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times=김봄내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기업들의 실적 하향이 불가피해지면서 곳곳에서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특히 항공운송업체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켜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진투자증권이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의 목표주가를 올려 눈길을 끌었다. 3일 NH투자증권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위기를 고려해 항공운송업체들의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이는 항공운송업체들의 경우 전례 없는 운항 차질과 여객 수요 감소로 인한 외형 축소가 불가피하며 고정비 부담이 심해져 1분기 대규모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목표주가를 대한항공[003490](3만1000원→2만원), 제주항공[089590](2만2000원→1만9000원), 진에어[272450](1만5000원→1만원), 티웨이항공[091810](5700원→3200원)으로 각각 낮췄다. 같은 날, 하나금융투자는 파라다이스의 목표주가를 2만1000원에서 1만8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올해 1분기와 2분기에 적자를 낼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하나금융투자는 4월부터 입국 외국인은 2주간 자가격리 조치가
[KJtimes=김봄내 기자]대한항공[003490]과 삼성전자[005930], 롯데푸드[002270]의 목표주가가 내려갔다. 하나금융투자와 유진투자증권, 대신증권 등 증권사가 각각 하향 조정한 탓이다. 이에 따라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1일 하나금융투자는 대한항공의 목표주가를 3만40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대규모 영업손실이 예상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하나금융투자는 현재 보유 여객기 145기 가운데 100기가 가동 중단 중이고 운항 노선도 80∼90%가 축소된 상황이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로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기 때문에 2분기에도 단거리와 장거리 모두 국제여객 수요 회복은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기존 6만5000원에서 6만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실적 부진이 예상된다는 전망에 기인한다. 유진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추정치에서 각각 10%, 20% 하향 조정한 225조9000억원과 30조원으로 제시하면서 실적
[KJtimes=김봄내 기자]삼성전자[005930]에 대해 유안타증권과 하나금융투자가 각각 엇갈린 분석을 내놨다. 이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 NH투자증권은 CJ CGV[079160]에 대해 목표주가를 내렸다. 30일 유안타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목표주가 7만2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상승 요인이 충만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유안타증권은 중장기적으로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성과가 기업가치 상승에 큰 역할을 할 것이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주가 하락을 적극적인 매수 기회로 활용할 것을 권고했다. 같은 날, 하나금융투자는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6만3000원에서 6만1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이 회사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하나금융투자는 코로나19 발발 이후 반도체 업종은 주도주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다만 4월 잠정실적 발표일까지 삼성전자는 실적 전망치가 좀 더 하향 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날 NH투자증권은 CJ CGV는 목표주가를 4만5000원에서 2만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중립을 제시
[Kjtimes=김봄내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기업들의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KB증권이 삼성전자[005930]에 대한 실적 전망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내놨다. 또 하이투자증권은 미디어·광고 업종에 대해 적신호 분석을 제기했다. 27일 KB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한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에 대해 각각 6만5000원과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이 회사는 1분기에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낼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2분기부터는 반도체 부문에서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른 ASP 상승이 본격화하면서 전사 실적 개선을 주도할 것이고 이에 따라 연간 기준 반도체 부문 실적 추정치에는 변동이 없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하이투자증권은 제일기획[030000]의 목표주가를 3만원에서 2만6천원으로, CJ ENM[035760]은 22만원에서 18만5000원으로, CJ CGV[079160]는 4만1000원에서 2만4000원으로 각각 낮췄다. 이는 코로나19 여파로 미디어·광고 업종의 1분기 수익이 저조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하이투자증권은 미디어·광고 업종은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1분기 실
[KJtimes=김봄내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내 증시가 출렁이고 있는 가운데 메모리 반도체 수급이 양호하며 서버용 반도체 수요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에 나와 이목을 끌고 있다. 실제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이 업종에 대해 각각 매수와 비중확대를 제시했다. 26일 NH투자증권은 반도체 산업의 투자의견에 대해 ‘긍정적(Positive)’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에도 메모리 반도체 수급이 양호하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각국 정부가 네트워크 혼잡을 줄이기 위해 OTT 업체들에 영상 스트리밍 전송률(비트레이트) 축소를 요구하는 점은 리스크이며 비트레이트 하향 조치로 넷플릭스의 트래픽은 25% 감소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같은 날, 한국투자증권은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 ‘비중 확대’를 제시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에도 서버용 반도체 수요가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1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한 서버 D램 가격은 2분기에 더 큰 폭으로 상승할 전망이며 코로나19 확산으로 하반기 메모리 수급 및 가격 전망에 불확실성이 높아졌지만 올해 메모리 공급업체들이 설비
