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임영규 기자]풍산[103140]은 27일 공시를 통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9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7.8%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날 공시에 따르면 풍산의 당기순이익은 228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매출액은 613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감소했다. 또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4310억원, 영업이익은 305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88% 늘어났다. 풍산그룹은 자동차, 전기전자 제품 소재의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실적 개선을 이끌었으며 PMX 등 해외 계열사의 실적도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방산 부문은 비수기임에도 미국 시장 판매 증가 등에 힘입어 수출 호조세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한편 NH투자증권은 지난 12일, 풍산이 올해 1분기에 흑자 전환한 것으로 보고 목표주가를 2만8000원에서 3만원으로 올렸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풍산의 연결기준 분기별 영업이익 전망치로 2분기 423억원, 3분기 356억원, 4분기 396억원을 제시한다”며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도 올린다”고 밝혔다 변 연구원은 “풍산이 올해 1분기에 시장…
[KJtimes=김승훈 기자]SK하이닉스[000660]와 LS산전[01012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7일 NH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에 대해 목표주가 4만1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그 이유로 올해 1분기에 시장 기대에 부합하는 실적을 냈다는 점을 꼽았다. 아울러 올해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각각 15조5000억원과 2조원으로 제시했다. 이세철 NH투자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1분기 영업이익이 5620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평균 전망치) 수준”이라며 “D램 업체들의 투자 축소와 수요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면 올해 하반기 실적은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분기 영업이익은 2분기 4000억원, 3분기 5000억원”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LS산전에 대해 목표주가 6만1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기대 이상의 실적을 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LS산전의 올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5008억원과 34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 86.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예상치와 컨센서스(평균 전망치)를 웃돈다고…
[KJtimes=김승훈 기자]LG생활건강[051900]에 대해 SK증권과 삼성증권이 각각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했다. 27일 SK증권은 LG생활건강의 목표주가를 110만원에서 125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올해 계속해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SK증권은 LG생활건강의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5194억원과 2355억원으로 전년보다 16.7%, 30.8% 증가했는데 이는 사상 최대 분기 실적으로 화장품과 생활용품, 음료 사업 모두 고른 성장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이승욱 SK증권 연구원은 “화장품 사업은 대표 브랜드 ‘후’가 국내외에서 높은 성장을 보인 가운데 중국 소비자의 호응으로 ‘숨’의 성장세가 가속화하며 실적을 견인했다”며 “생활용품은 퍼스널 케어와 홈케어 모두 고루 성장했고 음료사업부는 ‘씨그램’ 등 신제품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각각 14.5%와 15.9% 늘어난 6조1011억원과 7931억원이 될 것”이라면서 “올해도 면세점을 중심으로 한 화장품 부문의 높은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예상했다. 같은 날, 삼성증권도 LG생활건강에 대한 투자의견을…
[KJtimes=김승훈 기자]고려아연[010130]에 대해 증권사간 분석이 상반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6일 삼성증권은 고려아연의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각각 ‘매수’와 60만원으로 유지했다. 이는 올해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고려아연은 전날 공시를 통해 1분기 연결 기준 잠정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조3519억원과 187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9.1%, 8.4% 늘었다고 밝혔다. 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비철금속 가격 및 원/달러 환율의 상승 등 우호적인 환경이 마련되고 있다”며 “공장 증설 이후 증설분만큼 생산량이 늘어 증설 효과에 대한 우려도 해소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긍정적”이라고 진단했다. 백 연구원은 “최근 원/달러 환율의 하락 등으로 주가가 떨어지면 매수 기회로 삼을 것을 추천한다”면서 “환율 하락세가 하반기까지 지속된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내다봤다. 반면 이날 LIG투자증권은 고려아연의 투자의견을 매수(Buy)에서 보유(Hold)로 내리고 목표주가는 53만원으로 유지했다. 이는 양호한 실적에도 성장 모멘텀은 종료됐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김윤상 LIG투자증권 연
[KJtimes=김승훈 기자]한국전력[015760]과 KG이니시스[03560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6일 HMC투자증권은 한국전력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7만원에서 8만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전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5조3000억원과 3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59.0% 늘고 특히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5.8% 상회할 것”이라며 “원가 안정화가 지속되고 있고 한계기업 구조조정을 추진 중인 대주주 산업은행과 정부의 배당 요구로 한국전력의 배당성향도 상향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강 연구원은 “일회성 이익을 제외한 별도기준 이익이 지난해 수준에 머물더라도 배당성향 40%를 가정하면 올해도 2300원의 배당은 가능하다”면서 “일부 발전 자회사의 상장 가능성도 부각되고 있으며 장기적인 밸류에이션(평가가치) 재평가 과정에서 투자 매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미래에셋증권은 KG이니시스의 목표주가를 1만6000원
