적 시선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실제 8일 NH투자증권과 유진투자증권, 유안타증권 등 증권사들은 이 종목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그러면 이들 증권사가 이 회사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나타낸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이날 NH투자증권은 롯데케미칼에 대한 목표주가를 21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2분기 매출액 5조5000억원, 영업적자 214억원으로 적자 전환하며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롯데케미칼의 경우 첨단소재 부문은 정기보수로 인한 기회손실 160억원에도 불구하고 BPA 가격 하락에 따른 PC 스프레드 개선으로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증가했으나 다만 Olefin 부문은 부정적 래깅 효과 및 정기보수에 따른 기회손실(400억원)로 영업적자가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롯데케미칼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24만원에서 17% 하향한 20만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기존 전망보다 화학 시황의 구조적 불황이 장기간 지속된다고 가정했고 2022~2023 년 실적
[KJtimes=김봄내 기자] SK가스[018670]에 대한 증권사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SK증권과 NH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등이 이 종목에 대한 호평가를 내놓고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다. 그러면 이들 증권사가 이 회사를 주목하는 진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3일 SK증권은 SK가스의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15만원과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단기적으로는 돌아올 동절기 수요, 중장기적으로는 LNG 비즈니스의 가시화가 긍정적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SK가스의 경우 신규 투자 영역으로 진행 중인 LNG 터미널의 탱크의 신규 수요가 확보됐으며 S-oil 과의 Pre-TUA(Pre-터미널 이용 계약) 체결로 3번째 저장 탱크의 활용 가시화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SK가스에 대한 목표ㅛ주가를 18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오는 2025년까지 강화된 LPG Trading 부문으로부터 이익, 고성그린파워와 울산 GPS의 운영 수익, KET(Korea LNG Terminal)를 활용한 수소 사업 등 기존 그리고 신사업으로부터 이익이 계속해서 쌓이기 때문이라
[KJtimes=김봄내 기자] 대우건설[047040]과 아모레퍼시픽[090430], DGB금융지주[139130] 등에 대해 NH투자증권과 KB증권, 키움증권 등 증권사가 부정적인 전망을 내놔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9일 NH투자증권은 대우건설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7700원에서 6500원으로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2분기 다른 건설사와 마찬가지로 건축자재 가격 인상 등 일회성 비용으로 주택 부문 원가율은 훼손돼 시장의 급격한 변화 없이 하반기 주택 부문의 정상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대우건설의 목표주가를 하향하는 이유는 하반기 주택 부문의 원가율 상승 이슈와 부동산 경기 악화 우려 등을 반영해 건설부문에 적용하는 12개월 이동 평균 EBITDA 추정치를 7489억원(기존 8748억원)으로 14% 하향하고 EV/EBITDA 배수를 3.5배(기존 3.7배)로 낮췄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KB증권은 아모레퍼시픽에 대한 목표주가를 18만원으로 10% 하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2분기 실적 쇼크로 인해 투자 심리 악화가 불가피할…
[Kjtimes=김봄내 기자] 증권가에서 한미약품[128940]과 현대제철[004020], 삼성카드[029780] 등에 대해 높은 관심과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 SK증권과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등 증권사는 각각 이들 종목에 대한 청신호를 담은 보고서를 내놨다. 그러면 그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27일 SK증권은 한미약품에 대한 목표주가를 37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실적은 과거 R&D 비용 집행으로 이익이 저조했으나 2022년부터는 국내 실적 턴어라운드 및 북경 한미 고성장세로 호실적을 기록 중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한미약품의 경우 하반기에도 이러한 추세는 이어질 전망이며 특히 올해 하반기에는 R&D 투자에 대한 결실을 맺는 시기인 것으로 판단되어 전통 제약사 중에서 가장 선호한다고 밝혔다. 같은 날, 미래에셋증권은 현대제철의 목표주가를 6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견조한 실적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 주가는 4월 이후 25% 하락했으나 이는 선행성이 큰 중국 철강 가격의 하락 영향으로 주가는 이익 감소를 이미 선반영했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미래에셋
[KJtimes=김봄내 기자] 기아[000270]에 대한 증권사의 관심이 뜨겁다. NH투자증권과 유진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등 증권사가 대표적이다. 이들 증권사는 이 회사에 대해 청신호가 켜졌다면서 긍정적인 분석보고서를 제시했다. 그러면 이들 증권사는 어떤 점에서 희망을 보았을까. 25일 NH투자증권은 기아에 대한 목표주가를 11만5000원으로,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반도체 수급 개선에 따른 생산회복으로 양호한 실적 가시성과 중장기적으로는 제품 경쟁력 개선, 선진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M/S) 상승에 따른 브랜드 위상강화가 기대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기아의 경우 매크로 불확실성 존재하지만 양호한 수요(백오더)가 유지되고 있어 하반기 생산 안정화 과정에서 판매 및 실적 개선 추세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생산회복 과정에서 제품믹스 개선 기대되는데 백오더에서 카니발, 쏘렌토 등 ASP(평균판매가격)가 높은 차종이 다수 포진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기아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12만5000원과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이익 개선 추세 하반기 완만해질 가능성 있으나