[KJtimes=김봄내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의 장기화 가능성과 국제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자동차 업체들의 향후 실적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하나금융투자는 메디톡스[086900]의 목표주가를 내렸고, 반면 한화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000660]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 관심을 끌었다. 25일 NH투자증권은 코로나19에 따른 생산·소비 충격, 국제유가 급락, 신흥국 통화 약세의 영향으로 세계 자동차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주요 업체들의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으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NH투자증권은 현대차[005380](17만원→11만원), 기아차[000270](5만7000원→4만원), 현대모비스[012330](30만원→23만원), 한온시스템[018880](1만5000원→1만3000원), 만도[204320](3만8000원→2만3000원)으로 각각 내렸다. 같은 날, 하나금융투자는 메디톡스의 목표주가를 종전 47만원에서 31만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의 경우 외국인 자금이 이탈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하나금융투자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
[KJtimes=김봄내 기자]포스코[005490]와 휠라홀딩스[081660], 현대글로비스[086280] 등에 대해 하나금융투자과 NH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등 증권사가 각각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하나금융투자는 포스코에 대한 목표주가를 33만원에서 27만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는 이는 이 회사의 올해 1분기 실적 부진을 예상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하나금융투자는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하면서 이들 지역의 철강 수요 둔화 우려가 제기되며 이미 유럽 내 일부 자동차 공장이 폐쇄돼 포스코의 유럽 수출 차질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NH투자증권은 휠라홀딩스의 목표주가를 6만8000원에서 4만9000원으로 28% 낮추고 투자의견로는 매수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세계적인 소비 침체 우려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은 휠라홀딩스의 부채비율이 102%로 다소 높아 최근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속에 재무 건전성 우려가 불거지고 있는데 다만 이 회사의 브랜드 가치를 고려하면 현재 지나치게 주가가 저평가된 상태로 코로나19가 잦아들면 충분히 반등 가능한…
[KJtimes=김봄내 기자]대한항공[003490]과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KB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각각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반면 하이투자증권은 한진[002320]에 대해 긍정적인 분석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19일 KB증권은 대한항공에 대한 투자의견을 종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규모 영업적자와 재무구조 손상이 우려된다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대한항공의 경우 올해 중 2조2000억원의 현금을 회사채 발행이나 자산 유동화,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외부에서 조달해야 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단기간에 급등할 것으로 보이는 부채비율이 자금 확보의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기존 6만8500원에서 6만4000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스마트폰 등의 수요 타격이 예상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한국투자증권은 반도체 수요는 아직 영향이 제한적이라면서도 코로나19로 인한 완제품 수요 감소가 하반기부터 회복되겠지만 상반기 재고 축적 후 메모리 수요는 당초 전망보다…
[KJtimes=김봄내 기자]한국은행이 16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전격 인하하면서 ‘사상 첫 0%대 기준금리’가 열렸다. 이런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촉발한 금융시장의 불안을 잠재울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그러면 증권사들은 이번 한국은행의 결정을 어떻게 분석하고 있을까. 17일 키움증권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해외 요인은 국내보다 정부가 통제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예의 주시해야 할 사안으로 당분간 은행 업종에 대한 보수적 투자 유지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키움증권은 코로나19로 호텔 펀드나 부동산 펀드, 항공기 펀드 등 하이일드 자산의 부실화가 전개될 경우에는 국내 금융회사와 개인, 법인 등이 투자한 153조원 규모의 해외 사모펀드로 부실이 전염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교보증권은 기준금리를 0.75%로 0.50%포인트 전격 인하한 한국은행이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교보증권은 최근 국내 통화정책 불확실성, 수급 이슈 등으로 시장금리 변동성이 크게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추가경정예산 등으로 수급 우려가 커질 수 있겠지
[KJtimes=김봄내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15일(현지시간) 코로나19의 여파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0.00∼0.25%로 1%포인트 인하하고 7000억 달러 규모의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증권가에서는 이로 인해 미칠 파장에 대한 분석이 한창이다. 16일 유진투자증권은 미 연준이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하한 데 대해 원인 치유가 아닌 증상 완화 조치라는 평가를 내놨다. 유진투자증권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달리 이번 금융시장 불안 원인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유동성 확대는 증상을 완화하지만 원인을 불식하지는 못하며 경기침체가 심화할 경우 통화정책 여력이 제한되고 향후 통화정책 정상화 때의 충격도 크다고 진단했다. 같은 날, 대신증권은 미 연준의 이번 긴급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을 넘어선 조치며 이번 조치를 통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라는 진단을 제시했다. 대신증권은 연준의 이번 기습 기준금리 인하의 경우 코로나19의 확산 우려와 주가 급락에 따른 금융시장의 불안을 차단하기