[KJtimes=김승훈 기자]SK이노베이션[096770]에 대해 NH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 IBK투자증권, 동부증권 등이 호평가를 내놓았다. 25일 NH투자증권은 SK이노베이션이 올해 1분기 깜짝 실적을 냈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1분기 영업이익이 844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3% 늘고 세전이익은 70% 늘어난 740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는데 이는 예상치를 대폭 웃도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황유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분기 실적 증가는 일회성 비용 축소와 정유 부문의 정제마진 강세에 따른 것”이라며 “전 세계 정제설비의 증설 제한과 석유화학 제품의 성수기 수요를 고려할 때 높은 수준의 영업이익이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의 2분기 영업이익은 736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감소할 것”이라면서 “정제마진이 올해 강세를 유지하고 석유화학 부문은 이익 증가세를 유지해 연간 영업이익은 3조223억원이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같은 날, 미래에셋증권은 SK이노베이션의 목표주가를 20만원에서 22만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경우 올해 1분기 실적
[KJtimes=김승훈 기자]현대로템[064350]과 LG하우시스[10867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했다. 25일 HMC투자증권은 현대로템의 목표주가를 종전 1만3000원에서 1만8000원으로 올리고 투자의견은 ‘중립(마켓퍼폼)’으로 유지했다. 그러면서 그 이유에 대해 1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설명했다. 현대로템은 최근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1분기 잠정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7241억원과 308억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명훈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매출액은 컨센서스를 약 4% 상회하고 영업이익은 110% 웃돈 수준”이라며 “수익성의 발목을 잡던 철도부문의 디에스컬레이션(계약금액 조정) 이슈는 마무리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철도 부문의 수익성 및 수주 회복세 등을 반영해 올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도 776억원에서 1221억원으로 상향한다”면서 “하지만 플랜트 부문의 해외 프로젝트 수익성 개선이 지연돼 실적 안정화에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고 주가도 최근 3개월간 약 60% 올라 현 시점에서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매력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날, KTB투자증권은 LG하우시스에 대한…
[KJtimes=김승훈 기자] 대한항공[03490]에 대해 증권사가 엇갈린 분석을 내놨다. 25일 하이투자증권은 대한항공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4만원을 유지했다. 이는 한진해운의 자율협약 신청으로 추가 지원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하준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진해운의 자율협약 신청이 채권단에 의해 받아들여진다면 대한항공 주가 상승의 큰 걸림돌로 작용한 계열사 지원에 대한 위험(리스크)이 해소될 것”이라며 “다만 기존 지원액에 대한 손상처리 가능성은 여전하다”고 판단했다. 하 연구원은 “대한항공의 한진해운 관련 위험노출(익스포저) 규모는 최대 8971억원으로 추정된다”면서 “한진해운에 대한 손상처리가 진행된다면 대한항공의 부채비율 상승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HMC투자증권은 대한항공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중립(마켓퍼폼)’과 3만2000원으로 유지했다. 이는 한진해운의 자율협약 신청은 한진해운에 대한 추가 지원 가능성이 사라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위험노출에 따른 주주가치 훼손 가능성을 감안해야 한다는 진단에 기인한다. 강동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진해운 관련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지
[KJtimes=김승훈 기자]우리은행[000030]과 KTG[03378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면서 그 이유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22일 미래에셋증권은 우리은행의 목표주가를 1만4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에 기대치를 웃도는 깜짝 실적을 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미래에셋증권은 현재 주가를 기준으로 하면 배당 수익률은 4.8%로 배당 매력도 충분하다면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다. 강혜승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우리은행의 1분기 순이익은 4433억원으로 예상치 3343억원을 33% 웃돌았다”며 “순이자마진(NIM)이 2분기 연속 전분기보다 오르며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실적이 기대치를 상회한 것은 충당금 비용이 예상보다 적었고 비이자이익이 예상치를 웃돌았기 때문이며 자산 건전성 지표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면서 “좋은 실적뿐만 아니라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을 회수해야 하고 민영화를 위해 투자자를 유인해야 하는 점 등을 감안하면 주당 배당금 500원을 2016∼2017년에도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날, 키움증권은 KTG에 대한 투자의견
[KJtimes=김승훈 기자]대림산업[000210]과 LG화학[051910]에 대해 증권사가 주목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2일 HMC투자증권은 대림산업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0만3000원에서 11만3000원으로 올렸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좋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실제 대림산업은 전날 공시를 통해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조2537억원과 908억원으로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32% 늘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19%나 상회하는 수준이다. 박현욱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주택 부문의 실적이 견조한 가운데 유화 부문 실적 증가와 해외 현장의 적자 축소가 호실적 배경으로 작용했으며 앞으로 해외 현장의 적자가 크게 축소될 것”이라면서 “올해 연간 영업이익이 407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0%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같은 날, 미래에셋대우는 LG화학에 대해 배터리 사업 부문 실적 개선이 본격화하는 올 하반기부터 주가 상승 동력이 생길 것으로 분석했다. 미래에셋대우는 LG화학의 1분기 영업이익의 경우 4577억원으로 시장 전망치 수준을 기록했