[KJtimes=김봄내 기자] SK텔레콤[017670]과 에코프로비엠[247540], 쌍용C&E[003410] 등에 대해 SK증권과 유진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이들 종목이 하반기에 웃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8일 SK증권은 SK텔레콤에 대한 목표주가를 8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5G 가입자 증가 기조 속에 이동전화수익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경쟁사보다 빠른 중간요금제 출시로 LTE 가입자의 5G 전환, 10GB 데이터 사용자의 요금 업셀링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SK텔레콤의 경우 8월 출시가 유력한 SK텔레콤의 중간요금제는 기존 요금제 및 1 인당 데이터 사용량을 고려 시 LTE 가입자의 5G 전환, 10GB 사용자의 요금 업셀링 가능성이 높아 이 회사의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15만원과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현재까지 기술 경쟁력이 경쟁사들 대비 앞서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평가에 기인한다. 유진투자증권은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KJtimes=김봄내 기자] CJ대한통운[000120]과 LG화학[051910], 삼성전기[009150] 등에 대해 SK증권과 유진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이들 증권사가 각각의 종목에 주목하는 이유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14일 SK증권은 CJ대한통운에 대한 목표주가를 15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코로나19로 급격하게 성장한 이커머스 시장이 엔데믹으로 침체기에 접어들었다는 부분은 동의하지만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CJ대한통운의 경우 대면 만남이 증가하면서 소비가서비스로 잠시 옮겨갔을 뿐 이커머스 소비 패턴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엔데믹 영향으로 영구적으로 이커머스를 이탈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LG화학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77만원과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주가 하락을 이끌었던 LG에너지솔루션 주가가 실적발표 이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유진투자증권은 LG화학의 경우 하반기부터 배터리 셀 메이커들의 수익성 부각, 지분 가치도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며…
[KJtimes=김봄내 기자]증권사들이대우건설[047040]과 CJ[001040], 기아[000270] 등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분위기다. 실제 KB증권과 NH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등은 이들 종목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는 분석보고서를 제시했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있다. 21일 KB증권은 대우건설에 대한 목표주가를 9000원으로,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불확실한 매크로 상황과 원자재 가격 상승發 실적 부진 우려로 건설업종 주가는 부진하나 다만 부진한 업종주가 속에서도 이 회사의 상대적인 투자포인트가 부각될 수 있는 상황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대우건설의 경우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원전 및 LNG 설비에 대한 트랙레코드가 많고, 해외수주에 있어 현대건설과더불어 플랜트와 인프라 부문 사업을 균형 있게 추진해오고 있기 때문에 주택관련 정부의 정책방향과 효과가 본격적으로 확인되는 시점 전까지 업종 내에서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CJ의 목표주가와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9만5000원과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9조6534억원과 5897억원으로시
[KJtimes=김봄내 기자] 에스엠[041510]과 현대해상[001450], 한화솔루션[009830] 등에 대해 KB증권과 NH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이들 증권사가 주목하고 있는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4일 KB증권은 에스엠에 대한 목표주가를 10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향후 3년간(2022~2024년) 연평균 영업이익 성장률을 22.9%로 전망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KB증권은 에스엠 목표주가의 경우 DCF 방식(현금흐름 방식)으로 산출했으며 WACC 9.81% (COE 9.82%, 세후 COD 4.49%, 52주 조정 Beta 1.08), EXIT Multiple EV/EBITDA 2.1배를 적용해 함축된 영구성장률(2032년 이후) 2.30%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현대해상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4만6000원과 매수를 제시하고 보험주 중 최우선주로 꼽았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2분기 일회성 희망퇴직 비용 발생에도 컨센서스 상회하는 실적이 예상되고 경쟁사와의 실적 격차도 점차 축소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