[KJtimes=김봄내 기자]주식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촉발한 글로벌 패닉 장세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여기에 글로벌 주요국들의 유동성 공급, 양적 완화 확대 등 통화정책과 경기 부양 정책, 재정 확대 정책이 시장을 달래주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13일 NH투자증권은 미국 주요 주가지수의 폭락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에 대한 의심과 불신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이 같은 분석은 간밤 뉴욕 증시는 3대 주요 주가지수가 모두 9%대 급락하고 증시 거래가 15분간 중단되는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는 등 충격적인 성적을 기록하면서 나왔다. NH투자증권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미국 내 행사들이 연일 취소되면서 세계 경기를 지탱했던 미국의 소비심리가 얼어붙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으며 앞으로 시장의 흐름은 결국 의회의 손에 달렸으며 재정정책 실행 타이밍이 중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같은 날, SK증권은 코스피 지수의 예상 등락 범위 하단을 1800선으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제시하는 올해 지수 등락 범위는 종전 1950∼2400에서 1800∼2200으로 하향 조정됐다. 이는 코스피가 올해 고점 대비…
[KJtimes=김봄내 기자]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주식시장이 혼전을 거듭하는 가운데 NH투자증권이 한솔케미칼[014680]을 주목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반면 유진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은 각각 SM엔터테인먼트[041510]와 네이버[035420], 카카오[035720] 등에 대한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해 눈길을 끌고 있다. 12일 NH투자증권은 한솔케미칼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5만원을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견조한 반도체용 소재 실적과 신규 소재의 출하량 증가에 힘입어 올해 영업이익이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NH투자증권은 2차전지 바인더의 경우 높은 영업이익률이 예상되며 QD 소재도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용 제품 출하량이 늘고 있고 신규 소재 이익이 커져 한솔케미칼의 올해 전체 영업이익은 1227억원으로 지난해보다 8.8%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같은 날, 유진투자증권은 SM엔터테인먼트의 목표주가를 기존 4만7000원에서 3만6000원으로 내리고 투자의견은 매수를 제시했다. 이는 이 회사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실적 악화가 예상된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유진투자증권은 SM엔터테인먼트의 경우 대
[KJtimes=김봄내 기자]정부가 증권시장 안정화에 적극 나선 모습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시장을 강타하면서 공매도 부분에 대한 단속에 나선 것이다. 이런 가운데 한화투자증권은 삼성전자[005930]에 대해 반등이 기대된다는 분석을 내놓아 주목을 끌었다. 11일 한국투자증권은 정부의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강화 조치가 투자 심리 안정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투자자들이 빚을 내 주식을 사들인 신용융자 잔고가 주로 기술주에 몰려 있어 투매 압력은 높지 않다고 밝혔다. 한국투자증권은 코스피의 경우 전체 신용융자잔고 총액 중 상위 30개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40%에 달하며 이들 30개 종목 중 14개 종목이 반도체, 소재, 5세대 이동통신(5G) 등 소위 테크(tech) 관련주라고 분석했다. 같은 날, 한화투자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목표주가 7만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이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이 회사의 주가 조정 국면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에 기인한다. 한화투자증권은 주식시장 투자심리가 아직은 위축돼 있지만 주가가 재반등한다면 가장 확실한 투자처인 삼성전자부터 오를 것이며 2분기부터 실
[KJtimes=김봄내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에 더해 국제유가도 폭락한 충격에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전날인 9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85.45포인트(4.19%) 내린 1,954.77로 마감했는데 종가기준으로 지난해 8월 29일(1,933.41)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에 증권가의 향후 전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일 교보증권은 코로나19 사태에 안전지대가 없으며 세계 경제에 연쇄적인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교보증권은 올해 2분기까지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지 않으면 기업 실적 하향 조정을 예견한 금융시장의 조정과정이 불가피하며 이러한 금융시장 충격으로 경제 심리 등 소프트데이터와 생산, 소비, 투자 등 하드데이터가 연쇄적으로 위축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같은 날, KB증권은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 저점을 종전 1,930에서 1,850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에 더해 국제유가 급락이라는 새로운 악재가 발생함에 따른 것이다. KB증권은 단기적으로 외국인 매도가 대형주에 집중되면서 주가 움직임이 민감하지 않은 방어주의 매력이 부각될 수 있으며 당분간 저유가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일
[Kjtimes=김봄내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 공포가 증권가에 다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의 전망도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니다. 특히 해외發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9일 한화투자증권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3월 지표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그러면서 미국의 2월 경제지표 호조가 현재 시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기는 힘들다고 지적했다. 한화투자증권은 미국의 경우 현재 코로나19의 지역 감염이 막 진행되는 단계로 평가되며 추가 확산 우려 및 이에 따른 경제적 영향이 향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인 만큼 미국 내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를 통해 실질적인 소비 위축 및 고용 부진 신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하이투자증권은 한국과 일본의 상호 입국 제한 조치가 시작됐으나 항공운송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이미 양국을 오가는 여객이 큰 폭으로 감소한 상태라는 이유에 기인한다. 하이투자증권은 지난해 7월 시작된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일부 항공운송 업체에 적자가…