[KJtimes=김승훈 기자]LS산전[010120]과 한솔제지[21350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1일 키움증권은 LS산전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하고 목표주가를 6만5000원에서 7만원으로 상향했다. 이는 중국 법인의 양적, 질적 성장세가 괄목할만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키움증권은 자회사인 LS메탈도 오랜 부진을 딛고 흑자 전환할 것이며 이라크 전력 인프라 사업은 아직 수익성이 부진하지만 매출이 회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LS산전의 중국 법인의 경우 주력인 우시(無錫) 법인은 매출이 지난해 19% 증가한 데 이어 올해 30% 더 늘어나고 영업이익률은 두 자릿수를 기록할 것이고 다롄(大連) 법인도 지난해부터 흑자 기조에 정착했다”며 “LS산전의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251억원에서 344억원으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중국 법인뿐만 아니라 전력기기 부문은 국내 신재생에너지 수요 선점과 동남아 위주 수출 확대를 통해 양호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자동화 사업부도 지난해 대기업 대상 고부가 패키지 시장에 진입해 새로운 모멘텀을 얻었다”고 덧붙였다.…
[kjtimes=견재수 기자] 국내 대형면세점 업체인 롯데와 신라가 유커(중국 관광객) 유치를 놓고 때 아닌 신경전을 벌였다. 한류스타가 출연하는 콘서트를 열고 유커의 자사 유치에 투자한 롯데면세점과 이들을 자신의 면세점으로 유치하려 했던 신라면세점 간 미묘한 갈등이다. 일단 밥상을 차린 것은 롯데다. 롯데면세점은 4월 15~17일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에서 월드스타 싸이(PSY), 성시경, 장기하, 에일리, 배우 이민호 등 국내 정상급 가수와 한류스타들이 대거 출연한 ‘패밀리페스티벌’을 개최했다. 중국인 관광객 1만5000명을 비롯해 일본과 대만, 홍콩에서 온 5000여명 등 이 행사를 위해 한국을 찾은 관광객은 약 2만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 공연 시작 전부터 팬 사인회를 진행하면서 행사장 주변은 인산인해를 이뤘다. 23회째를 맞은 롯데면세점 패밀리페스티벌은 지금까지 외국인 관광객 11만여명을 한국으로 불러들였고 주최 측인 롯데롯데는 행사를 위해 국내외 200여개의 여행사와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적지 않은 투자를 했다. 그런데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신라면세점 측이 롯데패밀리페스티벌 관람을 위해 방한한 단체 고객 명단을 관련 여행사에 요구했…
[KJtimes=김승훈 기자]포스코[005490]와 두산인프라코어[02670]의 목표주가가 ‘상향조정’됐다. 이에 따라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NH투자증권은 포스코의 목표주가를 26만원에서 30만원으로 올리는 한편 ‘매수’ 투자의견은 유지했다. 그러면서 철강 가격 강세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포스코는 세계 철강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아시아 지역 주요 철강업체 대비 저평가 매력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지난 4일 포스코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이후에도 철강 유통 가격이 중국 내에서 열연(13.6%), 철근(15.8%), 후판(11.6%) 등 모두 강세를 지속했고 국내에서도 상승세를 보였는데 이는 실적 개선에 청신호”라고 판단했다. 변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에 평균판매단가(ASP)가 2011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2개 분기 연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포스코의 올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13.8% 늘어난 2조7434억원으로 전망되며 당기순이익은 1조3907억원으로 흑자 전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같은 날, 하이투자증권은 두산인프라코어의 목표주가를 종전 6000원에서 9000원으로 상향조정했다. 이는…
[KJtimes=김승훈 기자]두산엔진[082740]과 하나투어[039130]에 대해 증권사가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하면서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NH투자증권은 두산엔진의 목표주가를 5800원에서 54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보유’를 유지했다. 그러면서 수주 부진 우려를 고려했다고 밝혔다. 1분기에 영업수지가 흑자전환했고 올 하반기에도 고수익성 매출과 저가 수주 감소 등으로 이익 개선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엔진은 점진적인 실적 개선에도 전방산업 부진에 따른 수주 부진이 우려돼 보수적인 관점을 유지한다”며 “두산엔진은 보유한 6000억원 규모의 밥캣 지분(15%)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2842억원의 순차입금 등을 고려하면 적정 기업가치가 3800억원 수준”이라고 산정했다. 정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실제 확보한 수주 물량은 인식 대기 물량을 포함하면 모두 22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면서 “하지만 주요 고객인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수주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도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같은 날, HMC투자증권은 하나투어의 목표주가를 종전 14만5000원에서 12만원으로 내렸다
[KJtimes=김승훈 기자]LG[003550]의 올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28.6% 증가한 1조1623억원으로 전망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하이투자증권은 LG에 대해 이 같은 분석을 내놓고 이 회사의 목표주가를 9만1000원에서 9만5000원으로 올렸다. 아울러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이 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자회사인 LG화학 및 LG전자, 비상장회사들의 실적 정상화로 LG의 이익 개선이 가시화될 것”이라며 “LG화학은 석유화학 및 중대형전지 부문에서, LG전자는 가전·에어컨·TV·모바일 등 대부분의 사업부문에서 이익증가가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전기차 가치사슬(밸류체인)의 성장성에도 주목한다”면서 “LG전자가 전기차 부품 사업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 계열사별로 전기차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LG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주가 상승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