[KJtimes=김봄내 기자]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에 코스피가 맥을 못추고 있다. 개인이 순매수에 나섰지만 지수를 끌어올리지는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런 가운데 KB증권과 IBK투자증권, 교보증권 등 증권사가 각각 LG전자[066570]와 한라홀딩스[060980], 나인테크[267320] 등을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0일 KB증권은 LG전자에 대한 목표주가를 13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중장기 성장성을 확보한 VS (전장부품) 사업부가 지난 2013년 사업을 시작한 이후 첫 흑자전환이 예상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LG전자의 경우 인플레이션 확대 국면 속에서 소비 패턴의 뚜렷한 양극화 현상(초고가, 초저가)이 심화되고 있어 H&A (가전) 부문이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로 매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IBK투자증권은 한라홀딩스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6만3000원과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자체사업을 가진 지주로 전환한 뒤 얼마 안돼 자체 사업에서 저마진 사업을 축소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해 2% 후반대까지 내려갔던 자
[KJtimes=김봄내 기자] 지노믹트리[228760]과 삼성화재[000810], KB금융[105560] 등에 대해 SK증권과NH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등이 주목하고 있다. 그러면이들 종목에 증권사가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28일 SK증권은 지노믹트리에 대해 ‘2022년부터 긍정적인 이벤트가 기다린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이는이 회사의 자체개발 핵심 바이오마커인 DNA 메틸화는 높은 암 특이성을 지니고 있고 암 발생 초기부터발생해 정확한 조기진단이 가능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지노믹트리는 2000년에 설립, 혁신적인 바이오마커(DNA, RNA, 대사물질, 단백질 등에서 유래된 분자적 정보로서 질병의 발생 등으로 유발된 신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지표) 기반 체외 암 조기진단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하는 회사라고 설명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삼성화재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27만7000원과 매수를 제시했다.이는 이 회사가 1분기에 이어 2분기도 양호한실적 예상되며 하반기에도 이러한 흐름이 지속된다면 올해 연간 순이익과 배당도 전년 수준 이상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한다. NH투자증권은 삼성화재의 2022년
[Kjtimes=김봄내 기자] LS전선아시아[229640]과 CJ제일제당[097950], 동국 S&C[100130] 등의 종목에 대해 IBK투자증권과 하나금융투자, 유진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IBK투자증권은 LS전선아시아에 대한 목표주가를 12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1분기 저마진의 경우 일시적 현상으로 UTP를 비롯한 통신선 매출이 회복하고 있으며 더구나 UTP는 2021년 생산시설을 30% 가량 확충해 수요 증가에 의한 증설 효과가 기대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IBK투자증권은 LS전선아시아의 경우 매출이 제품 출하량 증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늘었지만 전력 프로젝트 중 부가가치가 낮은 프로젝트의 비중이 높아져 수익성이 낮아져 매출에 비해 수익성이 아쉬웠던 1분기라고 평가했다. 같은 날, 하나금융투자는 CJ제일제당에 대해 높아진 시장 기대 상회가 예상된다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면서 현재 이 회사의 주가는 현저한 저평가 구간으로 우려와는 달리 2분기 실적도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판단, 견조한 실적 감안 시 저가 매수가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하나금융투자는 CJ제일제당의…
[KJtimes=김봄내 기자] 신흥에스이씨[243840]와 코리아써키트[007810], SK바이오팜[326030] 등에 대해 유진투자증권과 교보증권, NH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각각의 분석을 내놓으면서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면 증권사들은 이들 종목을 어떻게 보고 있는 것일까. 20일 유진투자증권은 신흥에스이씨에 대한 목표주가를 8만원으로, 투자의견으로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정상적인 영업이익률은 7~9% 수준으로 2021년에도 연간 영업이익률은 8.5%를 달성했으나 4분기에 1%로 하락한 후 2022년 1분기에는 4.9%로 회복 추세에 들어갔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유진투자증권은 신흥에스이씨의 경우 알루미늄 가격이 급상승했으나 매출액 증가 효과가 나타나면서 최악의 상황에서 탈피한 것으로 2분기에는 매출액 1381억원, 영업이익 117억원으로 8.5%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날, 교보증권은 코리아써키트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3만원과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2022년 예상 ROE(자기자본이익률)는 24%로 동종기업 평균 ROE 27%보다 낮으나 1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동종기업 대비 안정적인
[KJtimes=김봄내 기자] SK텔레콤[017670]과 에브리봇[270660], 범한퓨얼셀[382900] 등에 대한 증권사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다. KB증권과 NH투자증권, SK증권 등이 대표적으로 이들 증권사는 각 종목별로 관심을 보이면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모습이다. 17일 KB증권은 SK텔레콤에 대한 목표주가를 7만5000원으로,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투자포인트로 강화된 배당 정책과 무선 업종 마케팅 경쟁 완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 B2B 사업의 고성장 기대 등을 꼽았다. KB증권은 SK텔레콤의 경우 배당수익률이 7%에 가까워지면서 글로벌 통신사들대비 가장 배당수익률이 높은 수준에 왔다는 점과 외국인 지분율이 5월 20일 이후 하락(48.78%)해 47.8%까지 감소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외국인 수급 부담은 점진적으로 해소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에브리봇이 하반기 신제품 출시로 외형 확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물걸레 로봇청소기 고급형 모델이 성장을 주도 중인 가운데 물걸레 로봇청소기 보급형 모델과 흡입형 로봇청소기 등 신제품이 3분기 출시 예정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되며 하반기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